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속보

더보기

2022 Kiaf 진단 ① 백남준의 재발견...시대 앞서는 놀라운 통찰력

기사입력 : 2022년09월05일 07:00

최종수정 : 2022년09월07일 01:53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키아프에 7개, 프리즈에 2개 설치작품 등장해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갤러리들의 어느 창고에 수장돼 있다가 이리 쏟아져 나온 것인가. 이번 2022 키아프(Kiaf)는 가장 많은 백남준(1932∼2006) 작품들이 전시돼 대중과 함께한 아트페어였다. 이제까지의 키아프에서 볼 수 없었던 현상이었다. 기억을 더듬어봐도 지난해 키아프에는 백남준 작품을 내놓은 갤러리가 없었던 듯하다.

그런데 올해는 키아프에 무려 7개, 프리즈(Frieze)에 2개 모두 9개 설치작품이 출품됐다. 작품 가격도 적게는 2억원부터 많게는 20억원 이상 가는 작품들이다. 에곤 실레(1890~1918)의 전문 화랑으로 유명한 런던의 리처드 내기 갤러리가 '프리즈 마스터즈'에 실레 작품 40여 점을 내놓은 것을 제외하면, 백남준도 작품이 많이 나온 작가에 속한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백남준, 구-일렉트로닉 포인트(Dfera-Punto Electtronico), 1990년 작. 키아프 전시물 [조용준 사진] 2022.09.05 digibobos@newspim.com

아트페어 특성상 갤러리 부스 별로 전시가 되므로, 백남준 작품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것은 몹시 아쉬운 대목이었다. 프리즈야 어쩔 수 없다쳐도, 키아프의 경우 사전에 어떤 작품들이 나오는지 다 알 수 있기 때문에 주최 측이 사전 조율을 통해 '백남준 특별 코너'를 만들어 한 곳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배려했으면 좋았을 거라는 안타까움이 짙게 남는다.

올해는 왜 이리 백남준 작품들이 대거 나왔을까? 단순한 우연일까? 그러나 아니땐 굴뚝에 연기 나지 않는 법은 없다. 갤러리들이 저마다 수장고 깊은 곳에 넣어두었던 백남준의 대형 설치작품들을 꺼내 올해 이렇게 먼지를 털어낸 이유가 분명 있을 것이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백남준, 첼로. 키아프 전시물 [조용준 사진] 2022.09.05 digibobos@newspim.com

미술계의 한 관계자는 "올해 키아프에 백남준 작품들이 대거 나온 것은 프리즈와 관련이 있다"고 진단한다. 서울이 아시아 미술시장의 전통적 '맹주' 홍콩을 제치고 아시아 제1의 미술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는 예측들이 여기저기서 나오던 참이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백남준, 비디오 피아노(Video Piano), 1999년작. 키아프 전시물 [조용준 사진] 2022.09.05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백남준, 로봇(라디오맨, 요셉 보이스) Robot(Radio Man, Joseph Beuys) 1987년작. 학고재 갤러리 프리즈 출품작 [조용준 사진] 2022.09.05 digibobos@newspim.com

올해 키아프는 사상 처음으로 프리즈와 동시 개최됨으로써, 그 외연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만큼 커졌다. 미술 관련 글로벌 인사들이 대거 서울에 몰렸고, 그렇지않아도 뜨거운 서울의 미술시장은 장외에서도 더 후끈 달아올랐다. 세계 1위의 경매사 크리스티(Christie's)는 기욤 세루티 CEO는 자신이 직접 150억원 추정 호크니 그림 '이른 아침, 생트 막심', 5800억 상당의 프랜시스 베이컨과 아드리안 게니 작품 16점을 들고와 분더샵청담 갤러리를  크리시티의 임시 전시장으로 만들었다.

키아프와 프리즈가 열린 코엑스 말고, 대치동 SETEC에서 '키아프 플러스'도 열렸다. 코엑스 바로 옆의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는 또 다른 전시회가 개최됐다. 키아프와 프리즈에 참여할 기회를 놓친 작가들의 또 다른 경연장이었다. 

"키아프가 프리즈의 들러리를 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없지 않았으나, 키아프에게도 분명 기회는 있다. 미술계의 큰 손들이나 해외 유명 갤러리 관계자들이 대거 서울에 몰리면서 작품 판매는 물론 국내 작가의 인지도 확산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지는 것은 분명하다.

