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전 10시 국회 환노위서 인사청문회
기후에너지부 향방에 "모든 부처 협업 필요"
환경부 첫 과제 "온실가스 감축 가속" 선정
"배출권 거래제 허용총량 엄격…유상할당↑"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15일 열린다. 김 후보자는 청문회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방향과 기후에너지부 재편 갈림길에 선 환경부 과제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이날 오전 10시 국회에서 김성환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연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가 취임한다면 환경부는 배출권 거래제 유상할당 비율 축소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정책 등을 집중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이룸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6.24 choipix16@newspim.com |
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서면답변서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가속화로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을 환경부 중점 추진 10대 과제 중 첫 번째로 꼽은 바 있다. 또 2050 탄소중립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부문별로 보다 적극적인 감축 목표가 필요하다고 했다.
감축 방법의 경우 배출권 거래제 시장기능 정상화를 통해 기업의 감축 유인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 후보자는 "3기 배출권 거래제는 과잉 할당된 배출허용총량, 높은 무상할당 비율로 감축 유인을 제공하기 어려웠다"며 "4기에는 배출허용총량을 엄격 설정하고 유상할당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기후에너지부 및 기후환경에너지부 등 환경부 개편 방향에 대해서는 어떤 결론이 나더라도 범부처 협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기후위기는 생존·경제·일자리·인권의 위기로, 기후위기·사회·경제 문제를 함께 풀어갈 통합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구체적인 조직 개편방안은 현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논의 중이며,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되더라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모든 부처가 협업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제20·21·22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지낸 3선 의원이다. 1965년생 전남 여수 출신으로 한성고와 연세대 법학과, 같은 대학 행정대학원 도시 및 지방행정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위원으로서 국회 기후위기탈탄소포럼 등에서 활동, 재생에너지 분야에 강점을 보였다. 이재명 대통령 후보 시절 선거대책위원회 정책본부 공동본부장을 맡아 기후·에너지 분야 공약 설계에도 활약했다.
김 후보자는 앞서 1995년 노원구의원, 1998년 서울시의원에 당선됐다. 2006년 8월부터 2007년 9월까지는 노무현 대통령 청와대 정책조정비서관을 역임하고 2010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민선 5, 6기 노원구청장에 연임했다.
국회에는 2018년 노원구 병 재보궐선거 당선으로 진출했다. 2018년 8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이해찬 민주당 당대표 비서실장을 지냈고, 2021년 4월부터 2022년 3월까지 민주당 원내기획수석부대표, 2022년 6월부터 2023년 3월까지 민주당 정책위의장을 맡았다.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