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수요 감소에 천안·대구에서 미분양 대거 떠안아
매출원가율 92%로 업계 최고...분양사업 부진시 실적악화 불가피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아파트 브랜드 인지도 1, 2위를 다투는 '힐스테이트'가 지방 분양시장에서 고전하면서 미분양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집값 바닥을 가늠하기 어려운 데다 주택 수요층의 눈높이도 높아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가 비싸거나 입지 경쟁력이 떨어지면 브랜드 아파트라도 청약 수요 유인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힐스테이트 브랜드를 함께 사용하는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은 앞으로의 분양 성적이 내년 실적 개선에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주택경기 악화에 천안·대구 등 분양서 흥행몰이 실패
1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이 분양한 힐스테이트 아파트가 지방 분양시장에 잇달아 청약 미달사태를 빚고 있다.
지난 6일 현대건설이 분양한 충남 천안 '힐스테이트 천안역 스카이움'은 985가구 모집에 266가구 신청하는 데 그쳤다. 평균 경쟁률은 0.27대 1로 미달한 719가구는 무순위 청약과 선착분 분양으로 수요자를 찾아야하는 상황이다.
앞서 8월 공급한 대구 '힐스테이트 서대구역 센트럴'은 757가구 모집에 106가구 지원해 평균 경쟁률이 0.14대 1에 불과했다. 7월 선보인 대구 '힐스테이트 대명 센트럴 2차'는 967가구 분양에 지원자가 244명에 머물렀다.
현대엔지니어링도 지방 분양에서는 상황이 비슷하다. 지난달 울산에서 분양에 나섰으나 흥행몰이에 실패했다. '힐스테이트 문수로 센트럴 1단지'는 296가구 모집에 52명, '힐스테이트 문수로 센트럴 2단지'는 297가구 공급에 26명이 지원하는 데 그쳤다. 전체 분양가구의 87%가 미분양된 셈이다.
지난 8월 우리자산신탁이 시행사로,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사로 나선 대구 '힐스테이트 칠성 더오페라'도 576가구 모집에 89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이 0.15대 1을 기록했다.
주택경기가 악화일로로 치닫자 대형 건설사 브랜드도 지방에서는 힘을 내지 못하고 있다. 지방은 수도권과 비교해 실수요자가 부족한 데다 부동산 경기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주변시세보다 비싼 분양가도 청약 실패에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힐스테이트 천안역 스카이움의 84㎡A 분양가(최고가 기준)는 5억1000만원이다. 발코니 확장비와 옵션을 할 때 주변 실거래가보다 1억원 정도 비싸다. 주변 '천안역사동아라이크텐'(992가구) 전용 84㎡는 지난 10월 4억3500만원에 실거래됐다. '이안그랑센텀천안'(816가구) 84㎡는 지난달 4억1567만원에 손바뀜됐다.
미분양이 확산하면서 신규 분양사업에 부담이 커졌다. 현대건설은 이달 인천에서 '힐스테이트 인천시청역'(485가구), 대전에서 '힐스테이트 선화 더와이즈'(851가구) 분양에 나선다. 이 단지들도 흥행에 실패하면 내년도 분양계획과 전략을 새로 짜야 하는 상황이다.
◆ 건축·주택, 매출의 절반...미분양 확산시 실적악화 불가피
분양사업 성과가 내년 실적 개선에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현대건설의 연간 영업이익(연결기준)은 2016년 '1조 클럽' 가입을 마지막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17년 9861억원, 2018년 8400억원, 2019년 8597억원, 2020년 5490억워을 나타냈다. 이듬해 7535억원을 기록했고 올해 초 1조 클럽 재가입을 목표로 했으나 영업이익이 7000억원에 머물 것으로 관측된다.
전체 매출에서 건축·주택 비중이 절반이 넘어 분양사업 결과가 실적이 큰 영향을 미친다. 미분양이 늘면 금융이자, 마케팅비용, 인건비 등이 늘어 분양 수익성을 갉아먹는다. 단순 도급사업이라도 시공사 대부분이 연대보증, 채무인수로 참여해 사업이 끝날 때까지 공동으로 책임을 부담한다.
시멘트, 철근 등 원자잿값 부담도 여전해 미분양 아파트 보유분이 늘면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미 수익성이 악화된 상태다. 3분기 기준 매출액 대비 매출원가 비율인 매출원가율이 92.4%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1000억원 공사에 원가가 924억원 투입됐다는 것으로 매출원가율이 높으면 마진율을 높이기 어렵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원자잿값 상승과 공사지연 등으로 매출원가율이 치솟은 상황에서 미분양 보유분까지 늘어나면 실적 개선에 큰 장애가 될 것"이라며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주택경기가 회복하면 가장 빠르게 회복하겠지만 그 시기를 가늠하기 어려운 만큼 전반적인 사업 계획,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