이같은 관점에서 보자면 백남준 작품의 대거 출현 역시 이번이 이 작품들을 판매할 수 있는 역대 가장 좋은 시점이 됐다는 판단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백남준, 세기말 인간(End of Centuru Man), 1992년작. 키아프 전시물 [조용준 사진] 2022.09.05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백남준, '나는 실수한 다음에 또 실수를 한다. 그러나 그것은 긍정으로부터 나온다(I Make Mistake after Mistake, but it always comes out Positive)', 1996년 작. 키아프 전시물, [조용준 사진] 2022.09.05 digibobos@newspim.com

올해가 백남준 탄생 90주년이라는 사실도 주요한 이유가 된다. 경기 용인시 백남준아트센터(관장 김성은)는 올 봄 탄생 90주년을 맞은 백남준을 기리는 특별전을 열고, 1961년 백남준이 악보를 만든 '20개의 방을 위한 교향곡'을 국내 처음 시연했다. 

백남준은 20대부터 '귀로 듣는 음악을 전시한다'는 꿈을 꿨다. 물론 그가 작성한 악보는 오선지에 음계나 음표를 적어놓는 여느 악보들과 다르다. 사각형 모양의 선 위로 'X선 촬영실에서 사용하는 것 같은 붉은 전등' '신비스러운 향' '재잘거리는 아기 소리' 등 음표의 기능을 대신하는 지시문만 빼곡히 적혀 있다. '듣는 것'에 한했던 음악에 대한 통념을 깬 백남준의 실험적 시도였다.

살아생전 연주된 적 없던 이 교향곡은 61년이 지나, 올해 3월 24일 국내 처음 시연됐다. 백남준을 기리는 특별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백남준아트센터는 9월18일까지 특별전 '아방가르드는 당당하다(Archaeology of Avantgarde)'를 열고 있다. 이 전시는 백남준 생애와 작품의 중요한 순간을 돌아보는 10개의 장면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내년 1월24일까지 백남준 탄생 90주년 특별전 '바로크 백남준'도 전시 중이다. 백남준의 90번째 생일인 7월20일에 개막한 '바로크 백남준'은 그동안 국내에서 만나기 힘들었던 대규모의 미디어 설치작업과 레이저 작업을 중심으로 엮어졌다.

한계에 부딪쳐 갈 길을 잃고 우왕좌왕 헤매던 서양미술에서 백남준은 혜성처럼 나타나 '유화물감'이 아닌 진공관과 전자칩으로 시공을 초월하는 비디오 아트를 창조했다. 그는 초기 '실험 TV'에서 '비디오아트·위성아트·레이저아트'로 발전시켰고, 현대미술의 막힌 숨통을 뚫어냈다. 이는 세계미술계의 빅뱅이었다. 작금의 'NFT'와 '메타버스' 아트는 백남준 없이는 불가능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앤디 워홀과 레오 카스텔리의 초상(Portraits of Andy Warhol and Leo Castelli), 1994년 작품. 키아프 출품작 [조용준 사진] 2022.09.05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백남준, 무제(베이클라이트 로봇) Untitled(Bakelite Robot), 2002년작. 프리즈 전시품 [조용준 사진] 2022.09.05 digibobos@newspim.com

1993년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시스티나 성당'이 2019년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백남준 회고전에서 전시됐을 때 SF현대미술관 뉴미디어 수석 큐레이터인 루돌프 프릴링(R. Frieling)은 전시도록의 논평을 통해 이처럼 평했다. "21세기 몰입형인 이 작품은 백남준이 미켈란젤로의 시스티나 성당을 속도감 있는 전자 미학으로 바꿔 청중을 황홀경에 빠지게 한다. 대중문화와 고차원 예술성이 기묘하게 결합되었다. 지금 우리 시대와 너무 잘 맞는다."

