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주식

속보

더보기

[중국증시포인트(1/20)] '돈 풀기' 가속, 철강업계 통합 추진, 신에너지차 생산판매 신기록, 메타버스 '천리마' 계획 등

기사입력 : 2022년01월20일 09:16

최종수정 : 2022년01월20일 09:50

LPR 인하 무게
철강업계 구조조정 추진
신에너지차 업황 호조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주요 증권∙경제 전문 매체들은 20일 증시와 관련해 눈여겨볼 만한 소식으로 △ 통화 완화 기조 속 대출우대금리(LPR) 인하 가능성 △ 철강업계 통합 추진 △ 신에너지차 생산·판매량 신기록 경신 △ 통신업계 메타버스 '천리마' 계획 발표 등을 꼽았다.

◆ 경기 급랭, LPR 인하 유력

[사진=바이두(百度)]

중국 경제 성장세 둔화 속 통화정책 사실상 '완화'에 방점. 인민은행, 이날 오전 기준금리격인 대출우대금리(LPR) 인하 여부 발표.

① 중국 경제 하방 압력 가시화. 지난해 전체 경제성장률은 8.1%지만, 분기별 성장률은 1~4분기 각각 18.3%, 7.9%, 4.9%, 4%로 성장폭 축소.

② '안정적 성장' 기조 속 추가 부양 조치에 이목 집중. 류궈창(劉國强) 인민은행 부행장, 18일 기자회견에서 "경기 하방 압력이 근본적으로 완화하기 전까지 안정을 위해 힘쓰고, 안정에 불리한 정책은 쓰지 않을 것"이라며 "통화정책 도구함을 더 크게 열어 신용대출이 붕괴하는 일은 없도록 할 것" 강조.

③ 이달 LPR 인하 가능성에 무게. 1년물 LPR과 5년물 LPR 각각 0.1%p씩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 제기. 인민은행, 지난달에도 LPR을 3.85%에서 3.8%로 인하.

④ 지급준비율(지준율) 추가 인하 전망도. 류 부행장, "거시정책 필요성에 따라 지준율 인하할 것" 언급. 지난해 7월·12월 두 차례에 걸쳐 0.5%p씩 인하하여 현재 지준율은 8.4% 수준.

⑤ 이달 17일에는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및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 각각 0.1%p 하향 조정. MLF금리 인하는 2020년 4월 이후 1년 9개월 만, 역레포 금리 인하는 22개월 만.

◆ 철강업계 구조조정 추진

[사진=바이두(百度)]

당국, 철강업계 구조조정 및 통합 추진 예고. 인프라용 철강재 수요 증가와 더불어 섹터에 상승 호재 될 것 분석.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보산철강(寶鋼股份·600019), 화릉철강(華菱鋼鐵·000932), 수도철강(首鋼股份·000959)

①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국자위), 19일 열린 중앙기업 경제운용 현황 관련 브리핑서 "올해 중앙기업의 구조조정 및 전문화 통합을 착실히 추진할 것" 강조. △ 혁신 주도형 발전 △ 제조강국 건설 등 국가 전략 수행에 초점 맞춰 철강 등 업계의 구조조정 및 통합을 안정적으로 추진하며, 관련 분야 새로운 중앙기업그룹 신설 모색할 것 언급.

② 업계 통합으로 경쟁구도 고도화하는 가운데, 철강재 수요 증가도 섹터 상승 견인할 것 전망. 특수목적채권 및 지방채 발행 속도 내고, 전국적으로 중대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가 집중 착공함에 따라 인프라용 철강재 수요 눈에 띄게 늘어날 것. 저점에 있는 밸류에이션 상승 기대(국태군안증권).

◆ 신에너지차 생산·판매량 최고치 경신

[사진=바이두(百度)]

중국 12월 신에너지차 생산량 및 판매량, 또 한번 최고치 경신. 섹터 조정 국면에서 저점 매수 기회 모색할 것 조언.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비야디(比亞迪·002594), 장성자동차(長城汽車·601633), 백특리자동차안전시스템(伯特利·603596)

① 중국자동차공업협회, 2021년 12월 신에너지차 생산량 및 판매량 각각 51만 8000대, 53만 1000대로 사상 최고치 또 한번 경신.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배, 1.1배 늘어난 것.

② 이달 들어 자동차 섹터 부진한 흐름 연출. 그러나 신에너지차 판매 호조 이어가며 자동차 섹터 실적 지지할 것. 섹터 하락은 매수에 기회, 테마주 주목할 만(재신증권).

