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타투 프린터부터 맞춤형 염모제까지...시스템 개발 속속
뷰티테크 시장 규모 ↑...코로나19 확산에 피부 건강에 중점 소비 확산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 국내 뷰티 대기업들이 화장품과 IT 기술을 접목한 '뷰티테크(beauty+technology)'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자체 화장품 노하우와 IT 기술력을 접목시키거나 관련 기술을 보유한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뷰티 디바이스를 속속 출시하고 있다.
지금까진 화장품 개발 시 색과 향 등 겉으로 보이는 효능·효과에 초점을 뒀다면 이제는 피부 본연의 건강함을 추구하는 소비자 니즈 공략에 나선 것이다.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사진=LG생활건강] 2022.02.15 shj1004@newspim.com |
◆ IT기술 접목...뷰티 디바이스 개발 '속속'
19일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은 10cm이하의 컴팩트한 사이즈의 미니 타투 프린터를 개발 중이다. 올 4분기 북미 시장에 출시하겠다는 목표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초부터 개발중인 미니 타투 프린터 '프린틀리(Printly)'라는 프로젝트 명 아래 일상 속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뷰티 테크 분야로 개발을 추진해왔다. 올 4분기부터 지난해 인수한 미국 하이엔드 패션 헤어케어 브랜드 '알틱 폭스'의 유통 채널을 통해 프린틀리를 판매할 예정이며, 이후 순차적으로 국내에도 제품을 선보이고 다양한 채널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염모제 시스템도 개발했다. 미국 헤어케어 전문기업 파루크 시스템즈와 LG생활건강이 공동 개발한 'LG CHI Color Master'는 3만개 이상의 세분화된 컬러를 만들 수 있고, 2분 안에 맞춤형 염모제를 제조한다. 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해 염색 후 모습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일상 속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뷰티 아이템으로 글로벌 뷰티테크 시장을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2022.03.16 shj1004@newspim.com |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2014년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메이크온'을 론칭하며 진동클렌저, 초음파마사지기 등 기기 라인업을 확대 중이다. 최근에는 일대일 라이프 뷰티 맞춤 브랜드 '커스텀미'를 새롭게 출시했다. 커스텀미는 모바일 피부 분석 서비스, 피부 밸런스 맞춤 제품 등을 통해 개인에게 특화된 솔루션을 제안한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피부 분석과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는 '피부 분석 서비스'(사진)를 제공한다. 홈페이지에서 얼굴 사진을 찍고 간단한 질문에 답하면 피부 고민에 따른 맞춤 분석과 솔루션을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로레알이 관련 시장 공략에 적극적이다. 가정용 염색기기 '컬러소닉'을 출시, 집에서 간편하게 염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원하는 컬러 카트리지를 기기에 넣으면 염모제와 산화제가 자동 혼합된다. 분당 300회 이상 진동하는 전동브러시가 탑재돼 머리를 빗으면 염색약이 골고루 도포된다.
또 최근에는 미국 알파벳 산하 생명과학기업 베릴리와 뷰티 테크 제품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관련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 아모레 커스텀미 [사진=아모레퍼시픽] 2022.03.16 shj1004@newspim.com |
◆ 세계 뷰티테크 시장 규모 급증...피부 건강에 대한 관심도 ↑
이들이 뷰티테크에 역량을 집중하고 나선 이유는 시장 성장 가능성을 높게 점쳤기 때문이다. 시장조사기관 피앤씨마켓리서치는 세계 뷰티테크 시장이 연평균 19.1%씩 성장해 오는 2023년 시장 규모가 1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홈 뷰티기기 시장은 2013년 800억원에서 2018년 5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올해는 1조6000억원에 달한다는 전망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마스크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건강하게 지켜주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피부 본연의 건강함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증가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기초소재와 피부 면역과 장벽을 강화하는 연구가 대두됐고 피부에 자극을 주는 색조 제품 등의 소비도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뷰티업계도 온라인, 모바일 등을 활용한 언택트 소비가 증가했고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색조 제품의 수요 감소, 기초 피부보호 및 관리에 대한 소비자 관심으로 이어지면서 홈뷰티기기에 대한 관심도도 커졌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주요 소비행태는 비대면을 기반으로 간접 체험 및 경험, 온라인 채널 등으로 바뀌면서 고객과의 접점 방식도 디지털화되고 있다"며 "대표적인 예가 뷰티테크 시장으로 관련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로 뷰티테크라는 일시적인 것이 아닌 화장품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가치 정립의 필요성이 제기됐다"며 "새로운 변화로 뷰티업계도 먹거리 창출에 돌입할 것"이라고 했다.
shj10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