그의 말이 맞다. 그의 비디오 아트는 20세기가 아닌 21세기와 더 잘맞는다. 백남준이 TV 화면을 통해 보여주려고 했던 것은 그가 차용한 필름의 화면들이 아니라, 예술에 대한 그의 자의식과 소신, 열정이었다. 그는 그의 분신을 진공관 화면에 심어 놓았다. 이것이 메타버스 아니면 무엇이랴.  

digibobo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변상문의 화랑담배] 일제 항복 "다가올 일 걱정됐다"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1945년 8월 10일은 광복군의 국내 진공 작전 개시 날이었다. 그런데 뜻밖의 일이 벌어졌다. 그날 오후 임시정부 주석 김구가 서안성(西安城) 성장 축소주(祝紹周) 집에서 수박을 먹으며 담화하고 있을 때 홀연 전화벨이 울렸다. 축소주가 놀란 표정으로 자리에서 일어나며 "중경에서 무슨 소식이 있는 듯하다"라며 전화가 설치된 곳으로 급히 들어갔다. 그리고는 나와서 하는 말이 "왜적이 항복한답니다"라는 것이었다. 1945년 9월 2일 시게미쓰 마모루 일본 외무상이 미국 항모 미주리호에서 항복 문서에 서명하는 모습. [사진= 위키디피아] 김구는 백범일지에서 "이 소식은 내게 희소식이라기보다는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는 일이었다. 수년 동안 애를 써서 참전을 준비한 것이 모두 허사로 돌아가고 말았다. 서안훈련소와 부양훈련소에서 훈련받은 우리 청년들을 조직적 계획적으로 각종 비밀무기와 전기(電器)를 휴대시켜, 산동반도에서 미국 잠수함에 태워 본국으로 침입하게 하여 국내 요소에서 각종 공작을 개시하여 인심을 선동하게 하고, 전신으로 통지하여 무리를 비행기로 운반하여 사용할 것을 미국 육군성과 긴밀히 합작하였다. 그런데 그러한 계획을 한번 실시해 보지도 못하고 왜적이 항복하였으니, 지금까지 들인 정성이 아깝고 다가올 일이 걱정되었다. 우리가 이번 전쟁에서 한 일이 없기 때문에 장래에 국제간에 발언권이 박약할 것이다"라고 당시 기분을 말했다. 국내 진공 작전에 투입되기 직전 이 소식을 접한 광복군 분위기도 침울했다. 작전을 총지휘하고 있던 이범석 장군은 미 OSS 부새 사젠트 소령에게 사실 여부를 묻고 또 물으며 굳은 표정을 지었다. 미군들은 샴페인을 터뜨리며 서로 껴안고 법석을 떨었다. 그야말로 광적인 장면이었다. 하지만 광복군들은 서로 손을 잡고 울음을 터뜨렸다. 누가 선창했는 지는 알 수 없으나, 애국가를 부르기 시작했다. 일본의 항복 경위는 아래와 같다. 1945년 5월 궤멸 상태에 빠진 독일이 항복한 뒤로는 일본만이 절망적인 전쟁을 계속하고 있었다. 이 어간에 미국, 영국, 중국 수뇌들이 1943년 11월 카이로 회담을 한 후, 카이로 선언을 채택했다. 주요 내용은 ①일본이 탈취한 영토를 원래대로 회복하고, 일본을 그 영토 밖으로 추방한다. ②한국은 적절한 절차(in due course)를 거처 자유롭고 독립된 국가로 건설한다. 등이다. 1945년 2월 미국, 영국, 소련의 정상들이 크림반도의 얄타에서 회합하여 각각 일본과 독일에 대한 전략과 전후 처리안을 결정하였다. 1945년 7월 미국, 영국, 중국 수뇌들이 포츠담에서 일본 측에게 무조건 항복을 권고하며 공동 선언문을 발표하였다. 소련도 뒤에 이 공동 선언에 가입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묵살하고 계속 초토전술을 떠들었다. 이에 미군은 1945년 8월 6일에 인류사상 최초의 원자폭탄을 히로시마에, 8월 9일 나가사키에 투하했다. 나가사키 투하 하루 전날인 8월 8일에는 소련이 일본에 선전을 포고하고 만주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일본은 히로히토 일왕 어전회의에서 포츠담 선언 수락을 결정하고, 1945년 8월 10일 스위스 정부를 통하여 연합국 측에 그 내용을 통지한 것이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2025-09-15 08:00
사진
'포스트 이시바' 누구?...고이즈미·다카이치 선두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자민당 총재직 사임을 공식화하면서, 일본 정국의 관심은 차기 자민당 총재 선거로 쏠리고 있다. 집권당 총재가 곧 총리직을 맡는 일본 정치 구조상 이번 총재 선거는 사실상 다음 총리를 뽑는 절차다. 자민당은 조만간 새로운 총재 선거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지난 2024년 9월 총재 선거에서 이시바 총리와 경합했던 주요 인사들이 다시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정국 운영이 소수 여당이라는 제약 속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차기 총재가 야당과 어떻게 연대할지, 어떤 연립 구도를 짤지가 최대 쟁점으로 꼽힌다. '포스트 이시바' 후보로 꼽히고 있는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고이즈미·다카이치 선두권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고이즈미 농림수산상과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이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지난달 29~3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총리에 적합한 인물로 다카이치가 23%, 고이즈미가 22%를 기록했다. 