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문화교류는 수천년 역사성 자랑
사드도 코로나19도 영구 걸림돌 못 돼
2022년 수교 30주년의 해 교류 봇물 전망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김치나 한복 갈등은 양국의 네티즌들과 일부 민간 부문 견해 차이에 따른 해묵은 곁가지 논쟁입니다. 한중 양국 정부가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정치 문제화하는 사안이 아닙니다. 한중은 수천년 문화교류의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지엽적인 문제로 갈등을 골을 깊게 하는 것보다는 전향적인 차원에서 양국이 보다 긴밀히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게 중요합니다".
8월 11일 베이징 근교의 대규모 신흥 예술가 커뮤니티인 쑹좡 예술구에서 만난 주잉제(朱英杰 ) 중국 노년 서화연구회 미술관 관장 겸 전 주한 중국문화원장은 사드로 양국간 문화교류가 위축된 데 대해 아쉬움을 표시하면서 구동존이(求同存異, 다른 점을 인정하며 공동이익을 추구함)에 입각해 양국이 문화 교류 협력의 저변을 넓힐 수 있는 길을 찾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는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지 29년이 되는 해입니다. 한중 양국 정부는 사드로 냉각된 한중 문화교류의 명맥을 잇자는 취재하에 문화교류의 해를 선포했습니다. 이전보다 사드 영향은 직접적이지 않고, 지금은 비록 코로나19가 장애물이 되고 있지만 코로나가 물러가면 한중간 문화 산업및 예술 방면의 교류는 지금 보다 훨씬 활성화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주잉제 전 원장은 본래 2020년 서울에서 한중 청년 예술작품 전시회 개최 등 문화 예술 방면의 여러가지 교류 행사를 계획했었다며 2020년 한중 교류가 이전보다 훨씬 활발해질 수 있는 한해였으나 갑작스런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오프라인 문화 교류가 후퇴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주잉제 전 주한 중국 문화원장이 8월 11일 베이징 외곽 쑹좡 예술구에서 한국 뉴스핌 통신사 특파원과 만나 수교 20주년에 즈음한 한중 문화교류의 현주소및 향후 전망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2021.08.17 chk@newspim.com |
주 전원장은 2022년은 한중 수교 30주년의 해이고 베이징 장자커우 동계 올림픽의 해이기도 하다며 한중 양국 정부및 민간 차원의 다양한 문화 교류행사가 계획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도 코로나 상황이 호전되면 내년 중국의 문화예술단을 이끌고 서울에 가서 서예 화전을 비롯한 전시회를 열 계획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국과 중국 양국은 한중 수교 2년 뒤인 1994년 문화 협정을 맺었어요. 당시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장쩌민(江澤民) 총서기겸 국가주석과 한국 김영삼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양국 문화부 장관이 협정문에 서명했어요. 중국측에서는 문화교류의 많은 실무적인 작업을 문화부 아세아 처장이었던 내가 맡았었지요".
주 전 원장은 한중 문화교류의 베테랑이고 산증인이다. 주 전 원장은 당시 협정문에 서명하던 순간을 제스처를 섞어가며 생생하게 증언했다. 그는 한중 양국은 수천년 문화교류의 역사를 가진 관계인데 현대에 들어 반세기 동안 교류가 단절 됐다며 1992년 한중 수교와 함께 재차 한중 문화 교류의 가교를 잇는데 자신이 여러가지 역할을 했다며 자부심을 내보였다.
2001년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한 중국 주룽지 총리를 만나 양국간 문화원 수립을 논의했다. 이 회담 이후 3년 뒤인 2004년 주한 중국 문화원이 서울에 정식으로 설립됐고 주 전 문화원장은 초대 문화원장직을 맡았으며 5년만인 2008년 중국으로 귀국했다. 주 전 원장은 당시 중국에 있어 한국은 문화 예술 교류 분야에서 매우 매력있는 국가였다고 회고했다.
쑹좡은 베이징 시내쪽인 차오양구 '798 예술구'및 다산즈와 달리 베이징 동쪽 외곽에 위치한 신흥 예술구로 현대 미술 화가와 서예가 등을 중심으로 현재 약 1만 여명의 예술가들이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 주 전 원장은 이들이 중국 현대 미술의 명맥을 잇고 예술 영역을 발전시키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주의 공산당 체제의 예술 활동이 자유 민주 서방체제와 어떤 차이가 있느냐는 질문에 주 전 원장은 중국의 예술가들은 자유로운 예술 창작활동에 전혀 제약이 없다며 서방세계 일각에서 중국을 바라보는 관점이 매우 편협하며 심하게 왜곡돼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현대 미술이 유럽 등지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것이 중국 창작활동의 자유를 여실히 보여준다고 그는 덧붙였다.
주 전 원장은 고향이 중국 동북지역인 헤이룽장 성이며 한반도와의 인연은 1981년 북한 유학을 하면서 시작됐다. 그는1986년 까지 북한 평양 무용 음악대학을 다니며 호른을 공부했다. 1986년 귀국해 문화부에서 첫 직장생활을 시작했고 한반도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받아 수교이후 아시아처에서 당시 불모지였던 한중 문화 교류 프로젝트를 담당하게 됐다.
주 전원장은 자타가 공인하는 '한국통' 답게 여전히 유창하게 한국말을 구사한다. 인터뷰를 하는 도중 잘 설명이 안되거나 답답하면 적절한 한국말 표현을 찾아 설명할 정도로 한국어에 막힘이 없다. 한국에 호형호재하는 숱한 지인들을 두고 있으며 요즘도 휴대폰과 위챗(웨이신)으로 수시로 연락을 하며 지낸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