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설비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도 필요"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한국상장회사협의회는 '2050 탄소중립'이라는 국가적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산업계의 노력에 대한 정부의 세제 및 감축노력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상장협은 17일 입장문을 내고 "2050 탄소중립과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실현을 위해서는 실질적이고 즉각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설비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로고 [사진=한국상장회사협의회] |
최근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을 국가비전으로 정하고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40%로 대폭 상향키로 했다. 또 탄소중립 실현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지원을 위해 신성장·원천기술대상에 탄소중립기술을 추가하는 것으로 세제개정안을 발표한 바 있다.
상장협은 이에 대해 "정부의 정책방향과 세제지원방안이 효과적·효율적으로 실현되고 기업의 관련 투자를 더욱 더 유인하기 위해서는 2030년 이후로 상용화가 예상되고 있는 탄소중립기술에 대한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이뿐만 아니라 현 시점에서 기술개발이 완료돼 즉각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설비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장협이 제시한 온실가스 감축시설 관련 세액공제율은 중소기업 12%, 중견기업 5%, 대기업 3% 수준이다.
상장협은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수단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필수적인 산업계가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온실가스 감축시설 관련 세액공제율을 인상해 줌으로써 적극적인 투자로 이어져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2030년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원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