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KTX 개통 21주년...지난해 역대 최대 최대 9000만명 탑승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21년 간 11억4000만명이 KTX를 이용했다. 우리나라 국 1명 당 23번 고속열차를 탄 셈이다.
1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개통 21주년을 맞은 KTX가 6억 9000만km를 달렸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KTX-청룡 등이 새로 운행하며 고속철도 연간 이용객은 역대 최고인 9000만명(8989만명)에 육박한다.
![]() |
KTX 인포. [사진=코레일] 2025.04.01 gyun507@newspim.com |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당 KTX를 23번 탄 셈이고 전체 운행거리는 지구둘레(4만km)를 1만 7000바퀴를 돈 것과 맞먹는다.
그동안 KTX 이용객이 이동한 거리(연인거리)를 모두 합치면 2800억km에 달하는데 이는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1억 5000만㎞)의 약 1880배다.
처음 경부·호남선 20개 역에서 시작한 KTX는 현재 8개 노선(경부·호남·경전·전라·동해·강릉·중부내륙·중앙) 77개 역을 누비고 있다.
특히 지난해는 중부내륙선(판교~충주~문경)과 중앙선(서울~안동~부전)이 연장개통했다. 노선 연장에 따라 중부내륙선과 중앙선 모두 전년 대비 이용객이 두 배 가량 늘어나 수도권과 지방 간 이동편의가 높아졌다. 올 연말에는 동해선에도 KTX를 운행할 계획이다.
2025년 기준 KTX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24만 6000명이다. 개통 첫해 7만 2000명과 비교하면 3.4배 늘었다. 하루 운행횟수도 개통 초 142회에서 올해 385회로 2.7배 증가했다.
올해 KTX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날은 3.1절 연휴 전날인 2월 28일로, 하루 385회 운행해 33만명이 탔다. 개통 첫해 하루 최대 이용객인 11만명(추석 다음날, '04.9.29.) 대비 3배 늘었다.
지난해 가장 많이 이용한 역은 서울역(10만 3000명)으로, 하루평균 이용객이 2004년 대비 2.3배 늘었다.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역은 행신역으로 첫 해 267명에서 현재 5313명으로 20배 가까이 늘었다.
전체 철도 이용객 중 KTX 이용객 비중을 살펴보면, 2004년에는 18%만 고속열차를 탔다. 해마다 비율이 늘어나 2014년은 42%, 2024년은 62%, 2025년(3월 기준)에는 63%를 넘어섰다. 10명 중 6명 이상이 KTX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2023년 국가교통통계에 따르면 KTX는 210km 이상의 거리에서 수송분담률 25.6%를 차지했다.
2024년 코레일의 권역별 교통시장조사 결과에서는 서울-부산 이동의 53%, 서울-광주 44%, 서울-울산 62%가 KTX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코레일은 모바일 앱 '코레일톡'을 기반으로 하는 '코레일 MaaS(Mobility As a Service)'를 확대하고 있다.
![]() |
한국철도 KTX [사진=한국철도] |
코레일 MaaS는 승차권 예매뿐 아니라 ▲길안내 ▲숙박 ▲대중교통 ▲렌터카 ▲카셰어링 ▲실시간 열차위치 안내 등 교통과 다양한 여행서비스를 하나로 묶은 혁신 플랫폼이다.
나아가 시각·지체장애인 대상 승차권 음성 예약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서비스 가속화로 코레일톡 등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열차 승차권 발권 비율은 올 2월 기준 92%에 달한다. 10명 중 9명은 코레일톡에서 승차권을 구입해, 역창구 발권비율이 85%였던 2004년과는 반대가 됐다.
외국인 이용객도 늘어났다. KTX를 포함한 외국인 철도 이용객은 2023년 344만명에서 61% 증가한 약 554만명에 달했다. 지난해 방한 외국인( 1637만 명) 3명 중 1명꼴로 열차를 이용한 셈이다.
코레일은 지난해 7월부터 서울역에 '외국인 우선창구'를 운영하고 서울역에 해외카드 결제가 가능한 자동발매기와 영상발권장치도 추가 설치했다.
아울러 지난해 11월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제공되는 외국인 전용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하고 좌석선택 '시트맵' 기능을 구현했다.
차량도 점차 개선 중이다. 개통 당시에는 20칸으로 구성된 KTX-1을 46대 운행하다 이어 2010년에 한국형 고속열차인 KTX-산천이, 2021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동력분산식 고속열차인 KTX-이음이 순차적으로 도입됐다.
지난해 5월부터는 최대 320km/h로 달릴 수 있는 KTX-청룡이 다니기 시작했다.
KTX-청룡은 순수 우리나라 기술로 개발된 동력분산식 고속열차로, 기존 KTX-산천 대비 좌석수가 36%(379석→515석), 앞좌석 의자와 무릎 사이 간격이 19%(106mm→126mm), 통로폭도 34%(450mm→604mm) 넓어져 더 쾌적해졌다.
아울러 코레일은 기대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KTX-1을 대체할 차세대 고속차량은 인공지능 등 첨단 IT 기술을 적용해 안전과 편의성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차성열 코레일 여객사업본부장은 "KTX가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응원해주신 국민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