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전 세계 식료품 가격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월간 세계식량지수(FFPI) 보고서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지난 1월 평균 식량가격지수는 135.7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1년 이집트와 리비아 등에서 정치적 시위를 촉발시킨 식료품 물가 급등 이래 최고치다.
FFPI는 곡물, 유제품, 식물성 기름, 육류 등 국제 거래 가격을 종합해서 산출한다.
러시아 야로슬라블주 로스토프 네드비고프카 마을의 밀 밭. 2021.07.13 [사진=로이터 뉴스핌] |
곡물, 식물성 기름, 버터, 파스타, 소고기, 커피 등 전반적인 식탁 물가가 인상됐다는 평가다.
특히 1월 식물성 기름의 경우 가격지수가 185.9로 직전달 대비 7.4포인트(p) 상승, 지난 1990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식물성 기름 중에는 팜 오일, 콩, 포도·해바라기씨유 등이 있다. 세계 팜 오일 수출 대국인 인도네시아가 자국 내 식용유 가격이 40% 이상 치솟자 향후 6개월 동안 수출허가제로 전환한 영향이 크다. 대두유의 경우 인도 수입량이 크게 늘면서 가격이 올랐다.
유제품 가격지수는 132.1로 직전달 보다 3.1p 올랐으며, 5개월 연속 상승세다.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하면 무려 20.8p 상승한 수치다. 탈지분유와 버터 수요는 증가하는데 서유럽 농가에서 인력부족과 유통 문제로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설명이다.
NYT는 세계적인 공급망 병목현상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인력부족, 이상 기후, 유가 상승 등이 곡물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주요 농산물 생산국에서 가뭄과 우박 등 이상 기후가 작황에 악영향을 줬고, 에너지 가격 급등은 유통과 직결된다. 코로나19로 농가는 물론, 유통 인력이 부족해진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미 돈육생산자협회(NPPC)는 농가가 여러 어려움에 처해있지만 그중에도 식료품 수출 등에 쓰이는 컨테이너 비용이 1년 전보다 평균 170% 올랐다고 밝혔다.
식탁 물가 상승은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등 가계 소득의 50~60%를 식료품 구입에 쓰는 저소득 국가에 특히 타격이 크다.
미 싱크탱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모리스 옵스펠드 선임 연구원은 세계 식량 대란이 다가오고 있다는 해석은 "크게 과장된 얘기가 아니다"라며 높은 실업률과 경제 성장 둔화, 정부의 과도한 코로나19 관련 재정 지원 등이 "안 좋은 상황을 야기하는 퍼펙트 스톰"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른 "사회불안이 전방위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고 그는 덧붙였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