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ood+ 수출 9.4억달러…전년비 1.0% 증가
라면 수출액 25%↑…미국 수출 증가율 47%
"이달 중 K-푸드 플러스 수출확대 전략 발표"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글로벌 한식 열풍이 불면서 새해 첫 달 'K-푸드 플러스(전후방산업 포함)' 수출액이 10억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라면, 쌀가공식품, 딸기 등이 수출 증가를 견인했고, 대미 수출은 47% 늘면서 높은 성장 가능성을 보였다.
◆ 1월 K-푸드 플러스 수출액 9.4억달러…라면 25%↑
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K-푸드 플러스 수출액(잠정)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9억4000만달러(약 1조3597억원)로 집계됐다.
![]() |
농식품 수출액은 7억4000만달러(약 1조701억원), 전후방산업은 2억달러(약 2892억원)다. 전후방산업은 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용의약품 등을 말한다.
농식품 일일 수출액은 3720만달러(약 537억원)로 최근 5년 평균 대비 18.0% 늘었다. 일일 수출액은 지난 2023년(2900만달러) 이후 2년 연속 3000만달러를 웃돌고 있다.
가공식품은 6억3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신선식품은 1억2000만달러로 전년보다 0.7% 감소했다. 가공식품과 신선식품이 농식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84%, 16%다.
품목별로는 라면, 쌀가공식품, 딸기 등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지난달 라면 수출액은 1억7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25.4% 증가했다. 이어 연초류 7300만달러(14.0%↑), 쌀가공식품 3200만달러(6.9%↑) 등으로 수출이 확대됐다.
신선식품에선 딸기 수출액이 전년보다 9.5% 상승한 1400만달러를 기록하면서 최다를 차지했다. 이어 포도 850만달러(13.5%↑), 닭고기 680만달러(9.1%↑)가 뒤를 이었다.
◆ 농식품 수출, 미국서 47% 급증…중국은 13% 감소
농식품 수출은 아랍에미리트(UAE), 미국, 유럽연합(EU) 등에서 모두 증가했다. 국가별로 UAE(1900만달러), 미국(1억4800만달러), EU(5700만달러) 순이다.
특히 농식품 수출 신시장으로 분류된 UAE에서 수출이 161.5% 성장하면서 가능성을 보였다.
냉동김밥 성장을 주도한 미국 수출은 47.2% 늘면서 농식품 수출을 뒷받침했다. 매운 라면 인기가 높은 EU에서는 5.3% 상승했다.
![]() |
반면 농식품 수출 주요 국가 중 하나였던 중국 수출액이 14.3% 감소했다. 지난 10년 동안 농식품 수출 1위 국가였던 일본 수출액도 4.6% 감소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1월 중국 춘절 영향으로 수출물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 전후방산업 수출 2.9% 감소…농약·펫푸드 성장 '유망'
지난달 전후방산업 수출은 2억달러로 1년 전보다 2.9% 감소했다.
농기계 수출액은 87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8.4% 줄었다. 비료 수출액은 4100만달러로 전년보다 3.3% 감소했다.
농기계는 주요 수출 시장인 북미 시장에서 코로나19 시기 이후 수출이 둔화한 영향이 컸다.
다만 농약, 동물용의약품, 반려동물사료(펫푸드) 등 유망품목의 수출은 증가했다.
농약 수출액은 5700만달러로 33.7% 성장했다. 종자 수출액은 300만달러로 작은 규모지만 무려 71.8% 늘었다. 펫푸드 수출액은 1300만달러로 2.0% 증가했다.
특히 펫푸드는 주요 시장인 일본과 대만에서 각각 2.3%, 19.9% 늘었다.
농식품부는 이달 중 '2025년 K-Food+ 수출확대 전략 발표'를 통해 올해 K-푸드 플러스 수출에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