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7/5 중국증시종합] 3대 지수 상승 마감, 리튬 배터리·희토류 등 강세

기사입력 : 2021년07월05일 17:01

최종수정 : 2021년07월05일 17:01

수급 불균형 속 리튬·희토류 등 가격 상승 전망이 호재
과학기술주 저점 매수 기회 포착 조언 여전

상하이종합지수 3534.32(+15.56, +0.44%)
선전성분지수 14718.66(+47.95, +0.33%)
창업판지수 3352.12(+18.22, +0.55%)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7월 5일 약보합으로 출발한 A주 3대 지수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 창업판지수는 오전 장 개장 직후 상승 전환에 성공한 뒤 오후 장 한때 다시 약보합권에 진입했으나 이후 소폭 반등하며 전 거래일 대비 각각 0.44%, 0.33%, 0.55% 오른 3432.32포인트, 14718.66포인트, 3352.12포인트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거래에서는 리튬 섹터가 강세를 주도했다. 광동과달전기(科達製造·600499), 티베트개발투자(西藏城投·600773), 서장주봉공업(西藏珠峰·600338), 천제리튬(天齊鋰業·002466) 등 염호 리튬 제련 테마주 다수가 상승했고, 구오과기(久吾高科·300631), 강봉리튬(贛鋒鋰業·002460) 등 리튬 배터리 섹터 20여 개 종목이 상한가를 달성했다.

3분기 리튬 배터리 성수기가 도래한 데 더해 리튬 이온 배터리 주요 원료 중 하나인 코발트 가격이 수입량 감소 등으로 6월 중순 이후 상승세를 보이면서 리튬 배터리 수급 불균형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섹터에 호재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풀이된다.

희토류 영구자석 섹터도 오름세를 띠었다. 북방희토(北方稀土·600111)는 10% 이상 급등했고, 북광과기(北礦科技·600980), 정해자재(正海磁材·600224), 성화자원(盛和資源·600392), 오광희토류(五礦稀土·000831) 등도 큰 폭 올랐다. 희토류 업계 역시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수익 개선 기대를 받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이달 1일 희토류 원소 중 하나인 프라세오디뮴 가격은 t당 5000위안 오른 t당 58만7500위안, 산화네오디뮴은 t당 7500위안 올라 t당 47만 6500위안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오디뮴 가격은 t당 58만 2500위안, 산화프라세오디뮴은 t당 56만위안으로 각각 7500위안 1만 위안씩 올랐다. 국원증권(國元證券)은 중국 국내 희토류 업계가 수급 불균형을 빚고 있다며, 일부 제품 가격이 단기적으로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점친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도 공급측 생산력은 제한적인 반면 수요는 급증하면서 희토류 섹터 상당 기간 '호경기'를 누릴 것이며, 수급 불균형 문제가 향후 3년 가량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원흥에너지(遠興能源·000683), 신화석탄발전(神火股份·000933), 란화과기창업(蘭花科創·600123), 정주석탄전력(鄭州煤電·600121) 등 석탄 테마주도 상승세에 동반했다.

반면, 중국 당국의 지원 정책 출범에 힘입어 지난주(6월 28일~7월 2일) 증시 상승을 견인했던 중의약 섹터는 이날 거래 내내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식품제조와 코로나19 진단 관련 테마주들도 약세를 연출했다.

