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는 최근 잇따라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 하동 산불 대응 현장을 방문해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살펴봤다고 8일 밝혔다.
경제환경위원회는 이번 현장 방문에 앞서 지난 3월 21~22일 산청, 23일 김해와 하동, 26일 양산 등 주요 산불 피해지역을 차례로 방문하며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 |
경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가 대형 산불 대응 현장을 찾아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있다. [사진=경남도의회] 2025.04.08 |
최근 대형 산불의 근본적인 원인이 기후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실제 대형산불이 발생한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의 3월 강수량은 예년 평년에 비해 현저히 부족해 산림이 극도로 건조한 상태였고, 이는 산불의 발화와 확산을 촉진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인해 대형 산불의 발생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지만, 산불 대응 체계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경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는 대형 산불 피해 대응력 강화를 위한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할 계획이다.
이번 건의안에는 ▲'권역별 산불 대응 통합센터' 설치 ▲노후화된 산불 진화 헬기를 담수 능력이 큰 헬기로 교체 ▲산불 진화대원의 안전 확보 및 초기 대응력 강화를 위한 장비 보급과 전문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허동원 위원장은 "산불은 무엇보다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고, 그에 따른 인적‧물적 피해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라며 "현행 법령과 행정 제도상의 문제점을 많이 느끼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경제환경위원회에서는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대정부 건의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대형 산불 피해 대응력 강화를 위한 대정부 건의안은 오는 17일 제422회 경상남도의회 임시회 제1차 경제환경위원회를 거쳐 25일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