새콤하면서 달콤한 맛의 밸런스와 독특한 식감·비주얼로 '국민 젤리' 등극
[서울=뉴스핌] 오경진 기자 = 국내 젤리 시장은 SNS를 중심으로 한 먹방과 ASMR 콘텐츠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국내 젤리 시장 규모는 2023년 4473억 원 수준으로, 오는 2029년에는 6317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시장의 성장세도 매섭다. Spherical Insights & Consulting에서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젤리 시장 규모는 2023년 227억 8000만 달러에서 2033년 665억 6000만 달러로 연평균 11.3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츄파춥스 사워 젤리 3종(왼쪽부터 '사워 바이츠', '사워 게코', '사워벨트 1M' [사진=페르페티 반 멜 제공] |
젤리는 카카오 원재료 값이 1년 사이 두 배 이상 급등해 초콜릿을 대체할 간식으로 떠오르면서 그 인기가 더욱 치솟고 있다. 특히 Z세대와 알파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맛의 경험'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젤리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달콤함을 넘어 '새콤한 젤리'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
글로벌 제과기업 페르페티 반 멜이 전개하는 세계적인 캔디 브랜드 츄파춥스는 이 같은 젤리 트렌드 확산에 힘입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츄파춥스 사워 젤리의 판매량이 800만 봉지를 넘어섰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길이로 환산하면 약 6273km로, 서울에서 이란의 수도 테헤란까지 이어지는 거리와 비슷하다.
츄파춥스가 선보인 사워 젤리는 기존 단맛 중심의 젤리에 강한 산미를 더해 출시 초반부터 시장에 반향을 일으켰다. 세계 최초의 막대사탕 브랜드에서 만든 젤리답게 차원이 다른 달콤함과 새콤함의 균형 잡힌 맛과 쫄깃한 식감, 다채로운 색감이 오감을 자극하며 1020세대 사이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츄파춥스의 사워 라인업은 '사워 게코', '사워 바이츠', '사워벨트 1M' 등으로 다양하다. 그중 귀여운 모양과 쫀득하면서 푹신한 식감의 '츄파춥스 사워 게코 젤리'는 '도마뱀 젤리 열풍'을 일으키며 2021년부터 2025년까지 330%의 매출 성장세를 기록했다. '츄파춥스 사워 바이츠'는 톡톡 튀는 무지개 모양과 탱글탱글한 식감의 한 입 젤리, '츄파춥스 사워벨트 1M'는 1m 길이의 얇고 긴 무지개 색상 젤리로 특히 얼려 먹었을 때 색다른 식감과 맛을 느낄 수 있어 각 종류의 다양한 마니아층이 두텁게 형성되어 있다.
페르페티 반 멜의 츄파춥스 마케팅 담당자는 "츄파춥스는 트렌드를 관통한 사워 젤리로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모두의 입맛을 사로잡았다"며 앞으로도 오직 츄파춥스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맛과 식감의 제품을 지속 선보일 예정이다. 츄파춥스가 만들어가는 즐거움의 여정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ohz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