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뉴욕증시] 오미크론 불안 완화에 상승…다우 1.82%↑

기사입력 : 2021년12월03일 06:23

최종수정 : 2021년12월03일 06:23

여행주 큰 폭 반등
높은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 전망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 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2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불안이 완화한 가운데 최근 주가가 주요 지지선 밑으로 하락하면서 시장에는 공격적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됐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7.75포인트(1.82%) 오른 3만4639.79에 마감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4.06포인트(1.42%) 뛴 4577.10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27.27포인트(0.83%) 상승한 1만5381.32로 마쳤다.

시장에서는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을 주시하고 있다. 전날 미국에서 첫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발표된 이후 투자자들은 새 변이의 위험성을 가늠하느라 분주하다.

이날 미네소타주 보건당국은 2번째 오미크론 확진자가 보고됐다고 밝혔다. 해당 환자는 지난달 19~21일 미국의 심장인 뉴욕시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져 오미크론 변이의 추가 확산을 예고했다.

다만,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이 처음 우려한 것보다 심각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주식을 매수했다.

여기에 양호한 고용지표도 시장 심리를 지지했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만2000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기대치 24만 건을 밑돈 수치다.

수 주째 주간 실업수당 청구 지표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면서 내일(3일) 발표되는 노동부의 11월 고용보고서에 대한 기대도 커졌다. 로이터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제 전문가들은 11월 비농업 부문에서 55만 건의 신규 고용이 이뤄졌을 것으로 예상했다. 실업률 전망치는 4.5%로 전달보다 0.1%포인트 낮아졌을 것으로 기대됐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사진=로이터 뉴스핌] 2021.12.03 mj72284@newspim.com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의 전염성과 치명률, 새 변이에 대한 기존 백신의 저항력이 알려질 때까지 주식시장 변동성이 유지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씽크마켓의 파와드 라자크자다 애널리스트는 블룸버그통신에 "시장에서는 변동성이 지속하고 있고 이 같은 추세는 새 변이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확보될 때까지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라자크자다 애널리스트는 "여전히 (주가) 하방 위험은 제한됐다고 본다"며 "2020년에 발생한 급락 장세가 반복될 가능성은 작아 보이고, 일부가 두려워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변이가 위험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벌 수석 투자 전략가는 로이터통신에 "전문가들이 새로운 변이에 관해 연구하는 동안 불확실성은 지속할 것"이라면서도 "현재는 저가 매수 여건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여행 관련 주식들은 이날 강하게 반등했다. 델타항공(DAL)은 9.33% 급등했으며 MGM리조트(MGM), 힐튼월드와이드(HLT)는 각각 7.62%, 7.41% 상승했다.

보잉(BA)은 중국이 737맥스의 운항을 허용하면서 7.57% 올랐다.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GOOGL)의 주가는 역시 전반적인 시장 강세 속에서 1.36% 상승했다.

애플(AAPL)의 주가는 아이폰 수요가 둔화했다는 보도로 이날 0.61% 하락했다.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이러한 보도가 나온 후 애플 주식 매수를 추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1.05% 내린 27.68을 기록했다.

 

mj722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버핏, 하락장에 옥시덴털 등 주식 더 샀다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이번 주 뉴욕증시 하락 장세 속에서 그동안 꾸준히 매수해 온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지분을 추가 매수했다. 2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버크셔는 890만 주의 옥시덴털 지분을 4억500만 달러(약 5860억 원)에 매수했다. 이번 지분 인수는 지난 17일과 18일, 19일에 걸쳐 이뤄졌다. 이번 매수로 버크셔가 보유한 옥시덴털의 지분은 28%로 확대했다. 버핏 회장은 하락장에 주식을 저렴하게 산 것으로 보인다. 옥시덴털의 주가는 이번 달 들어 10% 하락해 연초 이후 24%의 낙폭을 기록 중이다. 전날 옥시덴털의 주가는 52주래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런 버핏 회장 [사진=블룸버그] 옥시덴털은 버크셔가 보유한 주식 중 6번째로 규모가 크지만, 버핏 회장은 완전한 인수설을 부인했다. 버크셔가 옥시덴털을 추가 매수한 것은 지난 6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버크셔가 보유한 옥시덴털의 가치는 120억 달러에 이르지만 투자 전문매체 배런스는 옥시덴털 투자로 버크셔가 10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기간 버크셔는 북미 최대 위성 라디오 사이러스XM 지분 500만 주를 1억1300만 달러에 샀다. 사이러스XM은 올해 60%나 급락해 현재 10여 년간 가장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최근 투자자들은 회사가 2025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주식을 공격적으로 매도했다. 도메인 등록 서비스업체 베리사인의 지분 23만4000주를 약 4500만 달러에 사들였다. 현재 버크셔는 이 회사의 지분 13%를 보유 중이다. 이로써 지난 3거래일간 버크셔가 매수한 지분은 최소 5억6000만 달러에 달한다. mj72284@newspim.com 2024-12-21 00:55
사진
달러/원 환율 1,450원 돌파...15년래 최고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19일 달러/원 환율이 1450원도 돌파하며 15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내년 기준 금리 인하 속도를 줄일 가능성을 시사한 여파다. 연준은 18일(현지 시각)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마치고 기준 금리를 4.25~4.50%로 0.25%포인트(%p)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연준은 9월과 11월에 이어 이달까지 세 번의 회의에서 연속으로 기준 금리를 내렸다. 연준은 별도로 공개한 경제 전망 요약(SEP)에서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 폭을 0.50%p로 제시했다. 이는 9월 1.00%p를 기대한 것에서 크게 축소된 수치다. 이 같은 예상대로면 연준은 내년 0.25%p씩 총 두 차례 금리를 낮추게 된다. 매파적인 연준의 내년 금리 전망에 이날 미 달러화는 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고, 달러/원 환율은 한국 시간 19일 오전 6시 50분 기준 1453원으로 1450원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09년 3월 이후 약 15년 만에 최고치다.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제롬 파월 당시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를 차기 의장으로 지명했다. [사진=블룸버그] koinwon@newspim.com 2024-12-19 06:5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