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10명 중 8명 "시 재정 호전까지 새청사 건립 보류해야"
대구시민 60% "예정지 주변 유휴부지 매각 재원 마련 바람직"
대구시, '신청사 건립' 관련 설문조사...정책추진 반영
[대구=뉴스핌] 남효선 기자 = 대구시민 절반 이상이 '재원 대책없은 신청사 건립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구시민 10명 중 8명은 대구시의 재정상태가 호전될 때까지 '신청사 건립' 사업을 보류해야한다고 답했다.
11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광역시 신청사 건립' 재원 조달 관련 대구시민 절반이 넘는 60.5%가 '신청사 예정지 옆 유휴부지를 매각'해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건립 시기에 대해서는 80.7%가 '대구시 재정이 호전될 때까지 보류할 필요가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앞서 대구시는 추석 연휴 직후 '신청사 건립' 관련 시민들의 의견을 파악해 정책 추진에 반영키 위해 ㈜리얼미터에 의뢰,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 |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이 11일 '신청사 건립 사업' 관련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사진=대구시] 2023.10.11 nulcheon@newspim.com |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민들은 절반 이상이 신청사 건립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청사 건립 시기' 관련 △ '대구시 재정 상태가 호전될 때까지는 보류할 필요가 있다' 80.7% △'빚을 내서라도 최대한 빨리 지어야 한다' 13.4%로 조사돼 대구시민 10명 중 8명이 '보류' 입장을 보였다.
지역별 여론 추이를 보면 '신청사 건립 보류' 관련 △ 동구(87.6%) △수성구(86.4%) △중구(85.7%) 순으로 높았다.
특히 신청사 예정지인 달서구 지역에서도 '빚을 내어 짓는 것보다 신청사 건립 보류'가 73.6%로 3배 이상 높게 조사됐다.
또 연령별 분석에서 '신청사 건립 보류' 관련 △30대, 20대 응답이 각 89.4%, 89.2%로 가장 높게 나타나 신청사 건립에 따른 재정 부담이 젊은 연령층의 시민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신청사 건립 추진 경우 재원 마련 방법에 대해 시민 60.5%가 '신청사 예정지 옆 유휴부지 매각 재원'으로 답했다.
△'한해 200억 원씩 적립해 20년 후에 그 적립금으로 짓는다' 25.9% △'빚을 내어 짓는다' 3.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달서구 지역에서 '유휴부지를 매각해 그 재원으로 건립하자'는 의견이 65.9%로 대구시 전체 구·군 중 가장 높았다.
이는 유휴부지를 매각해서라도 적절한 재원 대책을 마련해 조속히 신청사 건립을 원하는 주민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 |
대구광역시 신청사 건립 예정지.[사진=대구시]2023.10.11 nulcheon@newspim.com |
앞서 대구시는 청사의 노후화와 행정 공간 부족으로 지난 2004년 동인청사 인근 동화빌딩을 임차한 후 2016년 경북도청 이전터 건물까지 임차해 부족한 사무공간을 충당해 왔다.
이처럼 청사의 분산 운영에 따라 행정 효율이 떨어져 신청사 건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하게 제기돼 왔다.
대구시는 신청사 건립 재원 마련을 위해 옛 두류정수장 부지 15만8000㎡(축구장 면적의 약 22배) 가운데 절반 가량을 매각해 자금을 마련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일부 대구 시의원들이 반대입장을 공식화하면서 지난 해 연말, 대구시의회는 신청사 설계비 예산 130억 4000만 원을 전액 삭감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번 여론조사를 통해 시민들도 미래세대에 부담을 지워가며 빚을 내 신청사를 짓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꼭 신청사를 지어야 할 경우 유휴부지를 매각해 건립하는 것이 최적의 방안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대구시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화면접·온라인(7:3)을 통해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15.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표본은 2023년 9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 할당 후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만 18세 이상 시민 1000명을 선정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