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까지 14기 저궤도 위성 발사
원천기술 확보 및 부품 국산화 목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오는 2025년까지 6세대(6G) 통신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국제표준을 확보하기 위해 2200억원이 투입된다. 2031년까지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도 조속히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오전 9시 민·관 합동 '6G 전략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6G R&D 실행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전략회의는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다가올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임혜숙 과기부 장관은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디지털 혁신의 근간인 만큼 네트워크 분야에서 우리가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6G 시대에도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민간과 정부가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며 "6G 준비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협업을 추진할 뿐더러 향후 관계부처, 대‧중소기업과도 긴밀히 협력해 디지털 강국의 위상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6G 시대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초공간 위성통신 개념도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06.23 biggerthanseoul@newspim.com |
이번 실행계획을 통해 정부는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민간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저궤도 통신위성, 초성능·초대역·초공간·초정밀·초지능·초신뢰 등 6대 네트워크 분야 10대 전략 기술에 오는 2025년까지 총 2200억원을 투자한다. 올해에는 179억원(12개 과제)을 투입한다.
6G 시대에는 이동 중인 비행체(플라잉카, 드론 등)와 해상·재난지역 등에서도 Gbps급 통신 이용이 가능하도록 위성망‧지상망의 통합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위성‧지상 간 통합 접속기술을 개발 하고 2031년까지 총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을 조속히 추진한다.
6G 국제 표준 일정에 따라 2025년 검증용 5G 위성 1기, 2027년 실증용 5G 위성 3기, 2029년 실증용 사전 6G 위성 3기, 2031년 실증용 6G 위성 7기 등을 순차적으로 궤도에 올린다.
올해는 6G 기술개발의 첫 해인만큼 각 6G 핵심분야별 기술요구 사항을 정립하고 요소 기술을 설계하는 등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틀을 닦고 핵심 장비 및 부품 국산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해외 주요국들과 공조체계 마련을 위해 국가 주도의 6G 선제 연구 중인 미국(NSF), 중국(CAICT), 핀란드(오울루대) 등과 6G 핵심기술에 대한 공동연구 및 6G 주파수의 국제협력도 추진한다. 미국 넥스트 지 얼라이언스(Next G Alliance)등의 글로벌 6G 민간단체와 국내 5G포럼 간의 공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한다. 6G 리더십 확보를 위해 오는 11월에는 '6G Global' 행사도 연다.
6G 국제표준화를 마련하기 위해 국내에서 국제전기통신연합(ITU) 6G 비전그룹 작업 의장 및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기구(3GPP) RAN1(물리계층) 의장에 진출한 성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향후 국제표준 선도를 위해 표준화의 밑그림 격인 6G 비전 정립단계부터 우리나라가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한다.
특허청과 협력해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6G 핵심기술(2건)에 대해서는 올해부터 연구·개발(R&D) 자금과 특허 확보 전략맵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내년에는 패키지 지원을 위한 기술 분야도 추가로 선정해 사전에 전략맵을 구축한다.
또 튼튼한 연구·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올해 3개 대학 내 6G 연구센터를 지정·운영하면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하고 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국내 대학·연구소가 공동으로 R&D에 참여하는 형태를 확대해 실무인력의 6G 역량 강화도 촉진한다.
과기부 관계자는 "6G 기술개발과 관련, 글로벌 동향을 국내 산업계와 공유하고 국내 기술 수준을 해외에 알리기 위해 보고서를 발간하고 영문 홈페이지를 개설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