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적인 이중·다중 특이성 항체 기술 플랫폼
'페토셈타맙'의 뛰어난 임상 결과와 3상 진행
두경부암 치료서 79% 생존율 vs 키트루다 59%
월가 '만장일치' 매수 추천...주가 61% 상승 여력
이 기사는 5월 26일 오후 4시5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네덜란드계 생명공학기업 메루스(종목코드: MRUS)가 혁신적인 이중 특이성 항체 기반 암 치료제 개발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며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메루스 주가는 32.55% 급등한 55.14달러로 마감했으며, 거래량은 평소(최근 3개월 평균 84만주)의 9배에 달하는 788만 주를 넘어섰다.
이번 주가 급등은 메루스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페토셈타맙(Petosemtamab)'과 머크의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이 두경부 편평세포암(HNSCC) 치료에서 놀라운 임상 결과를 보인 데 따른 것이다. 특히 12개월 시점에서 전체 생존율(OS) 79%라는 전례 없는 성과는 기존 표준 치료제인 키트루다 단독요법의 50~59%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의료진과 투자자들을 놀라게 했다.
![]() |
메루스 로고 [사진=업체 홈페이지 갈무리] |
◆ 획기적인 임상 2상 결과, 새로운 표준 치료 가능성 제시
2003년 6월 설립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에 본사를 두고 있는 메루스는 독자적인 이중 및 다중 항체 플랫폼을 통해 암 치료제를 개발한다. 다중 항체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항원을 인식할 수 있어 단일 항체에 비해 향상된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
메루스의 '페토셈타맙' 작용 기전 이미지 [사진=업체 홈페이지] |
메루스가 22일 발표한 임상 2상 중간결과에 따르면, 페토셈타맙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을 받은 PD-L1 양성 두경부 편평세포암(HNSCC) 환자 43명 중 63%가 치료에 반응을 보였다. 이 중 6명은 완전 반응, 21명은 부분 반응을 나타내며 기존 치료법을 크게 앞선 성과를 거뒀다. 두경부 편평세포암은 주로 구강과 인두에 영향을 끼치는 악성 종양이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생존율 데이터다. 12개월 시점에서 전체 생존율(OS)이 79%에 달했으며,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mPFS)은 9개월을 기록했다. 이는 현재 표준 치료인 키트루다 단독요법의 최고 생존율인 50~59%를 크게 상회하는 놀라운 결과다.
빌 룬드버그 메루스 최고경영자(CEO)는 "본질적으로 모든 지표에서 이번 중간 데이터가 3상 임상시험의 대조군인 펨브롤리주맙(키트루다 성분명) 단독요법보다 훨씬 우수하다"며 "페토셈타맙이 승인된다면 두경부암의 새로운 표준 치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표했다.
◆ 혁신적인 이중 특이성 항체 기술
페토셈타맙은 메루스의 독점 기술인 바이오클로닉스(Biclonics)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인간화 이중 특이성 항체다. 이 치료제는 암세포 표면의 두 가지 단백질인 EGFR과 LGR5를 동시에 표적으로 삼아 면역 체계의 항암 활동을 강화하는 혁신적인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다.
![]() |
메루스의 바이오클로닉스(Biclonics) 플랫폼 이미지: Biclonics® 이중특이항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표적에 결합할 수 있어 이중 암세포 표적화 또는 암세포와 면역 효과 세포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 [사진=업체 홈페이지] |
두경부 편평세포암은 예후가 좋지 않고 사망률이 높은 난치성 암으로,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었다. 페토셈타맙의 뛰어난 임상 결과는 이러한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네덜란드 라드바우드 대학 메디컬 센터의 카를라 M. L. 반 헤르펜 박사는 "현재 표준 치료인 펨브롤리주맙과 병용했을 때 페토셈타맙이 보여준 높은 전체 반응률과 반응 지속성이 인상적"이라며 "이러한 결과가 더 광범위하게 재현된다면 두경부암 치료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 3상 임상 진행 중...2026년 결과 발표 예정
메루스는 현재 페토셈타맙에 대한 두 건(1L HNSCC 환자와 2/3L HNSCC 환자 대상)의 3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1L 환자군은 1차 재발성 또는 전이성 HNSCC 환자이고, 2/3L 환자군은 기존 요법으로 호전되지 않는 불치성 재발 및 전이성 HNSCC 환자이다.
1L HNSCC 임상시험은 키트루다와 병용요법에서의 효능을 평가하고, 2/3L HNSCC 임상시험은 페토셈타맙의 단독요법 효능을 확인한다. 룬드버그 CEO는 "신속한 임상 사이트 개시로 우리의 실행력이 뛰어나다"면서 "2026년에 3상 임상시험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중간 결과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3상 임상시험에서 2상 결과가 재현된다면, 페토셈타맙은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1차 치료제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메루스에게 상당한 수익 성장을 가져다줄 뿐만 아니라, 회사의 이중 특이성 항체 플랫폼 기술력을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
페토셈타맙에 대한 임상시험 [사진=메루스 홈페이지] |
◆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일치된 낙관론
메루스의 임상 성과에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일제히 환호하고 있다. CNBC 집계에 따르면, 메루스를 커버하는 18개 투자은행 모두가 '매수' 이상의 투자의견을 제시했다. 이 중 8곳은 '강력 매수', 10곳은 '매수' 의견을 내놨으며, 평균 목표주가는 88.75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60.95%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BMO 캐피털 마켓은 메루스의 최신 임상 결과가 미 식품의약국(FDA) 가속 승인의 길을 열 수 있다고 전망하며 목표주가를 96달러에서 110달러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BMO의 에처 다라우트 애널리스트는 "페토셈타맙과 펨브롤리주맙의 HNSCC에 대한 업데이트된 2상 데이터가 매우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다"며 승인 가능성 추정치를 85%에서 90%로 올렸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증권도 '매수' 투자의견을 재확인하며 목표주가를 70달러에서 92달러로 인상했다. BofA 애널리스트들은 "12개월 기준 전체 생존율 79%는 획기적인 수치로, 메루스의 페토셈타맙과 펨브롤리주맙 조합이 환자군에 대한 동급 최강의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리링크 파트너스는 "이러한 임상 2상 데이터는 페토셈타맙과 키트루다가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양성 및 HPV 음성 1차 HNSCC의 전체 스펙트럼에서 표준 치료제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②편에서 계속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