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LTE 통합요금제, 3만원대 5G 요금제 출시 예정
"가입자 비중 축소로 수익 약화도 우려"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올해 3분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영업이익 합계가 1조원을 넘었다. 지난 1분기 이후 3분기 연속 1조원 이상을 기록중이다. 다만 정부의 5G 최저가 요금제, 5G·LTE 통합요금제 도입 등 통신비 인하 압박이 구체화되면서 업계 관심도 정부 정책에 따른 실적 영향에 쏠리는 추세다.
지난 7일 LG유플러스의 실적 발표를 시작으로 KT, 8일 SK텔레콤의 3분기 실적이 공시됐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사업자별 3분기 영업이익은 각각 SK텔레콤 4980억원, KT 3219억원, LG유플러스 2543억원이다. 3사 중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늘어난 곳은 SK텔레콤이 유일하다.
◆통신 성과보단 B2B 강조한 이통3사
SK텔레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0% 늘어난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28.9%, 10.8% 줄었다. 3사 합산 영업이익은 1조742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036억원) 대비 10.75% 떨어지며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영업이익이 떨어진 이유로 비용을 꼽았다. KT는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을 지난 10월 조기 타결하며 비용이 3분기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작년 4분기에 반영됐던 콘텐츠 소싱 비용을 3~4분기에 나눠서 집행하며 각각 1400억원, 500억원 가량의 비용이 추가된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수치상 하락한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LG유플러스도 전력 요금 상승으로 인해 대규모 데이터센터(IDC) 등 기타 비용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통3사 모두 통신 성과보단 기업 간 거래(B2B) 중심의 질적 성과를 매출 개선의 이유로 강조했다. 5G 가입자 둔화로 인해 신사업 개척을 통해 비통신 사업을 키우려는 통신사의 움직임이 매출로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민수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통상 B2B 사업은 사업 수주 후 매출을 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리지만 한 번 매출이 발생한 이후에는 반복적으로 매출을 기대할 수 있어 B2C 대비 안정적인 시장으로 분류된다"며 "B2C보다는 비교적 규제가 적은 시장이라는 점도 규제 압박이 많은 통신사가 부담을 덜 느낀 부분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SK텔레콤은 데이터센터과 클라우드, KT는 기존 수주한 엔터프라이즈 디지털 전환(DX) 사업 매출을, LG유플러스는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기업 인프라 사업이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 정부 통신비 부담 완화 발맞추는 이통3사
이통3사 실적이 모두 발표된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도 공개됐다. 5G 스마트폰(단말)에서 5G 요금제만 가입할 수 있었던 제한이 풀리면서 5G·LTE 통합요금제가 시행된다. 내년에는 3만원대의 5G 요금제와 30GB 이하 소량 데이터 구간 요금제도 출시될 예정이다.
일각에선 윤석열 정부 초기부터 통신비 인하에 힘을 실었으나 검토 중이란 반응만 반복한 이통3사가 국감에 이은 총선을 의식해 과기정통부와의 협의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5G·LTE 통합요금제는 SK텔레콤을 시작으로 KT와 LG유플러스도 검토에 나섰다. SK텔레콤은 이용약관 개정과 전산 시스템을 개발해 이달 말에는 요금제 선택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5G 저가 요금제, 소량 데이터 구간 상품 출시는 LG유플러스의 너겟 요금제를 시작으로 SK텔레콤과 KT도 저가(3~4만원대)·소량(30GB 이하) 구간에서도 청년 5G 요금제를 내놓기로 했다.
5G 가입자 비중 축소로 인한 수익 약화는 과제다. 과기정통부 통계에 따르면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 중 이통 3사의 5G 가입자 비중은 지난 3월부터는 증가 폭이 0%대로 떨어진 상태다. 지난해 3사의 5G 가입자는 매달 50만~70만명대 증가 폭을 보였지만 올해 들어서는 2월을 제외한 1·3·4월 증가 폭이 40만명대로 축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통신3사의 호실적은 5G 가입자 증가에 따른 유무선사업의 매출이 견인해 왔다. 5G가 LTE 대비 고가 요금제로 구성돼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높다는 점에서 5G·LTE 통합요금제와 5G 저가 요금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5G 가입자 둔화 타이밍에 출시될 5G 저가 요금제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LTE 가입자가 현재도 적지 않은 가운데 LTE 쏠림 현상이 얼마나 발생할지는 모르지만 ARPU에 미치는 영향이 적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앞서 5G·LTE 통합요금제는 5G·6G에 투자돼야 할 비용이 LTE 망 유지에 쓰이는 것은 5G 투자 축소를 불러온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 서비스 출시 이후에도 소비 패턴에 따라 5G·LTE로 각각 이용자가 분산됐다"며 "상당 기간은 LTE 망 품질관리도 신경쓸 것"이며 이는 사용자 선택 폭 확대를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이에 "LTE 역선택이 증가한다면 연 실적이나 1분기 실적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알뜰폰 소비자도 LTE 요금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통신사 수익에 영향이 상당히 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