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종합 하락, 선전·창업판 상승
반도체·포토레지스트·메타버스株 강세 vs 석탄株 약세
외국인 자금 2일째 100억 위안 돌파
상하이·선전 거래액 1조 위안 상회
상하이종합지수 3582.60 (-12.18, -0.34%)
선전성분지수 14492.82 (+47.96, +0.33%)
창업판지수 3284.91 (+5.42, +0.17%)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22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혼조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34% 내린 3582.60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반면 선전성분지수는 0.33% 상승한 14492.82포인트로, 창업판지수는 0.17% 오른 3284.91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상하이와 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은 1조 152억 위안으로 1조 위안을 넘어섰다.
해외자금은 유입세가 우위를 점했다. 이날 북향자금(北向資金·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은 131억 82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하며 연내 처음으로 이틀 연속 100억 위안을 돌파했다. 이로써 금주(10월 18~22일) 북향자금은 누계 기준으로 233억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0월 22일 상하이종합지수 주가 추이. |
섹터 중에서는 반도체, 포토레지스트(감광액) 섹터가 두드러진 강세를 연출했다.
반도체 관련주 중 국과미전자(300672)가 20% 폭등하며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고 군정반도체(300223)가 10% 이상, 탁승미(300782)가 8% 가까이 급등 마감했다. 반도체 제작 핵심 소재인 포토레지스트 테마주 중에서는 동정신소재그룹(603650), 광신재료(廣信材料·300537) 등 다수 종목이 상한가로 장을 마쳤다.
반도체 업체들의 호실적 발표가 해당 섹터 주가 상승의 주된 배경으로 풀이된다.
국과미전자(300672)는 올 1~3분기 전년 동기 대비 398.75% 급증한 18억 7600만 위안의 매출과 무려 11918.10%나 증가한 1억 8100만 위안의 순이익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탁승미(300782)도 올 1~3분기 순이익이 112.84% 증가한 15억 2700만 위안을 기록했고, 그 중 3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0.65% 증가한 5억 1300만 위안에 달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다운스트림(반도체 응용)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포토레지스트 시장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2년 전 세계 포토레지스트 시장 규모가 105억 달러에 달해 연평균 5%의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신달증권(信達證券)은 기술 축적과 업계 호경기, 국내 웨이퍼 공장의 생산 확대 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중국의 포토레지스트 국산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업계 진입 장벽이 점차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메타버스 테마주도 눈에 띄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대표적으로 중청보(300052)가 20% 넘게 급등하며 상한가를 찍었고 보통과기(300031)가 11% 이상, 금과문화산업(300459)이 9% 이상, 순망과기(300113)가 8% 이상 급등 마감했다.
최근 페이스북이 소셜미디어 기업에서 메타버스 기업으로의 변신을 위해 사명 변경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과 가상현실(VR) 게임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국태군안(國泰君安)증권은 메타버스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하는 완전히 새로운 생태계로, 디바이스(단말기)는 가상과 현실을 이어주는 인터페이스로서의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고 블록체인은 메타버스 경제 시스템의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메타버스는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로 5G 네트워크,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공지능 등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3차원 가상공간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당국의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동산 섹터가 전날에 이어 강세를 지속했고, 가전 등 섹터도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석탄, 석유, 가스, 전력 등 섹터는 두드러진 약세를 연출했다.
석탄 섹터 종목 가운데 원흥에너지(000683)가 9% 이상, 기중에너지(000937)가 8% 이상, 대동석탄(601001)이 7% 이상, 산서코킹(600740)이 6% 이상 급락 마감했다.
전날 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가 위챗 공식계정을 통해 석탄 가격에 대한 감독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것이 악재로 작용했다. 지난 19일, 20일에 이어 21일까지 발개위는 세 차례 연속 석탄 가격 개입 의지를 내비쳤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