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中 전기차 테마 중간점검② '4바퀴 스마트폰화' 트렌드 속 기회

기사입력 : 2023년10월16일 11:58

최종수정 : 2023년10월16일 11:58

전기차와 스마트폰 기술 융합, 시장 상호 진출
업계 트렌드 현주소와 새로운 투자 기회 진단

이 기사는 10월 10일 오후 3시5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中 전기차 테마 중간점검① 장기적 성장성 확신, 낙관 배경은?>에서 이어짐.

전기차와 스마트폰의 융합은 업계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 이제 스마트폰은 전기차의 핵심 부품 중 하나가 됐다고 말할 정도로, 전기차와 스마트폰의 시스템 연동은 미래 전기차가 갖춰야 할 핵심 기술력이 된 것이다. 

애플(Apple)을 비롯해 화웨이(華為)와 샤오미(小米 1810.HK) 등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전기차 시장 진출이 이어지는 가운데 테슬라(TESLA)와 지리자동차(吉利汽車 0175.HK), 니오(蔚來∙NIO 9866.HK) 등 전기차 제조업체들의 스마트폰 출시 소식이 이 같은 트렌드를 반영한다.

최근 중국 본토 A주 시장에서 가장 주목하는 이슈는 화웨이의 전기차다.

화웨이는 전기차 제조업체인 세레스(賽力斯∙SERES)가 공동 런칭한 전기차 브랜드 아이토(AITO), 장안자동차(長安汽車 000625.SZ) 및 닝더스다이(寧德時代∙CATL 300750.SZ)와 공동 런칭한 아바타(阿維塔∙AVATR)의 두 가지 전기차 모델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9월 12일 아이토의 신형 SUV 모델 '원제(問界) M7'를 정식 출시한 가운데, 중국 내 판매량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관련 테마주의 주가 상승세로 이어지고 있다. 

화웨이 전기차를 향한 시장의 관심은 빠르게 늘어나는 판매량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최근 아이토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M7 일일 판매량은 7000대를 돌파했고, 출시 후 25일간 누적 판매량은 5만대를 넘어섰다. 

[사진 = 화웨이 홈페이지] 아이토(AITO)의 신형 SUV 모델 '원제(問界) M7'

2021년 3월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한 샤오미 또한 내년 상반기 전기차 출시를 앞두고 있다. 내년 양산 이후 3년간 누적 판매량 90만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인력 2300명이 투입된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에 향후 10년간 최소 10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반대로 전기차 제조업체의 스마트폰 시장 진출도 이어지고 있다. 

지리자동차는 지난 2022년 7월 4일 싱지스다이(星紀時代)를 통해 스마트폰 제조업체 메이주(魅族)의 지분 79.09%를 사들이고 싱지메이주(星紀魅族)라는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스마트폰 시장으로의 정식 진출을 알렸다. 싱지스다이는 지난 2021년 9월 리수푸(李書福) 지리자동차 회장이 설립한 기업으로 온라인게임, 스마트폰 제조, 집적회로 생산, 빅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올해 6월 싱지메이주는 스웨덴 고급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Polestar)와 파트너십을 맺고 중국에서 판매되는 폴스타 전기차 전용 운영체제(OS)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앞서 리수푸 지리자동차 회장은 "전기차와 스마트폰 두 산업은 연계성이 커지고 있어 이제는 두 산업을 별개로 해석할 수 없다"면서 "다양한 단말기와 다양한 환경에서 공동의 고객을 확보하고 서로 융합하는 관계가 될 것"이라고 평한 바 있다. 

[사진 = 니오] 21일 '2023년 니오 혁신과학기술데이'에서 '니오폰'을 소개하는 리빈(李斌) 최고경영자(CEO)의 모습.

여기에 리오토(理想汽車∙LiAuto 2015.HK), 샤오펑(小鵬汽車∙XPEV 9868.HK)과 함께 중국 전기차 3대 스타트업으로 불려온 니오는 지난 9월 21일 '2023년 니오 혁신과학기술데이'를 개최하고 성능형·플래그십형·EP에디션(EPedition)형 등 3가지 버전의 니오폰(NIO Phone)을 공개했다. 

니오폰의 최대 강점은 니오 전기차의 중앙 제어장치와 양방향으로 연결해 전기차와 스마트폰의 연결성을 극대화 했다는 것이다. 원격 및 근거리 차량 제어, 노미(NOMI) 음성 어시스턴트를 통한 음성 제어, 다중 차량 식별, 배터리 없이 잠금 해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자체 스마트폰 개발에 나선 목적과 관련해 전기차 업체들은 애플이나 화웨이와 같은 기존의 스마트폰 제조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임이 아니라, 전기차 소프트웨어의 경쟁력을 높이고 자체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임을 강조한다. 