나란히 1, 2위다. 자민당 지지층으로 한정하면 고이즈미가 32%로, 다카이치(17%)를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카이치는 2024년 총재 선거에서 1차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결선에서 이시바에게 역전패했다. 고이즈미 역시 의원 표에서 선두에 올랐지만 당원 표에서 밀리며 결선에 오르지 못했다. 두 사람 모두 당내 기반과 대중적 인지도를 겸비해 차기 선거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주자들이다. 고이즈미 농림수산상은 1981년생(44세)으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차남이다. 2009년 중의원 첫 당선 이후 줄곧 '포스트 아베', '차세대 리더'로 주목받았다. 환경상, 농림수산상을 거쳤으며 개혁 성향과 젊은 이미지로 지지층을 넓혔다. 2024년 총선에서 당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으나 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이후 농림수산상으로 복귀해 쌀 유통 개혁 등 농정 개혁에 매진했다. 대중적 인지도와 '고이즈미 브랜드'라는 정치 자산이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은 1961년생(64세)으로 보수 강경파로 분류되는 여성 정치인이다. 2021년 총재 선거에 첫 도전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전폭적 지원을 받으며 3위를 기록했다. 2024년 총재 선거 1차 투표에서 최다 득표(의원 72표, 당원 109표)를 얻었으나 결선에서 이시바 총리에게 역전 당했다. 유일한 여성 후보로서 '보수의 아이콘'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아베 전 총리와 가까웠던 의원 그룹이 주된 지지 기반이다. 이시바 정권에서 당직 제안을 거절하며 독자 노선을 유지해 왔다. '포스트 이시바' 후보로 꼽히는 다카이치 사나에 전 일본 경제안보담당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야시·모테기 등 잠룡도 주목 고이즈미와 다카이치 두 선두 주자 외에 잠룡들의 행보도 주목된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옛 기시다파 일부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시바 정권의 2인자로서 존재감을 키워왔다.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은 당내 경험과 풍부한 인맥을 강점으로 삼고, 아소 다로 전 부총리와 교류를 통해 지지 기반을 다지고 있다.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은 5선 의원으로, 동기 의원들과 옛 니카이파의 지원을 받으며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 총재 선거 이후에도 정국 '안갯속' 자민당 총재 선거는 국회의원 표와 당원·당우 표를 합산하는 방식이 원칙이지만, 긴급 시에는 국회의원과 지방 지부 대표만 투표하는 '양원 의원 총회'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의원 표의 비중이 커져 파벌 역학이 중요해진다. 차기 총재가 선출되더라도 곧바로 정권 안정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일본 헌법상 총리는 국회에서 지명되는데, 자민·공명 양당은 현재 중의원과 참의원 모두에서 과반을 잃은 상태다. 따라서 야당이 단일 후보를 세워 결집할 경우, 자민당 총재가 총리로 지명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자민당 총재가 총리에 오르더라도, 예산안·세제 개혁 법안 등 국정 운영은 야당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차기 총재는 곧바로 '연립 확대'나 '정책 연대'를 추진할 수밖에 없고, 총재 선거 과정에서도 어떤 야당과 손을 잡을지가 핵심 화두가 된다. 결국 이번 자민당 총재 선거는 단순히 차기 지도자를 뽑는 절차를 넘어, 일본 정치가 다당제 속에서 어떤 연립 구도를 구축할지 시험대가 되는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goldendog@newspim.com 2025-09-08 09:26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