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금일 중국증시 포인트(12.31)] 창업판 사상 최고치, CATL 신고가, BYD 반도체 상장

기사입력 : 2020년12월31일 11:15

최종수정 : 2020년12월31일 11:31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31일 오전 11시1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2020년 마지막 거래일인 31일 중국 3대 지수가 모두 상승 출발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대비 0.15% 올랐고, 어제 최고가를 경신한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도 각각 0.17%, 0.37% 오르며 장을 시작했다. 섹터 중에서는 레저 서비스, 전기설비, 건축자재 등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부동산과 통신 등 업종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주요 증권∙경제전문 매체들은 금일 증시와 관련해 눈여겨 볼 만한 소식으로 △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 사상 최고치 △ 닝더스다이(寧德時代·CATL 300750) 등 창업판 시가총액 4위권 종목 신고가 경신 △ 비야디(比亞迪·BYD 002594)의 반도체 자회사 상장 소식에 주목했다.

◆ 창업판 대장주 CATL 사상 최고, '450위안 간다'

2021년 새해를 이틀 앞둔 30일 중국 증시가 다시 강세를 보이며 내년 불마켓(Bull Market·강세장) 재현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중국 3대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한 가운데, 상하이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가 모두 지난 2015년 이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강세장 기대감에 불을 지폈다.

특히, 올 한 해 지수가 61.31%나 급등하며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인 창업판에 이목이 쏠린다. 창업판 시가총액 규모 상위 4위권 기업인 닝더스다이, 진룽위(金龍魚 300999), 매서의료(邁瑞醫療 300760), 애이안과(愛爾眼科 300015)가 일제히 신고가를 기록하며 창업판 최고치 경신에 힘을 보탰다.

그 중에서도 LG화학과 글로벌 배터리 1,2위를 다투는 닝더스다이의 신고가 경신 소식이 주목된다. 30일 닝더스다이 주가는 10.39% 급등한 340위안으로 신고가를 새로 썼다. 시가총액 7920억 위안(약 132조 원)을 기록하며 중국 대형 국유석유기업인 페트로차이나(中國石油 601857)를 누르고 A주(중국 본토증시 상장 주식)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에 드는 기염을 토했다.

닝더스다이가 쓰촨(四川)성 이빈(宜賓)시 전기차 배터리 생산기지 확장, 리튬이온 배터리 푸젠(福建)성 푸딩(福鼎)시 생산기지 건설과 장쑤(江蘇) 생산기지 확장에 최대 390억 위안(약 6조 5000억 원)을 투자한다는 소식이 주가 상승 배경으로 작용했다.

중국 증권사들은 닝더스다이의 추가상승 가능성을 높게 예상하고 있다.

[사진=바이두]

중국국제금융공사(中金公司∙CICC, 중금공사)는 닝더스다이가 390억 위안을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능력 확대에 투자하면서 앞으로 2~4년 약 120~150기가와트시(GWh)의 생산능력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전기차 배터리 업계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점을 감안, 목표주가를 450위안으로 상향조정했다.

화타이(華泰)증권은 올 11월 전기차에 탑재된 닝더스다이의 배터리 사용량이 전월 대비 66.24% 증가했다면서 전기차 배터리 공급업체가 다원화되는 추세지만, 닝더스다이가 이미 광범위하게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어 시장에서의 선두 지위는 여전히 굳건할 것으로 보았다.

다만 배터리 공급업체 다원화 속에서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LG화학의 배터리 사용량이 전월 대비 698%나 급증하는 등 경쟁업체의 추격이 무섭다면서, 이러한 이유로 닝더스다이가 생산능력 확대에 나선 것으로 분석했다.