한편, 광저우만융(廣州萬隆)증권은 시장 분위기가 점차 되살아나고 지수가 안정을 되찾고 있는 신호들이 감지되고 있다며, 부분적으로는 '어닝이펙트'가 뜨겁다고 진단했다. 신에너지차와 반도체 양대 테마를 중심으로 자본이 몰리면서 해당 섹터에서 개별 종목별로 불마켓이 연출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광저우만융은 그러면서 과학기술주의 상승장 흐름에 변함이 없는 가운데, 대형 지수가 크게 물러나지 않는 이상 지수보다 개별 종목을 중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과학기술주가 반락했을 때 우량주를 저점 매수할 기회를 적극 탐색할 것을 조언했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7월 5일 상하이종합지수 주가 추이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 지지율 2.3%p↓, 38.1%…"與 총선참패 '용산 책임론' 영향"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소폭 하락해 30%대 후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8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8.1%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59.3%로 나타났다. '잘 모름'에 답한 비율은 2.5%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격차는 21.2%포인트(p)다. 긍정평가는 지난 조사 대비 2.3%p 하락했고, 부정평가는 1.6%p 상승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긍·부정 평가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만 18세~29세에서 '잘함'은 36.0% '잘 못함' 61.0%였고, 30대에서는 '잘함' 30.0% '잘 못함' 65.5%였다. 40대는 '잘함' 23.9% '잘 못함' 74.2%, 50대는 '잘함' 38.1% '잘 못함' 59.8%로 집계됐다. 60대는 '잘함' 51.6% '잘 못함' 45.9%였고, 70대 이상에서는 60대와 같이 '잘함'이 50.4%로 '잘 못함'(48.2%)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 '잘함' 38.5%, '잘 못함'은 60.1%로 집계됐다. 경기·인천 '잘함' 31.4% '잘 못함' 65.2%, 대전·충청·세종 '잘함' 32.7% '잘 못함' 63.4%, 부산·울산·경남 '잘함' 47.1% '잘 못함' 50.6%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은 '잘함' 58.5% '잘 못함' 38.0%, 전남·광주·전북 '잘함' 31.8% '잘 못함' 68.2%로 나타났다. 강원·제주는 '잘함' 37.1% '잘 못함' 60.5%로 집계됐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남성은 '잘함' 34.7% '잘 못함' 63.4%, 여성은 '잘함' 41.6% '잘 못함' 55.3%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 배경에 대해 "108석에 그친 국민의힘의 총선 참패가 '윤 대통령의 일방적·독선적인 국정 운영 스타일로 일관한 탓이 크다'라는 '용산 책임론'이 대두되며 지지율이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선거 결과에 대해 실망한 여론이 반영됐을 것"이라며 "최근 국무회의 발언 등을 국민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도 아니고 경제 상황도 나아지고 있지 않아 추후 지지율은 더 낮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3.9%,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parksj@newspim.com 2024-04-18 06:00
사진
이재명, 범진보 대권주자 적합도 '압도적 1위' 질주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을 이끈 이재명 대표가 범진보 진영 차기 대권주자 적합도에서 압도적 1위를 질주했다. 여의도에 입성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위, 김동연 경기지사가 3위, 김부겸 전 총리가 4위로 뒤를 이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범진보 진영 인물 중 차기 대권주자로 누가 가장 적합한지 물어본 결과 이 대표 35.4%, 조 대표 9.1%, 김 지사 8.5%, 김 전 총리 6.5%로 나타났다. 뒤이어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8%,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1.6%로 집계됐다. 기타 인물은 16.7%, 적합 후보 없음 15.1%, 잘 모르겠음 5.2%였다. 이 대표는 전체 연령대에서 1위를 차지했다. 다만 60대 이상에선 다소 차이가 좁혀졌다. 만18세~29세에서 이 대표 35.4%, 조 대표 12.1%, 김 지사 10.1%, 김 전 총리 5.8%였다. 30대에선 이 대표 38.7%, 김 지사 6.5%, 김 전 총리 6.2%, 조 대표 5%순이었다. 40대의 경우 이 대표 50.6%, 조 대표 12.6%, 김 지사 5.9%, 김 전 총리 5.1%로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50대에선 이 대표 41.1%, 조 대표 10.2%, 김 지사 8%, 김 전 총리 5.6%였다. 60대에선 이 대표 23.9%, 김 지사 10.4%, 조 대표 7.8%, 김 전 총리 6.4%순이었다. 70대 이상의 경우 이 대표 19.5%, 김 지사 10.8%, 김 전 총리 10.5%, 조 대표 6%로 나타났다. 이 대표는 전체 지역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수도권 및 호남에서 격차를 벌렸고 영남에선 차이가 다소 좁아졌다. 서울에서 이 대표 32.9%, 조 대표 9.2%, 김 지사 8.2%, 김 전 총리 4.4%였다. 경기·인천에선 이 대표 43.8%, 김 지사 9.9%, 조 대표 7%, 김 전 총리 4.8%순이었다. 광주·전남·전북의 경우 이 대표 42.9%, 조 대표 9.2%, 김 전 총리 11.5%, 김 지사 6.8%였다. 대구·경북에선 이 대표 21%, 김 전 총리 11.6%, 조 대표 10.3%, 김 지사 8.8%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은 이 대표 27.1%, 조 대표 9.9%, 김 전 총리 7.2%, 김 지사 5.6%였다. 대전·충청·세종에선 이 대표 32.3%, 조 대표 13.5%, 김 지사 10.9%, 김 전 총리 4.4%였다. 강원·제주에선 이 대표 36.2%, 조 대표 8.4%, 김 지사 7.8%, 김 전 총리 7.3%로 집계됐다. 지지 정당별로 살펴보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이 대표 74.6%, 조 대표 5.7%, 김 지사 4.5%, 김 전 총리 1.7%로 이 대표가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김 지사 12.4%, 김 전 총리 9.5%, 이 대표 8.5%, 조 대표 3.4% 순이었다.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경우 이 대표 45.9%, 조 대표 38.5%, 김 지사 4.7%, 김 전 총리 2.2%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 대표는 '과반 의석 달성'과 함께 원내 1당을 지키며 대권주자 위상이 더욱 강화했다"며 "조 대표는 비례대표 12석을 얻으며 단숨에 경쟁력 있는 차기 대선후보 반열에 올랐다"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별·연령대별·지역별 인구비례할당 후 무작위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자동응답조사(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3.9%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지역별 셀가중값을 부여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여론조사결과 등록현황을 참고하면 된다. hong90@newspim.com 2024-04-18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