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감시장비와 달리 이동형…감시 사각지대 문제 해소 기대
2022년 시험평가 및 연구개발 완료 계획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군이 GOP(일반전초)나 해안 등 경계가 필요한 지역에서 적의 접근 사실을 알려주는 무인 자동감시장비 '무인지상감시센서' 시제 제작에 착수했다. 그간 꾸준히 제기돼 온 군의 경계실패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히든카드가 될 지 주목된다.
방위사업청은 17일 "경계가 필요한 지역에 다양한 센서를 조합해 배치하고 적이 접근할 경우 자동으로 경보를 해 주는 장비인 무인지상감시센서 시제 제작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무인지상감시센서 운용개념 [사진=방위사업청] |
무인지상감시센서는 탐지 센서에서 적의 침입을 감지해 영상센서를 통해 접근하는 표적을 확인할 수 있는 장비다. 국내에서 최초로 연구개발하는 장비로서 한화시스템이 연구개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방사청은 지난해 12월 한화시스템과 협약을 맺고 체계개발에 착수했다. 이후 소요군의 요구조건을 반영해 지난 9월 상세설계를 마무리했다. 현재 센서 등 장비를 제작 중이며, 2022년까지 시험평가를 거쳐 연구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기존에 GOP나 해안에는 군의 과학화경계시스템이나 열상감시장비(TOD Ⅲ)가 설치돼 있다. 그러나 북한 남성이 GOP 철책을 넘어 귀순한 사건 등 경계 실패 사건이 반복되면서 이들 감시장비의 한계가 지적돼 왔다.
특히 북한 남성의 GOP 월책 사건의 경우 산악 지대의 나무가 우거진 지역에서 발생했는데, 남성이 기존 감시장비의 사각지대에 해당되는 곳으로 몸을 숨겨 군이 남성의 신원 확보를 하는 데 애로사항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군은 이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무인지상감시센서 연구개발 성공 시 장비를 병력이 배치되지 않은 지역이나 감시 사각지역에 설치할 방침이다.
무인지상감시센서는 '고정운용' 방식인 과학화경계시스템이나 TOD와 달리 '이동설치'가 가능하다. 감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곳에 운반해 설치할 수 있다. 때문에 감시 사각지대 문제를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군은 무인지상감시센서를 '고정형 상시 감시체계'인 기존 감시장비의 보조 장비 차원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군은 "미래 병력 감소에 대비해 전력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감시자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호천 방사청 미래전력사업본부장도 "연구개발 성공 시 군의 병력 감소에 대한 부담을 크게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무인지상감시센서 체계개발 사업은 무기체계에 대한 협약 시범사업이다. 정부예산이 투입되는 무기체계 연구개발 사업 중 최초로 계약 대신 협약 방식을 적용했다.
계약방식과 달리 연구개발 주관기관에 지체상금, 이행보증금 등 과도한 부담을 지우지 않는다. 또 연구개발을 성실하게 수행했다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성실수행 인정 제도를 적용해 제재를 감면할 수도 있다.
방사청은 "이번 사업의 협약 시범적용 경과를 분석한 후 내년 4월 '국방과학기술혁신촉진법' 시행 시까지 보완사항을 제도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uyoung0710@newspim.com