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시공 결정 직후 영업익 1776억에서 997억 조정
건설업계, 공사·철거·지체보상금 등 1조원대 손실 전망
신용등급 하락·PF 우발채무 확산 등 후폭풍 확산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GS건설이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의 전면 재시공에 들어가는 예상비용을 올해 2분기 실적부터 반영한다. 실적 발표를 앞두고 추정치를 반토막 수준으로 낮췄다.
재시공 결정시기는 7월이지만 손실을 2분기 실적에 일부 반영한 것으로 부실시공에 대한 논란을 최대한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최소 5000억원에 달하는 재시공 비용에 신용등급 하락,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상환 우려까지 더해져 이번 사태의 후폭풍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검단 재시공에 원가율 재조정... 영업익 1776억에서 997억으로 뚝
10일 건설업계 및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검단 아파트의 재시공 여파로 GS건설의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가 기존 1766억원에서 997억원으로 43% 정도 낮아졌다.
실적이 악화한 이유는 검단 아파트의 원가율을 재조정했기 때문이다. 붕괴사고 이후 공사가 중단된 상태인 데다 재시공에 따른 손실을 선반영한 것이다. 반영 금액은 7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인천 검단신도시 신축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현장 [사진=인천시] |
대손충당금도 대거 반영한다. 못 받을 돈을 대비해 쌓아놓는 적립금으로 회수 가능성이 없는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충당금을 설정해야 한다. 이번 아파트 재시공은 추가 공사비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시공사인 GS건설이 전액 부담한다. 순차적으로 도급액 수준을 웃도는 수천억원 규모의 충당금이 반영될 예정이다. 이 영향으로 2분기 당기순이익이 1000억원대 흑자에서 256억원 손실로 전환됐다.
인천 검단 자이안단테는 지하 2층~지상 25층, 17개 동, 1666가구(전용면적 74~84㎡)로 이뤄졌다. 지난 5월 말 기준 공정률은 67% 수준으로 오는 10월 완공 후 12월 입주할 예정이었다.
앞서 지난 4월 29일 검단신도시의 AA13-2블록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202동과 203동 사이 지하주차장 1층과 2층의 상부 202동과 203동 사이 지하 1층 상부 슬래브((약 1104㎡) 붕괴하면서 지하2층 슬래브(약 185㎡)까지 연이어 내려앉았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주처로 시공은 GS건설, 설계는 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감리는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가 맡았다.
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 설계 단계부터 감리·시공까지 총체적 부실시공으로 드러났다. 하중을 버티는 전단보강근이 절반 넘게 적용되지 않았고, 이런 문제를 시공사와 감리사, 발주처 모두 바로잡지 못한 채 공사가 진행됐다. 철근은 누락하고 부실 콘크리트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시공사인 GS건설이 책임을 공감하고 전면 재시공을 결정했다.
◆ 신용등급 하락, PF 우발채무 확산 등 후폭풍 거세
검단 아파트 재시공에 대한 후폭풍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부실시공으로 GS건설의 기업 신뢰도가 추락한 데다 재시공에 따른 매몰비용도 예상치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커서다.
신용평가사들은 GS건설의 신용등급 하락 등 기업 평판이 악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적 악화뿐 아니라 수주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PF 리스크가 불거질 수 있다. GS건설이 신용보강을 제공하는 PF 우발채무는 1조6000억원 수준이다. 이번 사태로 만기가 돌아오는 부동산 PF는 차환이 어려워 자체 자금으로 막아야 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신용등급 하락도 점쳐진다. 지난해 광주 아파트 붕괴 사고로 HDC현산의 신용등급은 지난해 'A+'에서 'A'로 내려갔다. 이 경우 회사채 발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차입 이자가 늘어난다.
건설업계에서는 검단 아파트 재시공에 5000억원 수준을 뛰어넘는 1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 도급비용으로 4500억원, 철거비용 2000억원, 지체보상금 1000억원, 손실비용 2800억원 등이 주요 내역이다. 원자재 가격 불안이 지속하고 입주민을 대상으로 지체보상금이 늘어나면 손실액이 더 늘어날 여지가 있다. 올해 영업손실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상당수 PF 보증 사업이 미착공된 상태이며 향후 다른 사업장에서도 시공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발채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며 "기업의 손실 규모가 커지고 신뢰도 회복이 장기화하면 신용평가 하향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