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헬스케어, 연 평균 17% 성장…"디지털라이제이션 핵심"
성장 더디고 배타적인 국내 시장, 오픈 이노베이션 필수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서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이 필요하다. 기업 하나하나를 따져보면 열악한 규모지만 뭉치게 되면 상당한 시너지를 낼 것이다."
원희목 서울대학교 특임교수는 9일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이하 연합회) 포럼 기조발제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확장하기 위해 기업 간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통산업인 제약바이오와 부상하는 디지털 치료기기가 혼재하는 만큼 융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원 교수는 디지털라이제이션이 글로벌 헬스케어 영역의 핵심이 됐다고 진단했다. 모바일 헬스케어, 유전체분석, 개인의료정보, 원격의료 등 성장 가능성이 큰 보건의료 산업은 전부 디지털과 연결된다.
9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 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 제1차 포럼에서 원희목 서울대학교 특임교수가 기조 발제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 |
최근 의료 서비스 중심이 소비자에게로 옮겨가고 있다는 점도 디지털라이제이션 열풍에 일조했다. 이전에는 의료 공급자가 데이터를 독점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의료 소비자들이 스스로의 의료 정보를 적극적으로 취득하고, 더 나아가서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데이터 생태계도 부상하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은 지난 2021년 2603조원에서 2027년 3770조원으로 연 평균 17%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지난 2020년 182조원에 그쳤으나 오는 2027년 610조원까지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다만 국내에서 해외의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국면이 한계로 지적된다.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매출 규모는 총 1조 3539억원으로, 글로벌 시장의 0.5%에 불과했다.
원 교수는 "디지털라이제이션은 우리나라에서는 시장 진입 단계로 속도가 상당히 더디다"며 "기존의 보건 의료 시스템에 관여하고 있는 관계자들이 절실함이 부족하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규모가 작다는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콜라보레이션을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부의 규제 완화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ICT는 세계적으로 강한 분야로 알려져 있는데, 규제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데이터 확보에서 시간이 늦어진다"며 "디지털 헬스 쪽은 다른 헬스케어 시장보다 훨씬 빨리 가야 하는 만큼 전향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9일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 제1차 포럼에서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3.3.9. hello@newspim.com |
연합회는 제약바이오, 디지털헬스케어,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융·복합 및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고, 최신 산업 동향과 현안을 공유하는 자리를 만들고자 이번 포럼을 열었다. 연합회는 지난 1월 13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등 6개 단체의 참여로 출범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선진국은 일찍이 자국 산업 육성을 위한 과감한 투자와 정책지원에 나서고 있다"며 "우리 협회를 비롯한 6개 단체는 지난 1월 디지털전환 등 새로운 패러다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한정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장 등도 참가했다.
hell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