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 간 칸막이 발생, 지원 사업 분절적
K-바이오 육성 위해 통합 컨트롤 타워 필요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새 정부에 대한 제약바이오 업계의 기대감이 높다.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제약바이오 분야를 새로운 산업으로 규정하고, 글로벌 산업으로 육성·발전시키겠다고 공약했다. 일환으로 국무총리 직속의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하기로 했다.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는 업계의 숙원이다. 그간 업계는 산업 육성 정책과 예산을 통합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를 설치해달라고 요구해왔다. 산업 육성과 재정, 규제 정책이 여러 부처에 분산돼 있어 부처 간 칸막이가 발생해 지원 확대와 규제 혁신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 기초연구·임상·제품화 지원 사업 역시 분절적이라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다.
김경민 산업1부 기자 |
특히 코로나19 펜데믹에서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 필요성이 크게 대두됐다. 선진국에 비해 코로나19 백신 확보가 늦어지고 신속한 백신·치료제 개발이 논의되면서다.
제약바이오 선진국인 미국의 경우 관련 법에 의거해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STP)이 범부처 차원의 종합 조정 기능을 갖고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의 의료연구개발기구(AMED)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컨트롤 타워로 의약품 연구개발(R&D) 관리를 통합하기 위해 각 부처에 배분돼 있던 예산 등을 총괄 관리한다.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의약품 시장 규모는 올해 약 1700조원에서 2026년 2140조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K-블록버스터 신약 창출에 필요한 기술과 인력은 확보됐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은 1477개 달한다. 3년만에 157.8%가 증가한 수치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한 신약은 34개다.
하지만 제약바이오 산업은 기술 장벽이 높아 막대한 지원이 필요한 분야다. 상업화와 직결된 임상 3상에만 최소 2000억원에서 1조원이 소요된다. 우리나라 정부 부처의 올해 R&D 예산 15조7000억원 중 바이오 분야 예산은 11.4%인 1조8000억원에 불과하다. 미국 등 선진국은 30% 이상을 차지한다.
혁신의약품 개발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강력한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정부의 과감한 지원이 있다면 K-바이오는 글로벌 선진 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다. 민·관 협력으로 셀트리온은 펜데믹 국면에서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렉키로나'를 약 1년만에 개발해 국내는 물론 유럽 등 해외에서 사용 승인을 받았다. 또 정부 지원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백신 'GBP510'의 상용화를 앞뒀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제약바이오 전문가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업계도 실망감을 감추지 못 하고 있다. K-바이오가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 공약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으로 수립·실행돼야 한다.
km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