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팔란티어 광기의 랠리 ② 캐시우드 팔았다, 매입은 '이 때'

기사입력 : 2025년02월14일 12:54

최종수정 : 2025년02월14일 12:54

모든 밸류 지표 적신호
도지 반사이익 기대, 왜
밸류 해부, 매입 시기는

이 기사는 2월 13일 오후 1시3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불과 2년 전 6달러에서 110달러까지 치솟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에 여전히 강세론을 굽히지 않는 시장 전문가들은 추가 상승의 근거로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노선을 지목한다.

머스크가 연방 정부의 예산을 대폭 삭감하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는 사실은 비밀이 아니다. 2024년 4분기 기준 정부 부문의 매출 비중이 40%를 훌쩍 웃도는 팔란티어에 불리한 여건이 조성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강세론자들은 오히려 호재라고 주장한다.

정부효울부(DOGE)는 연방 정부 예산과 230만여명의 공무원을 대폭 감축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중이다. 열의를 불 태우는 머스크가 정부 청사의 복도에서 침낭을 깔고 잠자는 모습을 찍은 사진이 세간에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와 관련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보고서를 내고 "정부효율부(DOGE)가 실제로 연방정부의 효율성을 대폭 높이고, 민간 부문과 같은 디지털 우선주의 정책을 취하면 이미 정부 부문과 강력한 관계를 구축한 팔란티어가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팔란티어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업체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시암 산카르는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능력주의에 근간을 둔 투명한 정부를 세운다는 정부효율부(DOGE)의 정책 방향은 팔란티어의 비즈니스와 호응하는 측면이 크다"고 주장했다.

팔란티어 [사진=블룸버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 안보 강화에 적극 나서는 움직임도 팔란티어에 긍정적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업체는 2024년 11월 아마존의 클라우드 비즈니스인 아마존웹서비스(AWS) 및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미 국방 및 정보 부처에 관련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투자은행(IB)은 일단 지켜보자는 움직임이다. 강세론자들의 판단대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노선이 팔란티어에 힘을 실어줄 수도 있지만 예산 삭감에 따라 매출에 타격을 줄 수도 있다는 얘기다.

또 한 가지 월가가 지목하는 문제는 과도하게 고평가된 밸류에이션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팔란티어의 주가매출액비율(PSR)은 50배에 이른다. 이는 S&P500 기업의 평균 수치인 5배를 10배 웃도는 수준이다.

팔란티어 AIP [자료=업체 제공]

업체의 주가가 매출액이나 이익 성장보다 더 빠르게 상승했다는 데 이견의 여지가 없다. 2024년 업체는 28억7000만달러의 매출액을 올렸고, 시가총액은 약 2700억달러로 파악됐다.

말하자면 팔란티어가 맥도날드(MCD)나 시스코 시스템스(CSCO) 등 미국의 쟁쟁한 기업들보다 더 높은 가치를 평가 받고 있다는 의미다.

맥도날드와 시스코는 2024년 각각 259억달러와 530억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팔란티어의 매출액을 크게 웃돌지만 시가총액은 뒤쳐지는 상황. 미래 이익 성장 가능성을 감안하더라도 팔란티어의 기업 가치는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팔란티어가 앞으로 수 년간 맥도날드나 시스코를 크게 앞지르는 실적을 달성한다 하더라도 주가는 이미 기대감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익 성장률과 밸류에이션을 직접 분석하면 팔란티어의 주가 고평가가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 업체는 앞으로 5년간 주당순이익(EPS)이 연평균 25%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대단한 성장이지만 이를 기준으로 한 주가순이익성장비율(PEG)이 7.8배로 집계됐다. 이는 인공지능(AI) 대장주로 꼽히는 엔비디아(NVDA)의 수치인 1.1배를 크게 앞지르는 수준이다.

시장 전문가들이 팔란티어의 향후 이익 성장 가능성을 낙관하면서도 추격 매수를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닉슨 피보디 트러스트 컴퍼니의 다니엘 컨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슈왑 네트워크에서 "팔란티어의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 측면의 강점이 크지만 최근 1년간 주가 폭등은 매수를 추천하기 어렵게 한다"며 "좋아하는 기업이지만 좋아하는 종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팔란티어가 분명 관심을 둘 만한 종목이고 언제든 저렴한 가격에 매입할 기회가 발생할 때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그는 전했다.

미국 온라인 투자 매체 모틀리 풀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팔란티어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섹터에서 한 축으로 자리매김 했지만 당장 매입할 필요는 없다는 조언이다.

한 마디로 팔란티어 주가가 너무 비싸다고 모틀리 풀은 주장한다. 지난 1년간 이익 성장보다 시가총액이 지나치게 빠르게 늘어났다는 지적이다.

업체의 매출액이 2025년 두 배 늘어난다 하더라도 주가매출액비율이 45배에 이르기 때문에 고평가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고 모틀리 풀은 강조한다.

다른 잣대를 적용해도 결과는 마찬가지다. 팔란티어의 주가는 잉여현금흐름(FCF) 예상치를 기준으로 할 때 238배의 밸류에이션에 거래되고 있다.

특정 기업의 주가가 단기적으로 펀더멘털보다 앞지르는 상승 흐름을 탈 수 있지만 이 같은 상태가 영속될 수는 없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월가의 성장주 투자 아이콘으로 통하는 캐시 우드 ARK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수장이 팔란티어를 매도한 것도 밸류에이션 고평가와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ARK의 대표 펀드 가운데 하나인 이노베이션 ETF(ARKK)가 2월10일 팔란티어 주식을 13만5775주 팔아치웠다. 매도 금액은 1505만달러에 달했다.

