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VS 정부 K-패스 어떤게 유리할까?
단순하게 판단하면 한달 8만원 이상을 교통비로 사용하는 사람은 교통카드로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며 그 이하를 사용하거나 청년 층이면 정부가 보급하는 K-패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쓴 교통비용의 30%를 돌려 받을 수 있는 청년층의 경우 9만원 미만을 교통비로 사용한다면 K-패스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 아울러 여러 지방을 다니는 사람의 경우도 K-패스 카드가 더 유리하다. 다만 서울시가 충전 금액을 다 사용하지 않을 땐 미사용 잔액을 환급해주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어 변수가 될 전망이다.
21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정부와 서울시가 보급하는 교통할인카드의 선택 기준은 월 교통비 사용금액 8만원이 기준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서울과 수도권 주민들의 한달 평균 교통카드 이용금액을 감안할 때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K-패스 카드가 더 유리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교통부의 K-패스는 한달 15일 이상을 사용할 경우 사용금액의 20~30%를 환급해준다. 즉 일반인의 경우 7만원을 쓰면 다음 달 중순 1만4000원이 다시 카드에 충전되는 것이다. 20대 청년은 30%를 환급받아 2만1000원을 돌려 받으며 특히 저소득층은 53%인 3만7000원을 환급 받을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존 알뜰 교통카드를 참고할 때 평균 한달 교통비를 6만~7만원 가량 쓰는 걸로 파악되고 있다"며 "이 정도 교통비를 쓰는 시민이라면 K-패스 카드 활용이 훨씬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서울시가 오는 27일부터 운영하는 기후동행카드는 한달간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기권 형태다. 서울시 공용자전거 '따릉이' 사용 여부에 따라 월 6만2000원 또는 6만5000원 2종의 카드를 시내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후동행카드'를 보급한다.
이처럼 비슷한 교통비 할인을 내세운 카드가 정부와 지자체에서 나오자 서울시민들은 어떤 카드가 더 유리할까하는 고민이 많다.
관건은 자신이 사용하는 교통비에 달렸다. 자신이 쓰는 교통비용이 8만원을 넘으면 서울시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다. 반면 그 이하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K-패스가 더 낫다. 8만원을 사용하면 K-패스의 경우 20%인 1만6000원을 환급해준다. 이렇게 되면 한달 교통비는 6만4000원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특히 교통비의 30%를 돌려 받을 수 있는 청년은 K-패스가 훨씬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청년 기준은 만 19세부터 34세까지로 결혼이나 소득 유무에 상관없이 연령만을 기준으로 한다.
반면 한달 교통비가 8만원을 넘으면 얼마를 써도 6만5000원만 결제하면 되는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다.
이같은 카드 사용조건을 봤을 때 K-패스가 더 많이 유행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K-패스는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가 가입했다. 반면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노선버스에만 적용되며 경기도 시·군 관할 노선 버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아직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포함 여부는 확정되지 않았다.
서울-수도권 출퇴근 수요가 많음을 감안할 때 기후동행카드의 용도는 한정적일 수 있다는 진단이다. 경기도 관할 시내외 버스는 물론 신분당선도 탈 수 없다. 특히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 있는 경기도가 자체 교통카드를 내놓을 예정인 만큼 서울시와 경기도의 교통카드 '호환'문제는 정치적 문제까지 겹치며 진통을 겪을 것이란 진단도 나온다.
이와 반대로 K-패스는 국가 사업인 만큼 대부분의 지자체가 이를 수용할 전망이다. 국토부는 오는 5월 서비스 시작을 앞두고 전국 지자체와 호환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상태다.
결국 이같은 상황을 볼 때 서울시 기후동행카드를 비롯해 각 지자체가 보급하는 교통카드 대신 전국 호환을 내세우고 있는 K-패스가 각광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무엇보다 서울시민과 수도권 주민들의 한달 교통비가 8만원을 넘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K-패스의 전신인 현행 알뜰교통카드 사용현황을 볼때 수도권 주민의 한달교통비는 평균 7만원 수준이다.
알뜰교통카드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큰 폭으로 사용자가 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초 약 50만명이던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1년 만에 110만명으로 두배 이상 늘어난 상태다.
다만 서울시가 이같은 K-패스 출범을 염두에 둔 듯 6만5000원 미만 사용자에 대해선 미사용 잔액을 환급해주는 것을 검토하고 있어 새로운 변수가 될 전망이다. 아직 서울시는 미사용 잔액 반환을 확정하지는 못한 상태다. 당장은 분실카드 잔액을 반환하는 것만 확정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후동행카드는 애초에 한 달 6만5000원을 확실히 쓴다는 조건이 돼야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재정문제도 부담이다. K-패스의 경우 교통기관의 수익금을 돌려주는 것이 아니라 정부 및 지자체 재정을 환급해주는 것이다. 국토부는 환급금을 50대50으로 정부와 지자체가 매칭해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서울시는 만성적인 서울교통공사 적자를 안고 있기 때문에 잔액 반환을 할 경우 비판을 감수하며 교통비를 인상한 의미가 퇴색된다는 분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청년에겐 30%, 저소득층은 53%를 지원 받을 수 있는 K-패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다"며 "향후 K-패스와 지자체 교통카드 연계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