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을 또 하나의 현실 공간이라 인식
취향과 개성이 더 강해진 세대
전 세계적으로 세대간의 사고 및 소비 풍속 등이 뚜렷히 나타나고 있다. 1990년대 등장한 X세대에 이어 현재의 2030세대인 MZ세대까지, 이들의 특성과 개성을 구분 짓는 '세대 담론' 역시 우리 사회에서 이슈로 등장했다. 이에 뉴스핌은 MZ 이후 세대인 '알파 세대'(2010년 이후 출생)의 특성을 짚어보고 향후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박두호 인턴기자 = 최근 메타버스 플랫폼인 네이버 제페토에서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롯데월드에 '접속'했다. 직접 방문하진 않았지만 실제 롯데월드인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알파세대들은 그곳에서 롯데월드의 대표 놀이기구인 '자이로스윙'을 탑승했다.
메타버스 공간 속 알파세대들의 모습은 화려했다. 아바타의 얼굴도 작고 시상식에서 볼 법한 의상을 입고 있었다. "그렇게 꾸미려면 얼마나 필요하냐"는 질문에 한 접속자는 "700젬(제페토 전용 화폐) 정도"라고 답했다. 700젬은 한화 5만원 정도의 가치다. 그는 "한 달에 용돈을 10만원 정도 받는데, 절반은 제페토에 쓴다"고 했다.
[포스트MZ 'α세대'] 글싣는 순서
1. α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2. 소비활동은 가상세계에서
3. 스트레스는 학교서 푼다
4. 그들만의 문화 '온라인 무덤'
5. 영상부터 음성까지…AI 활용 능숙
6. "돈도 중요" 10대부터 재테크
7. 전통적 직업관은 가라
8. 집단 탈피…이젠 개인 교육
MZ세대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을 겪었다면 알파세대는 태어났을 때부터 스마트폰과 태블릿PC 같은 디지털 기기를 접했다. 알파세대는 인공지능과 대화하는 것이 자연스러우며, 구글과 유튜브가 쏟아내는 콘텐츠의 홍수에서 자랐다.
[서울=뉴스핌] 박두호 인턴기자 = 지난 18일 네이버 제페토에서 만난 알파세대들과 롯데월드 포토존에서 찍은 사진. 2022.09.23 walnut_park@newspim.com |
◆ 가상세계는 또 하나의 현실…"놀고 소비하고 소통해요"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알파세대가 지닌 가장 큰 특성은 가상공간을 대하는 태도에 있다. 전문가들은 MZ세대만 해도 현실과 가상공간을 분리하는데, 알파세대는 가상공간도 하나의 현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창환 극동대 교수(한국메타버스교육학회 임원)는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구분하는 것은 아날로그 세계에 갇힌 사람들의 사고 방식"이라며 "알파세대는 가상공간을 또 하나의 세계로 인식한다"고 설명했다.
알파세대는 이미 메타버스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앱) 시장분석업체 센서타워가 2020년에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 아이들이 로블록스에서 보내는 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 36분이다. 이는 틱톡(58분)과 유튜브(54분)보다 긴 시간이다. 로블록스는 세계에서 가장 이용자 수가 많은 미국의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이용자들이 직접 게임을 만들 수 있다.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인 네이버 제페토도 지난 3월 가입자 3억명을 넘어섰다.
알파세대가 메타버스 공간을 찾는 까닭은, 이들에겐 가상공간이 놀이터이자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자신의 상상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데 그쳤다면, 알파세대는 자신이 상상한 것을 가상공간에 구현하는 데 익숙하다. 이들은 자신의 상상력을 게임이나 콘텐츠로 만들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한다.
조희정 청강문화산업대 만화콘텐츠스쿨 교수는 "가상공간은 모든 경계를 허물고 자기 주도적으로 세상을 해석하고 참여하고 스스로 창조해 나갈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뉴스핌] 박두호 인턴기자 = 2021년에 로블록스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로블록스 수익은 2017년 4500만 달러에서 2020년에 9억 2000만 달러로 20배 이상 성장했다. 초록석 막대 그래프는 로블록스에서 게임을 만든 사람에게 지급된 금액으로 2020년에 2억 5000만 달러(3500억 원 규모)를 지급했다. [자료=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2.09.23 walnut_park@newspim.com |
알파세대는 가상공간에서 돈을 벌거나 소비하는 등 경제활동을 하는 데도 익숙하다. '알파세대가 학교에 온다'의 저자 최은영 교사는 "알파세대는 가상화폐와 현실화폐를 구분하지 않는다"며 "가상공간에서 게임하고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돈을 쓰기도 하고 벌기도 한다"고 전했다.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 역시 "한국에서 메타버스가 활성화되고 있는 건 경제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라며 "알파세대는 게임을 잘하는데 메타버스에서 땅도 팔고 나라도 세우고 돈도 벌 수 있어 역동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 재미와 개성을 중시…"개별 특성 길러주는 방식으로 교육해야"
알파세대가 가상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이유는 '재미'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문석이다. 최 교사는 "알파세대들에게는 재미가 우선"이라며 "재미있으면 계속 하고, 재미없으면 바로 꺼버리면서 자신의 취향에 맞게 콘텐츠를 소비한다"고 밝혔다. 이어 "알파 세대는 어렸을 때부터 취향에 맞게 유튜브 영상을 골라보면서 이전 세대보다 자신의 취향이 더 확고해진 세대"라고 덧붙였다.
자녀의 취향과 선택을 존중해주는 경향이 강한 밀레니얼 세대가 알파세대의 부모 역할을 한다는 점도 개성 강한 알파세대를 등장시키는 데 일조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 교사는 "알파세대의 부모는 덜 엄격하며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최대한 존중한다"며 "알파세대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박두호 인턴기자 = 가상공간에서는 성별, 나이, 인종, 신체적 특징과 상관없이 자신이 원하는 모습으로 생활할 수 있다. [자료=이미지투데이] 2022.09.23 walnut_park@newspim.com |
개성이 두드러지는 알파세대의 강점을 존중하기 위해서는 이들에게 맞는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의 교육은 여전히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구 교수는 "입시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디지털 문해력을 키우는 교육이 있어야 알파세대가 디지털 사회에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술 발전으로 가상공간에서 도덕적인 문제나 새로운 법적 문제도 생길 수 있어 학교에서 도덕성을 기르거나 인성 교육이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walnut_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