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장기물 국채 금리가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미국, 유럽은 물론 일본에서도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시장을 압박하면서 국채 매도세가 확산됐다.
특히 일본에서는 오는 2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당이 과반을 상실할 경우 확장적 재정 정책으로 기울 것이라는 불안이 커지면서, 장기금리가 약 17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 |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들 [사진=블룸버그] |
◆ 日 10년물 금리 1.595%...리먼쇼크 이후 최고
15일 도쿄 채권시장에서는 신규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전일 대비 2.5bp(1bp=0.01%) 상승한 1.595%까지 오르며, 리먼 쇼크 직후인 2008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초장기물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30년물 국채 수익률은 10bp 넘게 오르며 5월 최고치에 근접했다. 일본은행(BOJ)이 마이너스 금리를 종료한 뒤 두 차례 금리를 인상하고, 국채 매입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있다는 점도 수급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채권시장 내 큰손으로 통하는 일본의 생명보험사도 국채 매입을 줄이고 있어, 매수 기반이 약화되는 모습이다.
일본 주요 생보사들은 올 회계연도(2025년4월~2026년3월)에 국채 보유 잔액을 총 1조3000억엔(약 12조원) 줄이기로 했다. 최대 보험사인 니폰생명의 경우 9년 만에 국채 보유 잔액을 축소할 방침이다.
SMBC닛코증권의 오쿠무라 마코토 수석 금리 전략가는 "시장에서는 여당의 선거 패배와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퇴진을 메인 시나리오로 보기 시작했다"며 "초장기 국채에는 매수세가 거의 없고, 상반기에 대거 순매수에 나섰던 외국인 투자자들도 잠재적으로 매도로 전환되기 쉬운 포지션이 쌓여 있다"고 지적했다.
![]() |
◆ 日·獨·英·佛 금리 동반 급등...재정 확대 기조에 우려 증폭
일본뿐만 아니라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에서도 장기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14일 거래에서는 각국 장기물 금리가 일제히 오르며, 재정 적자 확대에 따른 국채 수요 약화가 뚜렷해졌다.
독일 30년물 국채 수익률은 3bp 상승한 3.25%로 202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독일 정부는 군비 및 인프라 확대를 위해 오랜 재정 긴축 노선을 벗어나 국채 발행을 늘리고 있으며, 이 역시 국채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프랑스와 영국 역시 과도한 국가 부채가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국채 발행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 특히 프랑스는 정치적 혼란이 국채 수요 위축으로 직결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MSF인베스트먼트의 브누아 앤 매니징디렉터는 "시장 초점이 금리 정책에서 예산과 국가 채무 문제로 옮겨가고 있다"며 "과거 사례를 봐도 방만한 재정에 대한 회의감은 급속히 고조될 수 있다"고 말했다.
◆ 美 30년물도 5% 근접..."인플레行 버스 동반 탑승"
미국에서도 장기물 금리는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14일 기준 미 30년물 국채 수익률은 4.98%로 한 달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으며, 월초 대비 20bp 이상 상승했다.
올스프링글로벌인베스트먼트의 조지 보리 수석 채권 투자 전략가는 "장기물 금리가 5%를 다시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며 "전 세계적으로 재정 적자 기반의 지출이 확대되고 있고, 이로 인한 압력이 장기물로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거대하고 아름다운 감세 법안'이 향후 10년간 수조 달러의 추가 부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전망이 시장에 잠재적 불안을 남기고 있다.
블루엣지어드바이저스의 캘빈 요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미국, 일본, 유럽 모두 가득 찬 연료 탱크(막대한 재정 지출)를 싣고 인플레이션을 향해 달리는 버스에 탑승한 셈"이라며, 당분간 장기물 금리는 높은 수준에서 머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 |
◆ 채권시장, '재정 위기' 경고 발신
최근 장기금리 상승은 단순한 통화 정책 전망 변화가 아닌, 주요국 재정 운용에 대한 신뢰 저하에서 비롯된 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은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확장적 재정 정책에 대한 우려가, 독일은 군비·인프라 투자로 인하 재정 지출 확대, 미국은 트럼프 감세안에 따른 수조 달러 규모의 추가 부채 우려가 장기금리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특히 일본처럼 금리 인상 여지가 제한된 국가에서도 장기물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는 점은 국채 수요 약화와 재정 리스크의 결합이 얼마나 강력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각국 정부가 선심성 지출을 공약하거나 국방·복지 지출을 확대하는 와중에 국채 공급이 늘어나고 있지만, 시장은 이를 모두 받아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경고음을 내고 있다.
단기금리는 여전히 통화 정책에 연동돼 움직이지만, 장기금리는 재정 정책과 신뢰라는 보다 복잡한 변수에 좌우된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함께 재정 기조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가운데, 주요국 장기금리는 당분간 고공 행진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시장이 보내는 신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