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 입시 준비 한계…제도적 지원 필요"
오프라인 활동 중단으로 청소년생활기록부에도 공백
학업뿐 아니라 다양한 체험 활동 보완해야
[서울=뉴스핌] 소가윤 인턴기자 = "입시설명회가 재학생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 밖 청소년들이 정보를 접할 기회가 적습니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등 교육기관과 함께 학교 밖 청소년의 진학 컨설팅을 도와온 강예은 마이유니 대표는 학교를 떠나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같이 설명했다. 사회적 약자에 속한 이들에게 제공되는 자료 등 절대적인 정보가 부족하다는 취지다.
교과과정과 진로결정에 대한 준비가 재학생 대비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강 대표는 "그동안의 학습 사항과 개인의 선호도를 세밀히 들여다보면서 입시에 도움을 주고 있다"며 "청소년들의 기호와 취미 등에 대해 면밀히 상담한 후 가장 적합한 전형을 함께 찾아가는 과정을 반복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중학교를 그만두고 검정고시를 준비 중인 이시은(16·가명) 양도 시험 준비 중 부족했던 '정보'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 양는 "검정고시를 준비할 때 정보가 부족했다"며 "각 대학이 배포한 자료도 재학·졸업생을 중심으로 작성돼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다"고 토로했다.
[서울=뉴스핌] 소가윤 인턴기자 = 마포구평생학습관 내 학교 밖 청소년 도움센터. 2022.01.20 sona1@newspim.com |
◆학교밖 시설 있지만...코로나에 활동 '주춤'
시도교육청 및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는 각각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시설을 운영 중이다.
상담과 교육, 직업체험 등을 담당하는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가 2017년 202개소에서 2020년 220개소로 늘었고 검정고시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 1:1 멘토링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멘토링 연계 청소년도 2020년 193명에서 지난해 239명으로 늘었다.
서울시교육청의 '학교 밖 도움센터'는 신림, 마포, 고덕, 영등포 등 총 5개소로 운영되며 학습을 지원한다. 다만 코로나19 확산 이후 이 같은 학교 밖 청소년의 교육·상담 청소년지원센터의 활동이 대부분 온라인으로 전환된 실정이다. 도움센터 등록한 청소년은 2019년 574명, 2020명 902명, 지난해 1195명으로 매해 증가하고 있다.
마포평생학습관 학교 밖 도움센터의 문사라 강사는 코로나19 이후 대면수업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면서 각종 프로그램이 폐지되거나 학생들의 활동이 줄어든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했다.
문 강사는 "2019년도까진 각종 어학 프로그램과 보컬트레이닝, k팝 댄스 등 대면 활동이 활발했지만 코로나 때문에 온라인 활동으로 대부분 전환된 후 시행착오를 겪는 과도기가 있었다"고 말했다.
여성가족부 산하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시설인 '꿈드림센터'도 운영 중이다. 청소년생활기록부로 올해 대학에 진학한 임대섭(21) 씨는 코로나 기간 동안 제한된 활동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임 씨는 2018년 상업고등학교에 진학했지만 진로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해 학교를 떠나 서울시 강동구와 경기도 하남시의 꿈드림센터를 각각 2년씩 다녔다.
청소년생활기록부는 꿈드림센터에서 활동한 내용을 대학 진학 시 학생 선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기록한 자료다. 학교생활기록부가 없어 수시전형에 지원하기 어려운 학교 밖 청소년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이지만 코로나로 인해 '어떤 내용을 적어야 할지 모르는' 청소년이 많았다는 취지다.
임 씨는 "진로교육을 통해 컨설팅을 받으며 센터 활동을 이어나갔지만 코로나19 기간 동안 공백기가 있다"며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의 오프라인 활동 대부분이 중단되거나 폐지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서울=뉴스핌] 소가윤 인턴기자 = 학교 밖 도움센터 내 강좌 안내. 2022.01.20 sona1@newspim.com |
◆교육뿐 아니라 다각적 지원 프로그램 필요
코로나19 여파로 대부분의 청소년지원센터는 여전히 열리지 않고 있지만 다양한 프로그램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높다.
오는 4월 검정고시를 준비 중인 한 학교 밖 청소년은 "최근 확진자 급등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아직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것 같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학교를 자퇴한 이후 공감대가 있는 친구들을 만날 것으로 기대했는데 아쉽지만 온라인으로라도 여러 프로그램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학교 밖 도움센터 측은 최근 온라인 활동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센터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청소년들끼리 줌으로 온라인 모임을 하면서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고 전했다.
청소년 전문가들은 지원의 다양성을 강조한다.
권일남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교수는 "학교는 학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사실 청소년들에게 예체능을 배우게 하거나 기술 숙련을 하게 하는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에 다니는 청소년들은 교육뿐 아니라 공공서비스와 생활 등에서 교육 예산 등으로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셈"이라고 밝혔다.
이어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정규직 일자리보다 일용직 서비스업이나 택배나 배달 등 아르바이트를 많이 한다. 코로나 사태로 학교보다 상대적으로 재정적 지원이 부족한 학교 밖 청소년 시설에 대해 인프라와 지도자 인력 등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ona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