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술력 발전에 경쟁력 상실
폴리실리콘 등 원재료 가격 '급등'
중국 기업 시장점유율 80% 이상
[서울=뉴스핌] 임성봉 기자 = LG전자가 태양광 사업의 완전 철수를 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태양광 시장은 통상 '국내 기업의 무덤'으로 불릴 정도로 진출이 쉽지 않은 분야로 꼽힌다. 특히 중국 기업들의 저가 공세로 사실상 과독점 체제를 구축한 상태여서 높은 시장성에도 불구하고 LG전자마저 철수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최근 이사회 논의 등을 거친 끝에 오는 6월 30일자로 태양광 패널 사업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태양광 패널 사업 경쟁심화 및 지속적인 사업 부진 등으로 해당 사업을 정리한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
LG 트윈타워 [사진=LG] |
실제로 LG전자는 지난 수년간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1%대에 머물면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매출은 지난 2019년 1조1000억원대에서 2020년 8000억원대로 추락했다.
◆ 중국 기술력에 경쟁력 상실
LG전자가 글로벌 태양광 시장에서 선택한 전략은 '프리미엄 태양광'이다. 태양광 패널은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P타입과 N타입이다. P타입은 생산 원가가 저렴하지만 비교적 발전효율이 낮고 반면 N타입은 생산원가가 높지만 P타입 대비 2~3% 가량 효율이 좋다. 태양광 발전효율은 통상 20% 수준으로 효율을 1% 높이는 것도 기술상 쉽지 않다.
LG전자는 중국의 P타입 중저가 물량 공세를 이겨내기 위해 지난 2020년 수백억원을 투자해 경북 구미 공장에 신규 생산라인을 구축하기도 했다. LG전자는 국내에서 태양광 셀과 패널을 각각 1.8GW, 1.4GW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미국에서는 태양광 패널 450㎿ 생산능력을 보유했다.
문제는 중국 기업들의 P타입 발전효율을 N타입 수준까지 끌어올리면서 발생했다. LG전자의 N타입이 높은 생산원가에 비해 발전효율 측면에서 경쟁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 기업들의 P타입 발전효율은 N타입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 원자재 가격 급등도 부담
태양광 생산에 필요한 주요 부품들의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는 점도 LG전자에 적잖은 부담을 안겼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폴리실리콘'이 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전지에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은 실리콘 결정체들로 이루어진 물질로 가장 핵심 부품이다.
지난해 글로벌 폴리실리콘 생산량은 약 58만톤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약 200GW 모듈을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지난해 글로벌 태양광 수요가 201GW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급이 빠듯했다. 더욱이 글로벌 폴리실리콘 생산의 70%를 차지하는 중국의 전력비용이 상승하면서 제조가격도 급격히 올라 당시 폴리실리콘 1키로당 가격이 30달러를 뛰어넘기도 했다.
[사진=바이두(百度)] |
또 다른 핵심 부품인 실리콘 웨이퍼 역시 지난해 2배 이상의 상승폭을 보이며 원재료 부담을 키웠다. 실리콘 웨이퍼는 반도체에서 사용하는 웨이퍼와 유사한 부품으로 얇은 실리콘 판을 말한다.
웨이퍼 가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인 지난 2020년 7월 조각당 0.3달러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글로벌 태양광 수요가 증가하면서 폴리실리콘과 함께 가격이 가파르게 올랐다.
통상 폴리실리콘 및 잉곳·웨이퍼 등 소재 가격이 상승하면 태양전지 및 모듈 등 제품 가격이 연쇄적으로 상승한다.
◆ 높아지는 중국 독과점 허들
현재 중국 기업은 폴리실리콘, 잉곳 및 웨이퍼 등 태양광 패널의 핵심 소재 공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웨이퍼 분야 상위 10개 기업을 중국이 싹쓸이 했고 태양전지 분야도 중국이 독식하고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태양광 사업 상위 10개사의 글로벌 태양전지 생산 비중은 지난 2016년 65%를 차지했으나, 지난 2020년에는 83%까지 급상승해 독주 체제를 공고히 하고 있다.
웨이퍼 분야에서도 상위 10개 기업의 시장 지배력이 같은 기간 62%에서 무려 98%로 증가해 독과점 체제를 굳혔다.
이처럼 중국의 공세가 강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이미 태양광 사업에서 속속 손을 떼는 모습이다. 이미 태양광 관련 중소업체들은 사실상 고사했고 최근에는 LG전자마저 시장에서 철수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잉곳·웨이퍼를 생산해 온 웅진에너지는 중국에 밀리면서 사업성을 잃어 현재 관련 사업 매각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태양광 셀·모듈 제조 기업인 신성이엔지는 충북 증평공장을 지난해 말 매각했다. OCI, 한화솔루션은 2020년 2월 폴리실리콘 국내 생산을 중단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은 저렴한 전기료를 바탕으로 저가 부품 공세를 펼치고 있고 국내 기업들은 가격이나 제품 품질 측면에서 경쟁력을 잃으면서 사업 철수가 불가피하다"며 "전세계적으로 탄소경제가 가시화되면서 태양광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으나 중국 기업들이 시장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imb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