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지원 확대에도 인력 유출 못 막아
사후 수습책 한계...구조적 취약성 노출
[밀양=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밀양시의 유일 지역응급의료기관인 밀양윤병원 응급실이 지난 1일로 전격 운영을 중단하면서, 지역 응급의료 체계에 심각한 공백이 발생했다.
시는 7일 긴급 대책을 발표하며 의료 공백 해소를 위한 대응에 나섰지만, 사태 발생 전후의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다.
![]() |
밀양윤병원 전경 [사진=네이버 홈페이지 캡처] 2025.08.07 |
시에 따르면, 응급실 의료인력 3명이 7월 말 집단 퇴사를 예고했고, 병원 측은 지난달 31일 "의료인력 확보 실패로 응급실 운영 불가"를 공식 통보했다.
하지만 밀양시는 이 같은 중대한 상황에 대해 즉각적인 예방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단기간 내 의료인력 충원이나 대체 인력 확보에 실패해 응급실 운영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
시는 그간 응급의료기관 운영 보조금을 확대해 2025년 예산안 기준 7억 3000만 원을 편성했으며, 순수 시비도 4억 50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인근 통영시와 비교할 때 두 배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는 등 강도 높은 지원을 해왔음에도 인력 유출을 막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 예산 지원만으로는 인력 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이번 사태가 경남 도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재정지원에도 불구하고 발생했다는 점에서 밀양시 행정의 위기관리 능력과 사전 대응 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뒤늦게 제일병원, 밀양병원 등 다수 병원과의 협력체계를 가동하고, 달빛어린이병원을 통한 야간·공휴일 소아 진료 유지, 119상황실과 경남응급의료센터 간 실시간 정보 공유 등 후속 대응책을 내놓았지만, 모두 '사후 수습'에 그쳤다.
시 관계자는 "응급실 운영 중단으로 시민께 불편을 끼쳐 송구하다"며 "의료 공백 해소를 위해 모든 자원을 투입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늦장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시민 신뢰 훼손과 지역 의료 안전 불안은 쉽게 해소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번 사태는 밀양시 응급의료 체계의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냈다. 사전 위험 예측과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종합 대책 마련과 함께, 의료 인력 확보를 위한 근본적 요소를 점검하는 것이 시급하다.
향후 비슷한 위기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적 대응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