ARK의 주요 펀드는 생명공학 섹터의 성장주를 집중 매입했다. 때문에 섹터간 로테이션이라는 해석이 나오지만 강력한 이익 성장 가능성이 점쳐지는 팔란티어를 매도한 것은 지나친 고평가에 따른 차익 실현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일부에서는 팔란티어 주가가 과거 1990년대 후반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닷컴 주식에 대해 말한 '비이성적 과열'을 재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버블이라는 얘기다.

웨드부시의 댄 아이브 애널리스트를 포함해 추가 상승을 점치는 강세론자가 없지 않지만 영원히 오르는 자산은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월가는 강조한다.

소위 포모(FOMO, fear of missed out), 즉 기회를 놓칠까봐 두려워하는 심리적 상태로 인한 추격 매수보다 적정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기회를 기다리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한편 미국 온라인 투자 매체 식킹알파는 팔란티어에 대해 '매입하기에는 너무 비싸고, 팔기에는 성장 가능성이 너무 크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추격 매수 뿐 아니라 차익실현도 쉽지 않은 종목이라는 의견이다.

 

shhwa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작년 고위공직자 70% 재산 늘었다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지난해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 대상 고위 공직자 재산이 평균 20억원을 넘어섰다. 전년도와 비교했을때 평균 약 6201만원이 늘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개했다. 이번 재산공개 대상자는 2047명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7일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개했다. 사진은 재산변동사항 내역 책자/김범주 기자 재산 공개 대상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등이다. 신고일은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이다.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의 재산공개는 각 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별도로 공개한다. 총액 기준으로 재산공개 대상자 중 70.3%인 1440명이 기존보다 재산이 증가했다고 신고했다. 재산 감소자는 607명(29.7%)이었다. 평균 재산금액 20억원을 신고한 재산공개 대상자가 644명(31.5%)으로 가장 많았고, 10억~20억원이 610명(29.8%), 5억~10억원이 373명(18.2%), 1억~5억원이 352억원(17.2%), 1억원 미만은 68명(3.3%) 순이었다. 현재 탄핵심판 절차가 진행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재산신고액이 이번 재산공개 내역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공직자 재산신고 시점에 윤 대통령이 구속돼 이번 공개 대상에서는 제외됐다는 것이 인사처 측의 설명이다. 지난해 윤 대통령은 2023년 말 기준으로 74억 8112만원을 신고했다. 재산 대부분은 김건희 여사 명의였다. 공직자윤리법 제6조의3 제2항은 재산신고 대상자가 구속, 구금 등을 이유로 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정기 변동 신고 유예 또는 면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15일부터 3월 8일까지 구속 상태로 정기 변동 신고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다만 최근 구속에서 풀려난 윤 대통령은 오는 6월 1일까지 재산 변경 사항을 신고를 해야 한다. 중앙부처 공직자 중에서는 이북5도위원회 이세웅 평안북도지사가 가장 많은 1046억 8588만원을 신고했다.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은 477억 6129만원, 최지영 국제경제관리관이 410억 9040만원,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은 397억 8948만원 순으로 각각 신고했다. 기초자치단체장 중에서는 조성명 서울 강남구 구청장이 가장 많은 482억 507만원을, 광역시‧도의원 중에서는 경기도 김성수 의원이 250억 836만원을, 공직유관단체 중에서는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이 221억7715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재산 증가 원인으로는 토지·건물의 공시가액 상승과 저축, 상속 등이 꼽혔다. 지난해 개별공시지가는 전년대비 1.21%, 공동주택공시가격은 1.52%, 단독주택공시가격은 0.57%가 각각 상승했다. 반면 종합주가지수는 지난해 말 종가가 2399포인트(P)로 2023년(2655P)보다 낮았다. 고위공직자 재산 총액 상위자(단위 : 억원)/제공=인사혁신처 한편 윤리위는 재산공개 후 3개월 이내에 재산공개대상자 전원을 대상으로 재산 형성 과정 등 집중 심사할 예정이다. 거짓 기재, 중대 과실 등에 대해서는 해임, 징계의결 요구 등 조치를 취한다. 지난해 심사에서는 징계의결 요구 32건, 과태료 부과 267건, 경고 및 시정조치 1516건 등의 법적 조치가 있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간사인 천지윤 인사처 윤리복무국장은 "국민 상식에 부합하고 신뢰받는 공직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공직자의 성실한 재산등록을 지원할 것"이라며 "등록한 재산 사항에 대해서 엄정하게 심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3-27 00:00
사진
의성 산불 진화헬기 조종사 사망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경북 의성군 산불 진화 헬기 1대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했다. 산림청은 사고 직후 전국의 진화 헬기 운항을 중지하고,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26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 51분경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493번지 인근에서 산불을 진화하던 헬기 1대가 추락했다.  경북 의성군 산불 진화 헬기 1대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했다. [사진=독자 제공] 해당 헬기는 경북 의성지역에 지원 나온 강원 인제군 임차 헬기(기종: S76, 중형)로 확인됐다. 헬기 탑승자는 기장 1명이며,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림청은 현재 자세한 사고원인을 조사 중이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사고 즉시 전국에서 투입된 산불진화 헬기에 대해서 안전을 위해 운항 중지토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dream@newspim.com 2025-03-26 13:50
안다쇼핑
`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