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물 국채금리 3년 만 최저…이번 주 CPI·PPI, 애플 신제품 주목
로빈후드·앱플로빈 S&P500 편입 급등…테더 금광 투자설에 금광주 강세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뉴욕 증시 개장 전 주요 지수 선물이 8일(현지시간)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8월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9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가 사실상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투자자들은 이번 주 예정된 물가 지표를 앞두고 인하 폭을 가늠하는 분위기다.
미 동부시간 오전 9시(한국시간 오후 10시) 기준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S&P500 E-미니 선물은 전장 대비 14.25포인트(0.22%) 오른 6504.00을, 나스닥100 선물은 83.25포인트(0.35%) 상승한 2만3767.25을 기록했다. 다우 선물은 81.00포인트(0.18%) 오른 4만5540.00을 가리키고 있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 금리 인하 기대 속 2년물 국채금리 '3년 만 최저'
앞서 5일 발표된 8월 비농업부문 고용은 2만2000명 증가에 그치며 시장 예상치(7만5000명)를 크게 밑돌았다. 6~7월 고용도 2만1000명 하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오는 16~17일 열리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은 사실상 100%로 굳어졌으며, 50bp(1bp=0.01%포인트) '빅컷' 확률도 10% 안팎으로 높아졌다.
톰 훌릭 스트래티지 에셋 매니저스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노동시장이 연준이 인식하는 것보다 훨씬 약할 수 있다"며 "향후 고용 수치가 추가로 하향 조정되면 단기 국채, 특히 2년물 금리는 더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국채시장 금리는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정책금리 동향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3.495로 3년 만에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10년물 금리는 4.076%로 올해 4월 이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주 5%대를 넘봤던 30년물 금리는 4.758%로 밀렸다.
◆ 인플레 지표·트럼프 관세 변수 주목
시장의 관심은 오는 10일 발표될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와 11일 공개될 소비자물가지수(CPI) 에 쏠려 있다. 전문가들은 8월 헤드라인 CPI가 전년 대비 2.9%로 7월(2.7%)보다 소폭 높아지고,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3.1%로 전월과 같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9일에는 노동통계국(BLS)의 분기별 고용·임금 통계(QCEW) 연간 수정치, 11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12일에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9월 잠정치) 가 발표될 예정이다.
◆ S&P·나스닥 밸류에이션 부담 속 애플 신제품 발표회
미 증시가 강세장을 이어가며 밸류에이션 부담도 커진 상황이다.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지난주 나란히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S&P500은 최근 고점 대비 불과 0.8% 낮은 수준이다. 시장조사업체 LSEG에 따르면, S&P500은 2000년 이후 9월 평균 1.5% 하락했지만, 이번 달은 긍정적인 출발을 보이고 있다.
이번 주 또 하나의 관심사는 9일 예정된 애플의 신제품 발표회다. 애플은 아이폰17 시리즈를 비롯해 신규 애플워치와 에어팟을 공개할 예정이다. 특히 두께 5.5mm로 알려진 '아이폰17 에어(가칭)' 가 최대 관심사다.
![]() |
애플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 로빈후드·앱플로빈 S&P500 편입 급등…테더 금광 투자설에 금광주 강세
이날 개장 전 특징주로는 ▲로빈후드(NYSE:HOOD)와 ▲앱플로빈(APP)이 각각 개장 전 주가가 8~9% 급등했다. 두 회사는 오는 22일 S&P500 지수에 편입될 예정으로, 로빈후드는 ▲시저스 엔터테인먼트(CZR)를, 앱플로빈은 ▲마켓액세스 홀딩스(MKTX)를 대체한다. 지수 편입은 기관 자금 유입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 외에도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기업 ▲뉴타닉스(NTNX) 3.9% 상승, 소비자 신용평가사 ▲트랜스유니온(TRU) 5.3% 상승했다. 두 기업은 S&P 미드캡 400 지수에 새로 포함된다. 뉴타닉스는 아카디아 헬스케어(ACHC)를, 트랜스유니온은 맨파워그룹을 각각 대체한다.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기업 테더가 금광 산업에 투자할 계획을 논의 중이라는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에 금광 관련주도 강세를 보였다. ▲하모니 골드 마이닝 ADR(HMY)은 5% ▲헤클라 마이닝(HL) ▲골드 필즈 ADR(GFI)는 각각 3~4% 상승 중이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TSLA)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9750억 달러 규모 초대형 보상안 소식에 1% 넘게 상승했다. 해당 계획은 머스크에게 4억2300만주 이상을 추가 지급하는 내용이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BABA)는 유망 로봇 스타트업 엑스스퀘어 로봇에 약 1억 달러(1천 392억원)를 투자한다는 소식에 4% 가까이 상승했다. 이번 투자로 알리바바의 누적 투자액은 2억8천만 달러에 달한다.
반면 바이오기업 ▲서밋 테라퓨틱스 ADR(SMMT)는 3상 임상시험 결과가 부진하다는 소식에 17% 급락했다. 회사의 폐암 신약 이보네시맙은 유럽·북미 환자들에서 중국 환자 대비 개선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이번 주 오라클(9일), 어도비(11일), 크로거(11일) 등의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