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생활보장수급자 등 대상, 장례 절차 간소화
영락공원 빈소 우선 사용, 효율적인 예산 집행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전국 광역시도 최초로 오는 17일부터 무연고자의 사후 복지 체계 강화와 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해 '사전장례주관자 지정 사업'을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16개 구·군 및 유관기관과 협력해 추진된다.
![]() |
정산 스님이 무연고자를 대상으로 공영장례를 치르고 있다. [사진=부산시] 2024.08.26 |
이번 사업은 무연고자가 사망 전 원하는 장례 방법과 주관자를 미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지자체가 연락해 신속한 공영장례 서비스를 지원한다. 신청자는 장례주관희망자, 부고 알림 범위, 종교 여부 등을 포함한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사업 대상은 부산 시민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 대상자이며 신청은 각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하다. 시는 민·관·학 네트워크를 활용해 존엄사 교육과 장례지도사 표준교육을 포함한 장례지도사 양성을 계획하고 있다.
시는 무연고자와 저소득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올해도 4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공영장례를 지원하며 영락공원 빈소를 우선 사용하는 방식으로 효율적 집행을 약속했다.
지난해 500명 목표를 초과하여 573명에게 공영장례를 제공한 바 있다.
박형준 시장은 "고령사회 진입과 무연고사망자의 증가에 대응해 민·관·학이 함께하는 '사전장례주관자 지정 사업'을 추진, 지속 가능한 공영장례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