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대응 현황 점검 및 협업체계 구축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대통령실은 28일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 주재로 인공지능(AI) 관련 안보 위협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유관기관 합동 회의를 개최하고 '국가 AI 안보 협의회(National AI Security Consultative Group)'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AI 관련 정책 및 위협 대응 등 AI 안보와 관련된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등 7개 정부 기관 국장급 관계자가 참석했다.
![]() |
대통령실 청사 [사진= 뉴스핌 DB] |
왕 차장은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생성형 AI 등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는 반면, 동시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AI 기술 오용과 통제력 상실 등으로 인한 중대한 사이버 안보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가안보 차원에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AI 안보란 국가 존립과 핵심기능 수행 등을 저해하는 국가기밀 유출, 적대세력의 공격, 국방·외교·경제 등에서의 중대이익 침해 등 당면하거나 발생 가능한 제반 위협을 예방하고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이번 범정부 협의회 출범을 계기로 대통령실과 유관기관이 AI 안보 관련 정책과 현안을 신속하게 공유하고 논의해 AI 안보 위협에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날 회의에서는 AI 안보 위협 실태 및 부처별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 과제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국가안보실은 "앞으로 AI 기술 활용에 관한 국가안보 차원의 위해성 검토 등 중요 사안에 있어 관계부처 간 논의가 필요한 경우 동 협의회를 가동하는 한편, AI 관련 공공기관들로 구성된 별도의 실무그룹도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국가안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이 간사 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필요시 학계와 민간 전문가를 초청해 함께 협의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AI 안보 위협 대응을 위한 협업 및 논의의 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