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캡 적용, 종이자원 활용...ESG경영 '박차'
한솔, 무림은 'A'인데...경쟁 심리 작용했을 듯
업계 평균 대비 낮은 핵심지표 준수율 '걸림돌'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기업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급 반등을 위해 최근 깨끗한나라가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만 이를 두고 자원재활용, 지자체 협력 등 통상적인 ESG 경영 활동보다는 지배구조 개선이 더 요원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체 평균 대비 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이 낮기 때문이다.
◆ 클린테크·지역 상생...깨끗한나라, 이미지 개선 '총력전'
8일 깨끗한나라가 지난해 한 단계 낮아진 ESG 등급 개선을 위해 총력을 다하는 상황에서 올해 경쟁사 수준의 등급 확보를 이룰지 주목된다.
최근 깨끗한나라는 종이자원 재활용률을 98.4%로 높였다. 이를 통해 연간 34만톤 규모의 자원이 순환되고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 |
폐기물 재활용률도 ▲2022년(39%) ▲2023년(44%) ▲2024년(46%)도 점점 개선되고 있다.
생활용품 분야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자원 절감을 위한 포장재와 제품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지난 4월에는 키친타월 전 제품군에 PIR(Post Industrial Recycled) 재활용 플라스틱을 30% 적용한 폴리백을 사용 중이다.
물티슈 제품군인 '깨끗한나라 생분해 물티슈'와 '깨끗한나라 페퍼민트 엠보싱'에는 100% 재활용 캡을, 그 외 다수 물티슈 제품과 '보솜이 물티슈'에는 50% 이상 재활용 캡을 적용했다.
이 밖에도 청주시와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협약식을 체결하거나, 서울에서 플로깅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 적극적인 ESG 경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깨끗한나라가 ESG 경영에 열을 올리는 것은 자사 ESG 등급 하락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ESG기준원(KCGS)에 따르면 지난해 깨끗한나라의 종합 ESG 등급은 'B'였다. 지난 2023년 'C'등급을 기록한 후, 지난해 'B+'로 반등했으나 다시 한 단계 내렸다.
KCGS는 'S, A+, A, B+, B, C, D' 등 7개 등급을 나눠 회사를 평가한다. B등급은 '다소 취약한 지속가능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상태로 체제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깨끗한나라의 ESG 경영은 아직 미흡한 점이 많은 상황이다.
더구나 제지업계 주요 기업과 비교해도 등급이 낮다. 지난해 기준 한솔제지와 무림P&P의 ESG 등급은 A등급으로 깨끗한나라보다 두 개 등급이 높다. 또 한솔제지와 무림P&P는 각각 2023년과 2024년에 등급이 오른 반면, 깨끗한나라의 ESG 등급만 내렸다.
업계 관계자는 "제지 회사가 최근 들어 친환경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특히 생활용품도 함께 생산하는 기업도 다수 있으므로 제품의 매력도 측면에서도 ESG 경영은 중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깨끗한나라의 경우 경쟁사 대비 ESG 등급이 낮다"며 "ESG 트렌드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전사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한솔·무림 대비 '반토막'...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 회복이 관건
하지만 깨끗한나라가 ESG 등급을 높이기 위해서 지배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작 ESG 등급에서 중요한 것은 지배구조인데, 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이 업계 평균보다 낮아서다.
KCGS에 의하면 지난해 깨끗한나라의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율은 46.66%였다. 전체 15개 핵심지표 중 중 7개를 준수했다. 지난 2023년에도 수치는 동일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 평균(54.6%) 대비 7.94%p 낮은 수준이다. 경쟁사인 한솔제지(86.67%)와 무림P&P(80.0%) 등과 비교할시 차이는 더욱 커진다.
업계 관계자는 "탄소 절감, 사회 공헌보다 결국 중요한 것은 지배구조다"며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들은 E(환경), S(사회) 분야에서도 부족한 경우가 다반사다"고 밝혔다.
이어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핵심지표 준수율은 지배구조 측면에서 좋지 않은 시그널"이라며 "ESG 등급을 높이려면 준수율을 우선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stpoems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