◆ 메타버스산업위원회, '천리마' 계획 발표

[사진=바이두(百度)]

'메타버스산업위원회', 제2기 회원 명단 공개함과 더불어 '천리마(千里馬)' 계획 발표. 테마주에의 관심 키울 것 예상.

▶이슈 관련 주목할 종목: 만흥테크놀로지(萬興科技·300624), 금과문화산업(湯姆貓·300459), 성신달과기(盛訊達·300518), 중문재디지털출판(中文在線·300364)

① 천리마계획, 메타버스 기술 및 운영관리 인재 양성 프로젝트.

② 메타버스산업위원회, 중국이동통신연합회 산하의 중국 최초의 메타버스 관련 사회단체. 차이나모바일·차이나유니콤 등의 참여로 지난해 11월 발족. 2기 회원에는 금과문화산업 등 16개 회원(개인 4명, 상장사 등 기업 12개) 포함.

③ 메타버스산업위원회, 자본·산업·정부·플랫폼·교육 등 전방위적 차원에서의 분석 통해 메타버스산업의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모색할 것 강조. 특히 중국이동통신연합회 교육 센터와 공동으로 '메타버스 응용사' 등 전문 연수반 조직한다는 계획.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지각대장' 푸틴, 새벽에 평양 지각 도착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났다고 크렘린궁과 러시아 매체 등 외신이 전했다. 크렘린궁 측이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푸틴은 예정보다 늦은 이날 새벽 2시45분께 전용기인 일류신(IL)-96 항공기로 도착했으며, 공항 활주로에서 영접 나온 김정은과 환영 의식을 가졌다. [서울=뉴스핌]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영접 나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옹하고 있다. 두 사람은 이날 정상회담을 갖는다. [사진=크렘린궁] 2024.06.19 김정은과 푸틴은 환영 행사를 위해 의장대가 도열한 레드카펫을 걸어가면서도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푸틴의 이야기를 통역을 통해 들은 김정은이 고개를 끄덕이는 장면도 드러났다. 두 정상은 푸틴의 전용차량인 러시아산 '아우루스' 차량에 서로 먼저 탈 것을 청하며 한동안 옥신각신 했고 결국 푸틴이 먼저 탑승해 뒷좌석 오른쪽에 앉았다고 현지에서 취재한 매체들은 전했다.  푸틴은 김정은의 안내로 숙소인 금수산영빈관에 묵었다. 지난해 9월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센터에서 만난 이후 9개월 만에 재회한 김정은과 푸틴은 19일 정상회담을 하고 북러 간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에 서명하는 등의 결과를 공동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푸틴의 방북은 지난 2000년 7월 첫 평양 방문에 이어 두 번째로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북한의 대러 무기 제공 등으로 밀착관계를 보여온 북러 정상 간의 논의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yjlee@newspim.com 2024-06-19 06:03
사진
尹 지지율 35.2% 제자리걸음…'동해 석유' 발표 별무신통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상승해 3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0~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5.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62.2%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6%다. 지난 조사 대비 긍정평가는 0.1%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0.6%p 하락했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7.0%p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26.5% '잘 못함' 72.1%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2.3% '잘 못함' 64.4%였다. 40대는 '잘함' 22.5% '잘 못함' 75.3%, 50대는 '잘함' 32.3% '잘 못함' 66.5%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45.5% '잘 못함' 51.4%였고, 70대 이상에서는 '잘함'이 55.0%로 '잘 못함'(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7.0%,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2.6% '잘 못함' 66.2%, 대전·충청·세종 '잘함' 34.8% '잘 못함' 63.6%, 부산·울산·경남 '잘함' 35.7% '잘 못함' 59.9%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1.9% '잘 못함' 45.6%, 전남·광주·전북 '잘함' 21.9% '잘 못함' 75.1%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8.0% '잘 못함' 54.6%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2.4% '잘 못함' 65.7%, 여성은 '잘함' 38.0% '잘 못함' 58.8%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결과에 대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의 석유,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 국정브리핑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로 인한 9·19 군사합의 파기 등의 이슈를 거치면서 지지율 반등을 노릴 수 있었다"며 "그러나 액트지오사에 탐사 분석을 맡긴 배경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고, 육군 훈련병 영결식에 참석하는 대신 여당 워크숍에 가는 모습 등 때문에 민심이 움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앞으로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지율은 떨어지지도, 올라가지도 않을 것 같다"며 "많은 국민이 기대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아예 버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지지율이 올라가려면 획기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6-13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