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각 스티커부터 자동문열림까지…현장 피드백 반영한 포용적 설계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미래의 가전은 가사 활동을 도와주는 것을 넘어 온전히 해방해 주게 될 것이다. 각 제품 기능으로 다양성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완결형 기술로 어떤 상황에도 해결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보나 삼성전자 DA사업부 CX 인사이트(Insight) 그룹 상무는 18일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된 인터뷰에서 "'모두를 위한 접근성, 모두를 위한 기술(Universal Accessibility, Universal Technology)'을 지향하는 혁신의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 |
이보나 삼성전자 상무와 패밀리허브 냉장고 32형의 색상 반전 모드 적용 화면. [사진 = 삼성전자 뉴스룸] |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 비전 아래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장애인과 노약자 등도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데 있어 소외되지 않도록 돕겠다는 취지에서다.
이 상무는 "삼성전자는 제품의 AI 기능의 발전과 함께 나와 내 가족 그리고 공간을 이해하는 '인-홈(In-Home)' 경험을 제공해 가사 활동의 완결형 자동화를 지향하고 있다"며 "모두를 위한 AI는 제품 각각의 기능이 연결로 확장되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상황에 상관없이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모두를 포용하는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을 포함해 다양한 접근성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제품 버튼에 촉각 스티커를 제공하고 접근성 사운드를 넣거나, 휠체어에 앉아서 팔을 뻗어도 닿는 곳에 조작부를 배치해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등 장애 유형에 맞는 솔루션을 적용 중이다.
2025년형 비스포크 AI 가전 신제품에 탑재된 '빅스비'는 목소리를 식별하는 보이스ID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맞는 접근성 설정을 제공할 예정이다. 마이크와 스피커를 탑재해 빅스비에 동작 상태를 직접 물어볼 수도 있고 주요 알림은 음성으로 말해주는 기능도 지원되고 있다.
이 상무는 "활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았던 오토 오픈 도어는 냉장고, 세탁기, 오븐, 식기세척기 등 더 많은 제품에 확대 적용됐다"며 "가볍게 터치하거나 '세탁기 문 열어 줘'라고 말하면 문이 열려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 뉴스룸은 오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이 상무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