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창 대표와 청년들의 협업이 만든 변화...원도심 활기
자생적 비즈니스 모델 '담장 마켓' 도입...로컬 상권 혁신
◼ 로컬이 기회다 - 로컬올래
현재 대한민국에서 지방 소멸은 그다지 충격적이지 않다. 지역 균형 발전, 지방 소멸 대응 기금, 지방 시대 등 소멸 위기 대응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 왔지만, 지방 소멸은 오히려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이에 뉴스핌은 지역의 특성에 가치를 더해 혁신을 이끌어내고 있는 로컬크리에이터에 주목한다. 로컬크리에이터는 전국 곳곳에서 경제적 활성화와 새로운 생활 문화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청년에게는 새로운 기회와 성장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로컬 전문가' 채지민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하고 있는 뉴스핌의 <로컬이 기회다 - 로컬올래> 시리즈는 한 사람에서 마을 공동체, 지역 공동체로 확산되면서 지역의 활력을 이끌고 있는 로컬크리에이터의 도전과 성장기를 담아낸다. 바로 지역의 가치와 사람, 혁신과 창조의 이야기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도 따져본다. 현장과 학계, 로컬 전문가 등의 제언을 들어 로컬 상생의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한다. 또한 미국 포틀랜드, 프랑스 리옹 등 해외 로컬크리에이터 선진지의 현실과 전략, 미래 비전을 조명해 지속 가능한 로컬 생태계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충주=뉴스핌] 백운학 기자 = "충주 관아골의 성공은 크리에이터 각자가 브랜드를 가지고 안정적인 비즈니스를 운영하면서 골목과 이웃, 지역 활성화를 위한 프로젝트에 너나없이 적극 참여하는 '우정의 로컬 상권'이기 때문이다."
관아골은 현재 로컬크리에이터들이 빈집과 유휴 공간을 리모델링해 카페, 사진관, 독립 서점, 숙박시설 등 30여 개의 청년 가게를 운영하며 지역 재생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 있다. 그 중심에는 이상창 세상상회 대표가 있다.
이상창 대표는 "멤버 모두가 자신 소유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수직적 성장보다 수평적 확장을 통해 지역 자원과 인재를 연결하는 '링커' 역할을 한다"고 했다.
![]() |
충주 관아골 세상상회 이상창 대표.[사진=뉴스핌DB] |
충북 충주시 성내동 관아골은 한때 낡고 쇠락한 지방 도시의 흔한 골목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 이곳은 청년들의 도전과 창의성으로 가득한, 활기 넘치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이 대표는 관아골에 자리를 잡은 이유를 설명했다. "오래된 주택을 보고 한눈에 반해 카페와 굿즈 숍을 열기로 결심했다. 구옥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그는 경상도 상주 출신으로 9년 전 충주와 인연을 맺었고, 관아골의 일제시대 적산가옥과 근대가옥을 리모델링해 충주 최초의 한옥 카페 '세상상회'를 탄생시켰다.
이 공간은 이제 지역 문화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관아골에서는 지역 내 기획자들이 함께 유휴 공간, 거리, 마켓, 전시 등을 공유하며 운영하는 독특한 협업 구조가 돋보인다.
대표적인 사례가 '보탬플러스'라는 주식회사와 '관아골 친구들'이 함께 기획하는 '담장마켓'이다.
담장마켓은 2018년 5월부터 매달 관아골 골목길에서 열리는 골목 감성 마켓으로, 전국에서 50~60여 팀의 셀러가 참여하고 2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는 충주의 대표 장터로 자리 잡았다.
담장마켓은 골목 전체를 하나의 마켓 공간으로 활용하고, 충주에서만 접할 수 있는 상품과 전국 네트워크를 활용해 새로운 방문객을 유입하는 차별화 전략을 구사한다.
운영은 보탬플러스가 주도하되, '㈜소소한시장'과 관아골 친구들이 기획과 공간 지원, 봉사 형태로 참여하는 공유형 운영 구조다.
이 마켓은 8년 동안 단 한 차례도 지원 사업비 없이 자부담과 수익으로 운영되며 올해는 중소기업벤처부 로컬 브랜드 창출 사업비 일부를 활용해 대만 로컬 브랜드와의 콜라보 '글로벌 담장마켓'을 개최하기도 했다.
![]() |
충주 관아골 그래픽. [청주 = 김상현 기자] 2025.08.28 baek3413@newspim.com |
또 '충주잔치'는 관아골 기반 로컬 플레이어들의 성과를 공유하고 전국 로컬 플레이어들과 네트워킹하는 연례 행사로, 보탬플러스가 총괄 기획 및 운영하며 지역 주민과의 조화로운 소통을 위해 세심하게 준비한다.
'충주반상회'는 충주시 전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네트워크 모임으로, 기존 상인회와는 다른 자발적 연대와 상호 지원을 목표로 한다.
이상창 대표는 "지역 내 다양한 주체들이 각자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하면서도, 이벤트나 프로젝트 시에는 서로 적극 응원하고 참여하는 '동네 오케스트라' 같은 협업 모델이 관아골의 힘"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원 사업에 의존하지 않고 정기적 프로그램과 구독 기반 수익 모델을 구축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관아골의 'we, 관아골' 네트워크는 약 30여 개 로컬 브랜드와 협업하는 동네 컴퍼니 모델로, 보탬플러스가 지휘자 역할을 하며 재원 확보, 홍보, 업무 분장 등을 통해 공동 과제를 수행한다.
이 네트워크는 충주 원도심의 새로운 로컬 브랜드화를 목표로 하며, '관아골 친구들'이라는 이름으로 지역 내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
이 대표는 후배 청년 창업가들에게 "지원 사업에만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자생적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 후 지원과 연계를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하며 "개인의 성장보다 이웃과의 상호 보완적 수평 확장이 지역 재생의 핵심"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2, 제3의 세상상회와 이상창'이 나와 있을 관아골의 10년 후를 확신했다. 물론 자신은 여전히 로컬크리에이터의 좋은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좋은 우산 역할을 계속하고 있을 것으로 자신한다.
"저는 고향을 떠나 충주에서 생활하고 있지만 제 아들이 '아빠가 세상상회 하는 거 너무 멋있고 충주 사는 거 너무 좋아'라는 얘기를 듣고 싶다." 그만큼 충주는 살맛나는 곳이고 일하기 좋은 곳이라는 믿음이다.
충주 관아골은 이상창 대표와 청년 로컬 크리에이터들의 협업과 공유형 운영 구조를 통해 낡은 골목을 활기찬 문화와 경제의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며 지방 도시 원도심 재생의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