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구조개선·특성화 강화
원광대, 글로컬대학 선정…생명산업 글로벌 거점대학 목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4년제 일반대학과 전문대학교 학사 과정이 한 대학에서 동시에 운영되는 첫 사례가 내년 3월 선보인다. 학생들은 한 캠퍼스 내에서 이론과 실무를 동시에 배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학교법인 원광학원이 신청한 원광대와 원광보건대의 통·폐합을 승인했다고 28일 밝혔다. 교육부 심의기구인 대학설립개편심사위원회는 통·폐합 요건을 살펴본 후 최종 의결했다.
![]() |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전경 [사진 = 뉴스핌] |
이번 승인으로 원광대와 원광보건대는 2026년 3월부터 통합 출범한다. 대학은 원광대 단일 이름으로 운영된다. 다만 정원은 전년보다 408명 줄어든 3950명을 선발한다.
앞서 지난해 원광대는 생명산업 글로벌 거점대학을 목표로 내세워 글로컬대학에 지정됐다. 캠퍼스에 대학-산업체-병원-연구기관을 연계한 협력지구(클러스터) 조성 및 생명산업 거점으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학사 과정에서는 일반학사와 전문학사가 동시에 운영되는 시험적 모델도 제시했다. 일반대와 전문대가 통합하는 경우 전문대 학사 과정이 일반대에 흡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쟁력 있는 교육 과정은 유지하겠다는 취지다.
아울러 원광대가 있는 전북도는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으로 지정됐다. 지방대학이 지역 특성에 따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규제가 완화되는 조치다.
통합을 계기로 의생명·농생명·생명서비스의 3개 생명융합대학 중심으로 학사체계가 재편된다. 전체 입학정원 중 60% 생명산업 분야에서 뽑는다.
실제 원광대는 의과·치과·한의과 대학 등 의료 이론 및 연구분야에서, 원광보건대는 물리치료·방사선·치위생 등 실무중심의 보건의료 교육에 각각 특화됐다. 통합으로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융합교육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부는 통·폐합의 취지와 목적 달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건전하고 안정적인 교육환경이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