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지난 5월 31일로 만료 예정이던 서울 마포구 상암동 마포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운영 연장을 둘러싸고 서울시와 마포구의 갈등이 점입가경이다.
마포구는 서울시가 상암동 소각장 공동이용 협약을 '시설 폐쇄 시'까지로 개정한 데 반발해 강경 대응을 예고했고 주민들도 반대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 |
이경화 사회부 차장 |
갈등의 본질은 신규 소각장 건설 문제다. 서울시는 내년 생활폐기물 직매립(쓰레기를 소각하지 않고 그대로 땅에 묻는 것) 금지에 맞서 상암동에 1000t 규모의 소각장을 새로 지으려다 서울행정법원에서 제동이 걸렸다.
법원은 소각장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등에 절차적 하자가 있다며 마포구민들 손을 들어줬지만 서울시가 항소해 법적 다툼이 진행 중에 있다.
무엇보다 마포 소각장 갈등은 주민을 주축으로 한 감정싸움으로 비화되면서 지역 이기주의가 아니냐는 일각의 따가운 시선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앙정부에서도 관련 문제에 쉽사리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소각장 확충 문제가 수도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지만 뾰족한 대안 없이 나서게 될 경우 그야말로 불난 집에 기름 붓는 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소각장을 둘러싼 서울시와 마포구·주민 측 갈등 해결의 실마리는 보이지 않는다. 이대로라면 지역 최대 현안인 소각장 문제는 내년 6·3 지방선거로 옮겨 붙으면서 정치 쟁점화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이 소각장을 둘러싼 갈등 해소와 대안 마련에 의지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향후 이 문제가 선거 이슈로 부각된다면 사실상 5선에 도전하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정치적 부담도 커질 수 있다. 오 시장의 계획대로 당면 현안이 원만하게 추진될지는 미지수라는 얘기다.
기피 시설인 소각장을 반기는 구와 주민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어딘가에 꼭 지어야 한다면 구체적인 구현 방안과 방향을 심도 있게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직매립 금지를 코앞에 둔 시점에 기존 소각장의 연장 사용이 불가피하다면 서울시가 지역 주민과의 신뢰 회복을 위한 책임 있는 조치를 통해 해결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할 때다.
서울시와 마포구는 이제라도 얼굴을 붉히는 대신, 협의 채널을 적극 가동해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해법을 찾았으면 한다. 자칫 선거 이슈로 전락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갈등을 더 이상 키워서는 안 된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