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美 사상최대 보조금 등에 업은 인텔, 삼성전자 파운드리 위협?

기사입력 : 2024년03월21일 17:26

최종수정 : 2024년03월21일 17:26

인텔 보조금 195억달러..."반도체 새로운 생태계"
"파운드리 2위 목표" 인텔...삼성 파운드리 우려↑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미국정부가 인텔에 대한 사상 최대 보조금을 확정 짓고 지급하기로 했다. 미국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은 인텔은 향후 파운드리 생산망 구축에 가속을 내며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투자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파운드리 사업을 위협할 우려가 있다.

21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는 인텔에 직접 보조금 85억 달러(11조원), 대출 최대 110억 달러(15조원) 등 총 195억 달러(약 26조원) 지원을 발표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애리조나주 인텔 캠퍼스를 찾고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반도체 투자를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반도체 산업을 변화시키고 완전히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초 업계에선 미국 정부가 인텔에 100억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확정된 투자금 규모는 이것을 훨씬 뛰어넘었다. 외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삼성전자에 60억 달러(8조원), 대만 TSMC에 50억 달러(6조원)을 지급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인텔에 지급되는 보조금은 양사 보조금을 합친 금액의 약 2배 가까운 규모다.

인텔에 대한 막대한 보조금 발표로 반도체 생산능력을 자국내로 끌어와 반도체 생산 인프라를 확충하고, 그 중심에 인텔을 두려는 미국 정부의 방향성은 보다 구체화 됐다. 인텔은 향후 5년간 애리조나, 뉴멕시코, 오하이오, 오리건 등에 100억 달러(약 134조원) 이상을 투자해 생산능력을 확장할 계획을 밝힌바 있다.

이 같은 움직임 속 우려스러운 부분은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에 출사표를 던지며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지난달 인텔은 미국 새너제이에서 첫 파운드리포럼인 '인텔파운드리서비스(IFS)2024'를 개최하고 연말까지 1.8nm공정을 시작하는 한편 2027년엔 1.4nm 공정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애리조나주 챈들러 오코티요 지역에 있는 인텔 파운드리 공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 자리에서 인텔은 MS를 비롯한 고객사로부터 약 150억 달러(약 20조원) 규모의 수주에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이 자리에서 "20% 수준인 미국의 반도체 제조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며 "2030년까지 세계 2위 파운드리가 돼 업계 리더십을 회복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현재 전세계 파운드리 2위는 삼성전자로 삼성전자를 겨냥한 발언이다.

반면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는 올해 1월 흑자로 돌아섰지만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서 고전하고 있는 한편 파운드리 사업은 여전히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전날 경기도 수원 수원켄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삼성전자 주주총회에서 경계현 사장은 "2~3년 안에 반도체 세계 1위를 되찾겠다"면서 "업계 최초 GAA(게이트올어라운드) 3나노 공정으로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제품의 안정적인 양상을 시작하고 2025년 GAA 2나노 선단 공정의 양산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주주달래기에 나섰다.

한 공급망 분석 전문가는 "미국의 보조금 정책은 반도체 생산이 없으면 큰 발전이 어렵다는 방향성 아래 산업 인프라 투자와 파운드리 생산력을 가져가야 한다는 목표가 있다"면서 "AI 수요가 확장되며 관련 시장이 제로섬으로 흘러가기 보단 시장이 확장 국면에 있는 만큼 미국 지원이 늘어나는 것은 시장 경쟁에서 당연한 흐름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abc123@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전세 10년 보장법 논란 "당론 아냐"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임차인에게 최장 10년동안 전세계약을 보장하는 더불어민주당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논란이 되자 이재명 대표가 5일 만에 공개 해명했다. 이 대표는 17일 "전세 계약을 10년 보장하는 임대차법 개정의 경우 논의를 거친 당 공식 입장이 아닐뿐더러 개인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급히 해명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뉴스핌DB] 앞서 민주당은 지난 12일 민생연석회의에서 20대 민생 의제를 제시했다. 20대 민생 의제에는 임차인이 최장 10년까지 전세 계약 갱신이 가능하게 한 임대차법 개정안이 포함됐다. 이후 부동산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부작용을 외면한 반시장적 발상'이라는 비판이 나오면서 논란은 거세졌다. 이 대표는 "국민의 주거권 보장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지만 어떤 정책이든 시장 원리를 거스른 채 정책 효과를 달성하긴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어 "민간 임대차 시장을 위축시켜 세입자에게 불이익이 돌아갈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 또한 새겨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정책에 민감한 중도층의 민심을 사로잡기 위해 5일 만에 당론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plum@newspim.com 2025-03-17 21:20
사진
양주 군부대서 무인기와 헬기 충돌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기도 양주에 있는 한 육군부대 항공대대에서 비행하던 군용 무인기가 착륙한 상태에 헬기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7일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5분쯤 경기 양주시 광적면 소재 육군 항공대대에서 무인기가 헬기(수리온)와 충돌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파주=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11일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무건리 훈련장에서 '한미 연합 공중강습 훈련'이 열려 한미 장병들은 태운 수리온 헬기가 공중강습을 위해 착륙하고 있다. 이날 훈련에는 한국군 90여 명, 미군100여 명이 참가했으며 수리온 6대가 동원됐다. 2025.03.11 photo@newspim.com 소방당국은 무인기가 착륙해 있는 헬기와 부딪치면서 불꽃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로 군용 헬기 1대와 무인기가 전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출동한 소방은 장비 20대와 인원 50명을 투입했으며 상황 발생 후 29분만에 진화를 마쳤다. 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krawjp@newspim.com 2025-03-17 14:5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