둥우(東吳)증권도 장기적으로 볼 때 닝더스다이가 중국 내 시장점유율 45% 이상, 해외 시장점유율 20% 이상을 확보할 것이라며, 앞으로 5년 50%를 웃도는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중국 증권전문 매체 증권시보(證券時報)에 따르면, 현재 중국 전기승용차 시장에서 닝더스다이, 비야디(比亞迪·BYD 002594), LG화학이 각각 42.2%, 15.6%, 13.3%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 中 사모펀드 "내년 1월 A주 더 오른다"

선전지수와 창업판지수 최고치 경신에 불마켓 기대감 높아진 가운데, 중국 사모펀드사들이 내년 증시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포인트다.

중국 사모펀드 정보제공·판매 온라인 플랫폼인 사모파이파이왕(私募排排網)의 설문조사에서 80%의 사모펀드사가 내년 1월 A주가 오를 것이라고 보면서 새해 첫 중국 증시의 시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중 71.43%가 내년 1분기 증시를 밝게 전망했다. 중국에서는 매년 위안단(元旦·중국의 양력설)과 춘제(春節·중국의 음력설)가 낀 1~3월이면 증시가 상승장을 연출할 가능성이 큰데, 이 같은 현상이 내년에도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근 계속해서 조정을 받고 있는 경기순환주와 눈에 띄는 상승세로 주목받는 친환경에너지, 반도체 등이 내년 1분기 상승세를 견인할 것으로 보았다.

◆ 비야디 산하 반도체 자회사 분할상장, 31일 개장 주가 2% 안팎 오름세 

한편, 중국 대표 전기차 기업 비야디가 산하의 반도체 자회사를 상장한다는 소식이 전해져 오늘 주가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비야디]

30일 밤(현지시간) 비야디는 이사회에서 산하의 반도체 자회사를 분할상장하고 이와 관련한 사전 준비 작업을 승인했다는 공지문을 발표했다. 분할상장(스핀오프)이란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각화된 기업이 한 사업을 독립적인 주체로 만드는 회사분할을 뜻한다.

