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중기·벤처

속보

더보기

[뉴스핌 라씨로] 나인테크, 신공장 이르면 내달 가동..."올해 2차전지 관련 매출 50% 증가 예상"

기사입력 : 2023년07월30일 08:00

최종수정 : 2023년07월30일 22:20

안정적 성장 '디스플레이 장비'…중국 매출 기대
신사업 '열전소자 부품'으로 사업 다각화
자회사 '탈로스' 코스닥 상장 추진중…시너지 효과 기대

이 기사는 7월 28일 오전 08시44분 AI가 분석하는 투자서비스 '뉴스핌 라씨로'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2차전지 부품장비 전문기업 '나인테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2차전지 수요에 발맞춰 이르면 다음달 청주 제5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다. 올해 2차전지 매출은은 전년 대비 50%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인테크 관계자는 28일 "2차전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오는 2025년까지 먹거리로 확보한 상태로 올해 꽤 많은 성장을 보이고 있다. 2차전지 분야 매출만 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작년보다는 올해, 올해보다는 내년이 더 성장할 것으로 (2차전지 분야에서) 매해 최대 매출을 경신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LG엔솔의 미국 미시간 공장권과 스텔란티스 기업 등이 잘 진행돼 최근 639억 규모의 공시가 났다. 공장이 들어오는 수주량을 대비해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며 "현재 4개의 공장이 가동되고 있고, 제5공장은 오는 8~9월 중 가동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나인테크는 지난 14일 설립 이래 단일 건 중 사상 최대 규모인 639억원 배터리 제조 장비 공급계약을 LG전자와 체결했다. 계약금액은 나인테크 최근 매출액의 71.9%에 해당하며 계약 기간은 오는 2025년 12월30일까지다.

나인테크 로고. [사진=나인테크]

2차전지(작년 매출 기준, 46.2% 비중 차지) 성장에 더불어 디스플레이 분야(26.8%)도 안정적 실적을 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전 공정에 필요한 진공·N2 이송장비와 전·후공정에 필요한 기판 세정장비(Wet Station) 등을 생산해 공급한다.

과거 LG디스플레이가 주력 고객사였지만 최근에는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를 중심으로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액은 지난 2021년 196억, 2022년 239억으로 꾸준하고 안정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나인테크는 올해 디스플레이 장비 부문 매출에서도 유사한 수준으로 진행할 것으로 예상했다.

리서치알음은 "나인테크의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은 올해 360억원으로 고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태블릿·노트북 등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OLED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고객사 수주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디스플레이 부문에서도 가파른 성장세가 전망된다"고 전했다.

방위산업용 이차전지 및 충전기를 전문으로 하고 있는 자회사 '탈로스'와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나인테크는 자회사 지분 56.03%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지난 17일 '탈로스'는 코스닥 이전 상장을 위한 절차에 본격 착수했다. 지난해 3월 탈로스 경영권 인수 당시, 나인테크는 2차전지 장비 제조업체를 넘어 2차전지 완성품 제조 분야로까지 영역을 확대하면서 자회사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한 반도체 장비에 이어 자동차 냉풍시트, 산업용 열전발전, 가전제품 등의 열전소자 부품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사업영역 다각화에도 힘쓰고 있다.

나인테크 관계자는 "군용 배터리를 주로 생산하는 등 탈로스가 방산 업체다 보니 안정적인 매출과 이익이 확보된 상태에서 투자를 하게 됐다.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현재 자회사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주주로서 더욱 긍정적인 성장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자회사 성장과 더불어 나인테크 자체적으로 2차전지 관련된 사업이 올해 굉장히 증폭되고 있기에 이 사업부문에 많이 집중하고 있다. 더불어 신사업인 열전소자 등으로 시장확대를 위해서 열심히 하고 있다"며 
"나인테크만 보면 올해 1200억정도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나인테크의 2022년도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액 892억원(별도기준 760억원), 영업이익 60억원, 당기순이익 17억원으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41.4%로 대폭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리서치알음은 IFRS 연결기준 올해 매출액 1655억원, 영업이익 134억원으로 각각 85.6%, 123.3% 증가한 수치로 전망한다.

nylee5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