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崔宪圭专栏】从小米和三星看重叠的韩中国立地位

기사입력 : 2025년03월27일 15:52

최종수정 : 2025년03월27일 15:52

纽斯频通讯社首尔3月27日电(记者 崔宪圭)"2011年5月,因小米希望购买韩国手机零部件,我首次访问小米。当时,小米联合创始人兼CTO林斌在会议结束后请我们共进午餐。他们的愿景远不止于智能手机操作系统,更致力于自主生产手机,构建ICT生态链。在与日本屏幕供应商夏普合作的同时,小米亦希望与韩国供应商携手,因此委托我们引荐三星与LG的屏幕,并将策划书交由我们。

之后,笔者(大韩贸易投资振兴公社成都贸易馆馆长边龙燮)和团队立即着手寻找适合小米手机的屏幕供应商。在韩国拥有全球顶尖手机屏幕技术的三星与LG成为小米重点考虑的供应商。尽管我们积极转交了小米的策划书,力推合作,但得到的回复大多令人失望,归根结底是不愿为这家"默默无闻"的中国公司生产屏幕。

虽然在我们牵线下,小米最终与三星和LG总部进行了视频会议,但结果如预期般冷淡。韩方企业认为小米的新产品缺乏可靠性,且优先级不高,供货几近不可能,小米对此自然深感失落。"

【图片=网络】

上述文字节选自大韩贸易投资振兴公社成都贸易馆馆长边龙燮于2024年夏季为纽斯频(NEWSPIM)通讯社撰写的专栏《搬不走的邻居,期待一场春雨润中韩》,生动描绘了小米创业初期尝试与韩企洽谈零部件供应的艰辛历程。三十年河东三十年河西,小米如今已发展成为智能生态、AI芯片乃至电动汽车领域的顶尖科技企业。

3月24日,三星电子会长李在镕、美国高通CEO等全球IT行业巨擘赴中国参加论坛期间,特地参观了小米位于北京的电动汽车工厂。当天迎接他们并合影的,正是当年请边龙燮用餐、如今已是小米集团副董事长的林斌。

2011年,小米刚刚成立仅一年,工商注册文件墨迹未干,却已胆识过人,提出制造智能手机并向韩国企业请求供货,在当时的三星和LG看来无疑是"痴人说梦"。更何况,彼时全球显示屏市场处于供不应求的卖方状态,韩企拒绝小米的请求在情理之中。

如今的小米,已跃升为全球第三大智能手机制造商,更豪言将于数年内超越三星和苹果,问鼎全球智能手机市场。其业务版图从智能手机、家电、AI芯片延伸至电动汽车领域,在全球引发轰动。

小米于2024年3月中旬推出电动车SU7,仅不到一年销量即突破20万辆,震惊全球电动汽车市场。其全年销售目标也从最初的30万辆上调至35万辆,并计划在2025年年中推出新款YU7。

15年间,三星和小米的市场地位发生戏剧性反转。15年前,小米向三星请求供应手机屏幕被拒;如今,三星电子李在镕亲自参观小米的电动汽车工厂,显示出对潜在合作的极大兴趣。外界推测,双方可能探讨了三星向小米电动汽车供应显示屏和汽车芯片的合作方案。

但目前来看,三星能否成功打入小米电动汽车供应链仍是未知数。据中国业内人士透露,小米目前电动汽车所用的高端显示屏全部由中国本土企业供应。如SU7 Ultra搭载的中控屏由TCL提供,翻转仪表屏来自京东方,HUD抬头显示则由泽景提供。三星虽具备潜力,但能否撼动已形成的供应链仍不明朗。

在汽车芯片领域,小米与美国高通保持着紧密合作。小米不仅在手机上采用高通芯片,SU7同样采用高通核心汽车芯片,双方合作关系稳固。

高通正在加强与小米等中国本土企业在ADAS(高级驾驶辅助系统)与智能驾驶解决方案领域的合作。从高通在中国的深耕与活跃表现来看,不禁令人感慨:中美打经济战,真正"受伤"的或许是韩国企业。(完)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재주는 트럼프가, 돈은 브라질이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공세로 글로벌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브라질이 주요 승자로 부상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대중(對中) 관세에 맞서 미국산 농산물에 보복 관세를 매기며 대체 수입처로 브라질을 주목하고 있다. 수출입 컨테이너 [사진=블룸버그] 중국 가공업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하기 전부터 브라질산 대두를 비축하기 시작했고, 올해 1분기 필요한 물량의 거의 전량을 브라질에서 조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4% 수준이었던 브라질산 비중과 비교하면 큰 폭의 증가다. 가격도 상승세다. 상파울루대학 산하 연구기관 세페아(CEPEA)에 따르면, 브라질 항구에서 선적되는 대두의 프리미엄은 중국이 미국산 대두에 10% 관세를 발표한 직후 일주일 동안 약 70% 급등했다. 3월 선적 기준으로는 부셸당 85센트를 기록해 3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닭고기와 달걀 수출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인다. 브라질의 가금류·돼지고기·달걀 수출업체를 대표하는 브라질동물단백질협회(ABPA)의 히카르두 산틴 협회장은 올해 들어 브라질의 닭고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 달걀 수출은 20% 증가했다고 밝혔다. 브라질은 미국과 달리 조류 인플루엔자를 겪고 있지 않아, 안정적인 공급처로 주목받고 있다. 여기에 중국이 미국산 닭고기에 1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면서 브라질산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사실 브라질과 중국의 교역 관계는 최근 수년 빠르게 확대됐다. 중국은 2009년에 미국을 제치고 브라질의 최대 무역 파트너로 부상했다. 쇠고기, 철광석, 석유 등 자원이 풍부한 브라질은 중국의 막대한 수요에 맞춰 수출을 확대해 왔고, 중국은 브라질의 인프라 건설에 대규모 자본을 투입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브라질 전체 전력 공급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항만과 도로, 철도 등 주요 기반 시설 건설에도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브라질은 미국 시장에서도 수출 확대 가능성을 보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주요 신발 수출국인데,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아시아를 제외하고 최대 신발 생산국인 브라질이 그 자리를 일부 대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다. 하롤두 페헤이라 브라질 신발산업협회(Abicalçados) 회장은 "브라질산 제품에 별다른 관세가 없다면, 미국 수출 확대의 기회가 될 수 있다"라고 밝혔다. 글로벌 무역전쟁 국면에서 오히려 특수를 누릴 것이라는 기대는 브라질 증시에도 훈풍으로 작용했다. 올 들어 브라질 증시는 9% 넘게 오르며 뉴욕 증시를 아웃퍼폼하고 있다. 올 들어 브라질 증시는 9% 넘게 상승, 연중 5% 가까이 하락한 뉴욕증시의 S&P500 지수와 대조를 이룬다 [사진=koyfin] wonjc6@newspim.com   2025-04-02 15:30
사진
김수현 "故김새론, 미성년땐 사귀지 않아"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미성년자였던 고(故) 김새론과 교제했다는 의혹을 받는 배우 김수현이 3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스탠포드호텔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입장 밝히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2025.03.31 mironj19@newspim.com   2025-03-31 17:43
안다쇼핑
`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