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20년 에너지총조사 결과
산업·수송부문 소비, 전체 소비 견인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지난 2019년 국내 수요부문 전체 에너지소비가 2016년 이후 매년 1.7%씩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주로 산업과 수송 부문 소비가 전체 소비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내용의 '2020년 에너지총조사(2019년 기준 에너지소비량)'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업종·용도별 에너지 소비 구조의 특성과 변화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1981년 이후 매 3년마다 에너지총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약 3만5000개의 부문별 최종소비자 표본을 대상으로 2019년 한 해 동안의 에너지 소비 현황을 2년간에 걸쳐 조사·분석한 것이다.
원별·부문별 에너지 소비구조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2.03.18 fedor01@newspim.com |
2019년 수요부문 전체 에너지소비는 2016년 2억1541만9000석유환산톤(toe) 대비 연평균 1.7% 증가한 2억2647만9000toe이다. toe는 원유 1톤이 갖는 열량으로 1toe는 107키로칼로리(kcal)다.
산업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2016~2019년 기간 동안 연평균 1.6% 증가했다.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60.4%에서 2019년 60.2%로 소폭 하락했다. 산업부문 소비량의 대부분(95.8%)을 차지하는 제조업에서 원료용으로 소비되는 납사 등의 소비 증가로 에너지 소비가 증가했다.
수송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이기간 동안 연평균 2.7% 늘었다.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8%에서 21.4%로 소폭 상승했다. 원유·연료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송 실적의 증가로 운수업 모든 업종에서 에너지소비량이 증가했다.
상업·공공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연평균 1.2% 늘었고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2%에서 9.1%로 소폭 줄었다.
2016년에 비해 2019년 겨울철 난방용 수요가 따뜻한 기후의 영향으로 감소함에 따라 도시가스 소비량이 이 기간 동안 연평균 1.4% 감소해 전체 소비량 증가폭이 둔화됐다.
사업체당 에너지소비가 가장 많은 업종은 공공서비스이고 에너지원단위가 가장 높은 업종은 숙박·음식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연평균 0.4% 증가했다. 전체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6%에서 9.3%로 낮아졌다. 겨울철 난방용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난방연료인 도시가스, 등유, 열에너지(지역난방) 소비량이 '연평균 각각 0.6%, 4.7%, 7.8% 감소했다.
가구당 에너지소비는 에너지절약과 효율 제고, 2인 이하 가구 수의 증가로 지난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교육연구, 문화·집회, 숙박, 업무, 의료, 판매 등 6개 용도의 건물부문 조사 결과 건물(업체)당 에너지소비와 연면적당 에너지소비 모두 대규모 건물이 포함돼 있다. 특수목적성 기기와 난방수요가 많은 숙박, 의료, 판매 시설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 관계자는 "에너지총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장기 에너지수요전망과 중장기 에너지정책 개발 등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공공기관의 정보를 국민과 함께 공유하고 이를 통해 소통의 폭을 넓히기 위해 에너지총조사를 통해 수집된 마이크로데이터를 공개해 기업, 연구기관, 일반국민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