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C와 IBS의 최신 기후변화 연구 발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후 예측 기술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이하 APCC)는 기상청, 부산시와 공동으로 지난 7일부터 8일까지 양일간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2025 APEC 기후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APCC 설립 20주년을 기념하는 공식 행사와 연계해 열렸으며, 'APEC 지역의 기후난제: 기후변화의 복합성과 대응 방향 모색'을 주제로,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의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7일 행사는 '기후변화와 난제에 대한 과학적·사회적 관점의 이해'를 주제로, 짐 스키(Jim Skea) IPCC 의장의 영상 발표와 함께 악셀 티머만(Axel Timmermann)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센터장이 아태지역 기후변화의 영향과 미래 전망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지난 7일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5 APEC 기후심포지엄' [사진=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후센터] 2025.08.08 |
진행된 세션에서는 '기후난제 – 원인과 예측, 성과 및 향후 방향'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발표자들은 극한기상·기후현상의 원인 분석 기술, 계절(3~6개월)에서 10년 예측 기술, AI 및 빅데이터 활용, 기후예측의 불확실성 표현 방법 등에 대해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과학적 분석이 정책으로 연결되기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8일에는 '기후난제–기후회복력 강화를 위한 적응과 협력'을 주제로 기후정보 서비스의 사회·경제적 가치와 함께 농업, 재난위험 관리, 보건 등 분야별 적응 전략이 소개하며 기후 회복력 강화를 위한 접근과 협력 방안이 논의했다.
이후 패널토론에서는 아태지역 내 기후정보 생산자와 사용자 간 연계 강화 방안, 민관학 협력 체계 구축,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으며,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APCC 김형진 원장직무대행은 "올해로 설립 20주년을 맞은 APCC는 지난 20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아태지역의 기후난제 해결과 회복력 있는 사회 구현을 위해 지속적인 기후연구와 국제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