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상반기 르·쌍·쉐 죽쑨 사이…벤츠·BMW·테슬라 질주

기사입력 : 2021년07월20일 13:27

최종수정 : 2021년07월21일 09:11

내수 현대차·기아·벤츠·BMW '4강 체제'
벤츠, 현대차·기아에 이어 3위 자리 굳혀
"부동산 폭등에 매수 포기하고 수입차 구입"
전기차 활성화에 내년 車시장 재편 전망도

[서울=뉴스핌] 김기락 기자 = 올 상반기 국내 외국계 완성차 3사의 판매가 부진한 사이 메르세데스-벤츠 등 주요 수입차 업체가 판매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계 완성차 3사의 파업 및 신차 부재 등으로 인해 판매량이 뒷걸음질 친 반면, 수입차 업체는 성장세를 가속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 추세라면 국내 자동차 시장은 현대차와 기아, 벤츠, BMW의 4강 체제로 굳어지면서 국산차와 수입차의 경계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계 완성차 3사가 존재감을 잃어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선 아파트 등 부동산 값 폭등에 따라 '집은 못 사더라도 사고 싶은 수입차를 산다'는 보상소비 심리가 자동차 업계로 확산한 것으로도 본다. 

[서울=뉴스핌] 김기락 기자 = 2021.07.20 peoplekim@newspim.com

 ◆ 벤츠·BMW가 수입차 성장 주도.."르쌍쉐 존재감 잃어"

20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상반기 내수 시장에서 한국지엠(GM)을 비롯한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등 외국계 완성차 3사 판매량이 일제히 감소했다.

한국지엠 쉐보레는 3만3160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19.3% 줄었고, 르노삼성차는 2만8840대로 47.8% 감소했다. 쌍용차도 2만6625대에 그쳐 34.8%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현대차는 38만4613대로 0.4% 올랐고, 기아도 27만8384대 판매해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외국계 완성차 3사의 판매량이 감소하는 동안 현대차와 기아의 내수 점유율은 덩달아 오르게 됐다.

주목할 점은 주요 수입차다. 한국수입차협회(KAIDA)에 따르면 상반기 수입차 신규등록대수는 14만7757대로, 전년 동기 대비 15.2%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벤츠는 16% 증가한 4만2170대, BMW는 42.6% 늘어난 3만6261대를 판매했다. 이어 아우디 1만798대, 폭스바겐 8752대, 볼보 7629대 등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 브랜드는 모두 지난해 보다 판매량이 늘며 수입차 시장을 주도했다.

벤츠는 대표 차종인 E클래스를 비롯해 GLB, GLC, GLE 등 고른 판매를 보였고, 대당 판매가가 2억이 넘는 S580 4매틱이 최근 3개월간 2000대 가까이 판매됐다. BMW도 5 시리즈와 X 시리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종 등 다양한 친환경차로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혀나가고 있다.

그런가 하면,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집계 결과 테슬라는 상반기 국내에서 모델3 등을 1만1629대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64.3% 증가했다. 현대차 아이오닉5 출시에도 판매 성장세가 이어진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차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든, 프랑스 르노든 본사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경쟁력이 없다"며 "수입차에도 (판매량이) 밀려 완성차 회사로서 존재감을 잃어가고 있다"며 안타까워 했다.

[고양=뉴스핌] 김학선 기자 =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19 서울모터쇼. [뉴스핌=DB]

 ◆ 내년부터 수입 전기차 줄출시...시장 재편 전망

자동차 업계는 외국계 완성차 3사 부진이 이어질 경우 현대차·기아의 점유율 상승을 넘어, 주요 수입차 업체의 점유율 증가 현상도 더욱 도드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단적으로 국내 자동차 시장 판매 순위로만 보면 메르세데스-벤츠는 현대차와 기아에 이어 3위를 기록할 만큼 판매량이 압도적이다. 4위 BMW, 5위 한국지엠으로, 수입차 판매량이 완성차 만큼 많다는 얘기다.

한국지엠은 올초부터 반도체 수급난으로 생산 차질을 겪었고, 르노삼성차는 노사 갈등으로 인한 부분 파업, 부산공장 가동 중단이 반복됐다. 쌍용차는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이어서 내수 판매 회복이 어려워 보인다. 이들 세 업체는 상반기에 이렇다 할만 신차도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전통적으로 현대차·기아·벤츠·BMW가 자동차 시장을 주도해왔는데 외국계 완성차 3사 부진으로 인해 오히려 벤츠·BMW 등 주요 수입차의 성장세가 가속되는 형국"이라며 "현대차와 기아의 자동차 구매를 고려하지 않은 소비자들이 '르쌍쉐' 대신 수입차로 발길을 돌리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내년부터 수입차 업체가 국내 전기차 출시를 앞둔 만큼, 전기차 출시에 따른 자동차 시장 변화도 감지된다. 수입 전기차 역시 벤츠, BMW, 아우디, 폭스바겐 등이 신차 출시를 준비 중이다. 폭스바겐코리아는 독일에서 생산한 전기차 ID.4를 수입할 계획이다. 스웨덴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도 연내 전기차를 국내 선보이기로 했다.

김 교수는 "국내 소비자들이 현대차·기아 외에 벤츠, BMW 등 수입차 구매에 나선 것은 아파트 값 폭등 등 부동산을 사실상 매수하기 희박한 현실에 대한 일종의 보상소비 심리도 깔려 있다"며 "이 같은 현상은 더욱 두드러질 것이며 내년부터 가격 대비 성능이 높은 수입 전기차 중심의 시장으로 새롭게 재편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peopleki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