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 역시 미국의 새 대통령이 누가 될 것인가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동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중 누가 돼도 '환영한다'는 입장이지만 트럼프는 관세, 해리스는 인권 문제에서 인도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5일(현지시간) 싱가포르 뉴스 채널인 CNA는 인도 수출 업계가 트럼프 당선을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 '관세 폭탄'을 피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집권할 경우 중국산 제품에 60%의 고율 관세를, 전체 수입품에 대해서도 10~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특히 인도에 대해서는 외국산 제품에 가장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나라라면서, 이로 인해 미국 기업들의 인도 시장 진출을 어렵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매체는 "인도 제품에 대해 '상호주의'에 입각한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는 앞서 대통령 재임 기간이었던 2019년 인도에 대한 '개발도상국 특혜관세(GSP)' 혜택을 철회했다. 중국과의 무역 경쟁이 가열되던 가운데 미국으로의 수출 장벽을 거듭 높인 것이었다.
미국은 1970년대부터 일반특혜관세제도(GSP)를 도입해 120개 개도국에서 특정 상품을 수입할 때 관세 감면 혜택을 제공했고, 인도는 개도국 특혜관세의 최대 수혜국으로 꼽혀왔다.
인도 가죽 제품 제조·수출 업체인 알파인 어패럴스는 "일반특혜관세제도(GSP) 철회로 미국으로의 수출 비용이 4~6%가량 증가했다"며 '트럼프 2기'의 관세 정책에 긴장했다.
해리스 당선의 경우 인도는 더 많은 '공적 책임'을 요구 받을 수 있으며, 이것이 양국 관계에 새로운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해리스가 2021년 인도의 인권에 대해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바 있고,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시크교도 암살 시도 사건의 인도 개입 의혹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 불확실하다는 점을 언급하면서다.
인도가 러시아 제재를 거부하며 친러 행보를 보이고 있는 데에도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사진=바이두(百度)] |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