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한양증권은 14일 차백신연구소에 대해 합성항원 백신 기술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오병용 한양증권 연구원은 "현재까지 출시된 mRNA(화이자, 모더나)와 바이럴벡터(AZ, 얀센) 백신에 대한 사람들의 거부감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며 "접종 시 각종 부작용을 겪는 사람이 너무 많고, 이전에 없던 신기술이기 때문에 장기 안정성이 의심되기 때문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오 연구원은 "합성항원 백신은 기존에 대상포진백신(싱그릭스), 자궁경부암백신(가다실) 등에서 오랫동안 쓰여왔고, 장기 안정성이 어느 정도 입증된 방식"이라면서 "합성항원은 일반적으로 mRNA 대비 개발 기간이 오래 걸리지만, 안전성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며 "안전한 백신을 찾는 수많은 사람들은 합성항원 백신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합성항원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주요 옵션 중 하나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울러 차백신연구소는 지난해 3월 항암백신 개발사 애스톤사이언스에 'L-pampo'를 기술이전 한 바 있으며, 현재 기술이전의 전 단계인 mta(물질이전계약)을 맺고 기술이전을 협상 중인 백신 개발사들이 20여개에 달한다"며 "따라서 합성항원 백신에 대한 글로벌 관심이 커진다면, 덩달아 차백신연구소에 대한 시장에 관심도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ssup82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