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뉴스핌] 이석구 기자 = 경기 안성시농업기술센터는 11일 비봉관에서 '2025년 기후변화 대응 벼 재배기술 교육'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기후변화에 적합한 모내기 시기를 홍보해 농가의 안정적인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 |
기후변화 대응 수찬미 재배기술교육에서 참석한 김보라 시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안성시] |
행사에는 김보라 안성시장을 비롯해 300여 명의 지역 벼 재배 농업인이 참석해 기후변화에 강한 지역특화 품종인 '수찬미'의 재배기술을 배웠다.
'수찬미'는 경기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중생종 품종으로 뛰어난 찰진 밥맛과 높은 품질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한 강한 적응력을 지니고 있어 기존 외래품종을 대체할 수 있는 국내육성 품종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 안성시는 현재 벼 재배면적의 61%를 차지하는 외래품종을 '수찬미', '참드림' 등의 국내육성 품종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며 2026년까지 국내품종 비율을 70%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김보라 시장은 "지난해 벼 농업인들이 기후변화로 어려움을 겪었다"며 "앞으로도 지역특화 품종과 맞춤형 기술 교육을 통해 기후변화에 강한 벼농사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lsg002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