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맞아 비공개 프로젝트 가동...'독립'은 일본에 남아 협상 중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안중근 의사의 유묵(붓글씨) 2점을 국내로 들여오는 '유묵 귀환 프로젝트'를 비공개로 추진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 |
안중근, '독립'. [사진=경기도] |
도 대변인실은 14일 "일부 언론 보도 내용은 사실이며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지금까지의 추진 과정을 설명한다"고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약 20년 전 일본에서 민간 탐사팀이 안중근 의사의 유묵 '독립(獨立)'과 '장탄일성 선조일본(長歎一聲 先弔日本)'을 발견했다. 최근 일본 소장자가 국내 반환 의사를 밝힘에 따라 경기도와 광복회 경기도지부가 협상에 나섰다.
현재까지 확인된 안중근 의사 유묵은 약 60여 점으로.이 중 31점이 보물로 지정돼 있다. 두 작품은 항일정신이 직접 투영된 국보급 가치로 평가된다.
'독립'은 안 의사가 뤼순 감옥에서 일본인 간수에게 건넨 작품으로 "나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죽는다"는 신념을 함축하고 있다. 현재 일본 교토 류코쿠대학이 보관 중이며 국내 전시가 있었지만 귀환은 이뤄지지 않았다.
'장탄일성 선조일본'은 "큰 소리로 길게 탄식하며 일본의 멸망을 미리 조문한다"는 의미로 관동도독부 고위 관료에게 전달된 뒤 후손이 보관해왔다. 국내 전시된 적이 없으며 경기도는 최근 일본 소장자와의 협상 끝에 이 작품을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현재는 협상 중재 역할을 한 민간 탐사팀이 보관하고 있다.
![]() |
안중근, '장탄일성 선조일본'. [사진=경기도] |
경기도와 광복회 경기도지부는 두 유묵 모두에 대해 우선 구매 협약서를 확보하고 협상을 진행 중이다. 도 관계자는 "귀환이 무산되면 작품이 개인 소장자나 해외 수집가에게 넘어갈 수 있다"며 "공공의 역사 자산을 반드시 국내로 가져오겠다"고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귀환이 성사되면 DMZ 인근에 '안중근 평화센터'를 조성해 기념사업, 유묵 발굴·수집, 동아시아 평화 교류 연구와 포럼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