이와 관련해 리빈(李斌) 최고경영자(CEO)는 "전기차 개발에 나서고 있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을 의식해서가 아니고, 전기차 사업 수익 부진을 스마트폰을 통해 상쇄하려는 의도도 아니다"라면서 "니오 전기차와 스마트폰을 빈틈없이 연결해 고객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미래 자동차는 4바퀴가 달린 대형 스마트폰이 될 것"이라면서 현재 스마트폰과 전기차의 연동은 업계의 불가피한 트렌드가 됐으며 이에 대형 스마트폰 단말로 변모하는 전기차 시장에서 탄생할 새로운 투자 기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뉴스핌, AI 기반 맞춤형 MY뉴스 출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매일 쏟아지는 수만 개의 뉴스 중에서 정작 나에게 필요한 뉴스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국내 최초로 AI(인공지능)로 독자에게 뉴스를 추천해주는 'AI MY뉴스'를 11일 본격 출시했다. AI MY뉴스의 핵심은 지능형 구조에 있다. 그동안 미디어는 독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에 의존해 단순히 뉴스를 선별해 제공했다. 그러나 AI MY뉴스는 독자를 이해하고 학습해가며 개인에게 꼭 필요한 뉴스를 골라 제공한다. ◆ AI 추천뉴스·글로벌투자·AI 어시스턴트 출시 'AI 추천뉴스'는 독자가 첫 번째 기사를 클릭하는 순간부터 작동한다.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기사를 읽을 때마다 AI 시스템이 독자의 취향을 기억하고 분석한다. 경제 뉴스를 자주 읽는 독자라면 점차 반도체, 주식, 부동산 등 세부 관심사까지 파악해 더욱 정확한 뉴스를 추천한다. '모닝 브리핑'과 '런치 브리핑'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맞춤 서비스다. 모닝 브리핑은 AI가 밤새 분석한 전날과 당일 새벽까지의 주요 뉴스를 5~7개 헤드라인으로 정리해 제공한다. 런치 브리핑은 오전 7시부터 정오까지의 뉴스를 공공·정치, 산업시장, 글로벌, 전국 이슈 등 4개 분야로 나눠 각각 5개씩 핵심 내용을 전달한다. '글로벌 투자' 서비스는 AI MY뉴스의 핵심 콘텐츠다. 뉴스핌 마켓 전문기자들의 고품질 투자분석 'GAM(Global Asset Management)'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글로벌 브리핑'은 미국 증권시장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날마다 시장 개요부터 투자자 관점까지 4개 섹션으로 체계화된 분석을 제공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를 별도 추적해 대형 기술주의 시장 영향력을 정밀 분석한다. '파워 특징주 포트폴리오'는 일일 수익률, 변동성, 이동평균 편차 등 핵심 지표를 종합해 수익률 상위 종목을 분석하고, '이 시각 증시 시그널'은 글로벌 이슈를 실시간으로 찾아 미국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정리해 제공한다. '주간 연준 인사이트'는 연방준비위원회 공식 브리핑을 투자자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뉴욕증시 전문가 팁'은 매일 뉴욕 현지 증시 전문가들의 생생한 조언을 5개의 구체적인 팁으로 가공해 전달한다. 이 가운데 '뉴스 종목 추적기'는 전 세계 글로벌 뉴스에서 미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실시간으로 포착한다. S&P500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받을 종목을 각각 5개씩 찾아 구체적인 이유도 내놓는다. 뉴스핌이 새롭게 내놓는 AI MY뉴스 서비스 모습 [자료=뉴스핌DB] 2025.08.08 biggerthanseoul@newspim.com 뉴스핌은 글로벌 AI 검색 기업 퍼플렉시티와 협력해 생활 밀착형 AI 어시스턴트도 제공한다. '뉴스 전략 24시'는 그동안 축적된 뉴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답변과 생활 전략을 제시한다. 미국 증시 투자 전략도 함께 제공해준다. '정책 배달 119'는 정부 정책브리핑의 모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상황에 맞는 정책을 찾아 신청 방법까지 안내하는 개인 맞춤형 정책 컨설턴트 역할을 한다. 단순 검색에서 그치지 않고 독자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현실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뉴스핌의 모든 기사는 50개 국어로 번역돼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해외 독자들도 모국어로 한국 뉴스를 접할 수 있다.  ◆ "독자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 민병복 뉴스핌 회장은 "AI MY뉴스는 정보 홍수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달하는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 모두의 삶에 힘이 되는 뉴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회장은 "AI MY뉴스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며 개인의 삶에 진정한 가치를 더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이라며 "AI를 활용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AI로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모두가 제한 없이 무료 서비스를 바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이번 AI MY뉴스 서비스는 첫 버전(V 1.0)이다. 우선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뉴스핌은 국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콘텐츠 수요를 직접 파악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분야별 독자들의 성향을 파악해 다양한 콘텐츠 설계 아이디어를 받아 매월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나설 예정이다.  이어 이미 서비스에 나선 AI 아나운서 글로벌 투자 콘텐츠는 물론, 다양한 영상 콘텐츠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뉴스핌은 국내를 뛰어넘어 세계 시장에서 AI를 잘 활용하는 글로벌 뉴스통신사로 도약하는 데 속도를 낼 예정이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8-11 12:54
사진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21일부터 처방 가능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한국릴리가 비만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를 14일 국내 출시했다고 밝혔다. 릴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한 도매 업체는 오는 20일부터 마운자로의 유통을 시작할 예정이다. 빠르면 21일부터 각 의료기관에서 처방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로고=마운자로] 다만 상급 종합병원의 경우 각 기관의 약사위원회(DC)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한국릴리 측은 "마운자로를 필요로 하는 국내 2형 당뇨병 및 비만 환자 분들께 치료제를 가장 빠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ykim@newspim.com 2025-08-14 14:3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