비야디는 이번 분할상장을 통해 국내 자본시장을 충분히 활용하여 전기차, 스마트카 발전과 함께 성장할 반도체 시장에서 기회를 잡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30일 전 거래일 대비 4.14% 오른 186위안으로 상승 마감한 비야디 주가는 31일 개장과 동시에 2% 안팎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김계환 오늘 영장심사...위증 혐의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채해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이 오는 22일 중앙지법에서 구속 심사를 받는다.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8일 모해위증 등 혐의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8일 모해위증 등 혐의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남세진 영장 전담 부장판사가 22일 오전 10시 30분 김 전 사령관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한다. [사진=뉴스핌 DB] 남세진 영장 전담 부장판사가 22일 오전 10시 30분 김 전 사령관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한다. 이번 구속영장 청구는 지난 2일 순직해병특검 출범 이후 첫 신병확보 시도다.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8월 채상병 순직 사건 당시 초동 조사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윗선의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 전 사령관은 지난해 2월 군사법원에서 열린 박 대령의 항명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른바 'VIP 격노설'을 박 대령에게 전달한 적 없다고 주장하며, "나 아니면 안 된다는 착각과 영웅심리로 해병대의 역사와 전통을 흔들어선 안 된다"고 박 대령을 비판했다. 앞서 특검팀은 이날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구속영장 청구 사실을 알리며 "김계환은 채상병 사망 사건 당시 해병대 사령관으로, 해병대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에게 수사기록 이첩 관련 지시를 한 상관"이라며 "특검은 피의자가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범죄가 중대하며, 증거인멸의 가능성이 크므로 구속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gdy10@newspim.com 2025-07-18 20:56
사진
'갑질 의혹' 강선우 살린 까닭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하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살리기로 했다.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도덕성 논란이 심각한 상황에서 낙마자 없이 넘어갈 수는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징적인 낙마자로 이 후보자를 선택한 것이다. 야당이 강력히 요구한 두 명 중 한 명을 낙마시킴으로써 야당의 체면을 세워주는 모양새를 취하는 동시에 독주한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피하려 한 것이다.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이 후보자 낙마가 측근인 강 후보자에 비해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했다. 강 후보자가 낙마할 경우 현역 의원 낙마 1호라는 불명예를 안게 돼 의원직을 수행하기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었다. 이 후보자 낙마로 강 후보자를 구제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6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마련된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2025.06.26 gdlee@newspim.com 이 대통령과 여권 핵심은 지난주 이미 한 명 낙마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우상호 정무수석이 "일부 후보자의 경우 청문회 이후에도 논란이 계속돼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낙마를 사실상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특히 주말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의견을 구한 것은 최소한 한 명의 낙마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야당 대표까지 만나고 모든 후보자를 밀어붙일 경우 독주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한 낙마자 제로는 이 대통령의 결단을 부각하기 위한 전술이었다. '낙마자는 없다'는 여당의 강경론에도 이 대통령이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야당과 민심을 수용하는 모양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진 사퇴가 아니라 지명 철회라는 강수는 야당의 요구를 수용하는 모양을 취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7.16 mironj19@newspim.com 관심은 낙마자가 한 명이냐, 아니면 두 명이냐였다. 두 후보자 모두 낙마 1순위였다. 한 명을 살리기 어려울 정도로 막상막하였다. 논문 표절과 자녀 불법 조기 유학 의혹이 불거진 데다 전문성도 결여돼 있다는 지적을 받은 이 후보자의 낙마는 사실상 결정된 상태였다. 여기에 강 후보자까지 포함시킬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파상 공세를 취하는 야당이 문제가 아니었다. 두 후보자에 대해 진보색이 강한 시민 단체마저 낙마를 요구했다. 여론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곤혹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었다. 자칫 지지 세력이 등을 돌릴 수 있어서다. 이런 상황에서 이 후보자 낙마와 강 후보자 구제는 여당 기류에서 그대로 나타났다. 대통령실 주변에서 "이 후보자는 외부에서 추천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 것은 낙마자가 나올 경우 1순위는 이 후보자가 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다. 낙마하더라도 부담이 덜할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당 분위기는 더 노골적이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입단속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특별한 지침이 없었다고 한다. 이를 반영하듯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난주 중반까지 여론이 싸늘했지만 그 이후 당 주변에서는 더 이상 얘기가 나오지 않았다.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달랐다. 김상욱 의원에 이어 강득구 의원이 공개적으로 이 후보자를 비판하며 거취를 거론했다. 강 의원은 "연구 윤리 위반, 반민주적 행정 이력, 전문성 부족 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 결격 사유"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 낙마로 분위기를 몰아가는 듯했다.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 문제가 컸지만 이재명 정부가 전면에 내세운 유능함도 보여주지 못한 게 결정적이었다. 여권이 갑질 논란이 심했던 강 후보자를 감싼 논리가 유능함이었다. 청문회 과정에서 유보 통합 등 교육 정책과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조차 숙지하지 못해 전문성에 심각한 의구심이 제기됐다. 여당 의원들조차 "어떻게 그런 것도 대답을 하지 못하느냐"는 비판이 나올 정도였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인사청문회를 거쳤지만 임명이 안 된 11명의 장관 후보자 중 지명 철회는 이 후보자 한 명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 강 후보자는 임명 절차를 밟을 것임을 시사했다. 강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명을 강행하려면 절차상 국회에 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해야 하는 만큼 이 대통령은 이른 시일 내에 관련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를 임명한다고 해도 부담은 남는다. 강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한 상당수 민주당 보좌진들과 정서적으로 등을 지게 될 수밖에 없다. 강 후보자 사퇴를 요구한 시민단체의 입장도 부담이다. 야당은 여론을 돌리기 위한 파상 공세에 나서고 있다. 강 후보자도 갑질 장관이라는 낙인이 찍힌 상태에서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향후 여론 추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leejc@newspim.com 2025-07-21 06:4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